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보일러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25-08-01
  • 출처 : KOTRA

공급망 다변화로 인한 경쟁구도 심화

보일러 시장 감소세를 기록하지만 성장 가능성 여전히 높음

상품명 및 HS 코드


보일러/8403.10

 

러시아 시장 동향


'리트비츄크 마케팅'사의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러시아 보일러 시장은 미국 달러 금액 기준으로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최근 약세였던 루블화가 강세로 돌아서고 있고, 보일러 판매 개수 기준 시장은 견조한 편이어서, 향후 보일러 장의 축소 폭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 보일러 시장 전망>

(단위: US$ 백만)
ghjuyjp yf ujl

[자료: '리트비츄크' 연구보고서]

 

전통적으로 러시아 보일러 시장은 건설시장  경기에 따라 좌지우지 되는데, 주로 새롭게 건설되는 주택과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보일러 수요가 시장 규모를 결정한다. 현재 러시아의 건설 시장이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보일러 시장 또한 축소가 예상된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수리가 불가능한 보일러의 교체 수요가 신규 설치 수요를 앞서고 있기 때문에 건설 시장의 규모와 관계없이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러시아 보일러 신규 설치 및 교체 추이>

(단위: MW)

[자료: '리트비츄크' 보고서]

 

최근 3년간 러시아 보일러 수입 통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러시아의 보일러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10%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수입 금액은 감소하였지만 이탈리아의 경우 경제제재에도 불구하고 무역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지난 3년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중국과 대한민국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란과 인도(상위 10권 이외) 같은 신규 수출국이 등장하여 공급망 다변화를 보이고 있다.

 

<2022-24 러시아 보일러 수입 통계>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261,772

310,051

279,002

100

100

100

-10.01

1

이탈리아

89,784

109,674

77,112

34.30

35.37

41.90

-29.69

2

증국

30,140

59,057

76,592

11.51

19.03

27.64

29.69

3

대한민국

37,218

54,437

53,443

14.22

17.54

27.45

-1.83

4

튀르키예

35,815

45,046

29,130

13.68

14.51

19.16

-35.33

5

카자흐스탄

23,524

23,596

18,942

8.99

7.60

10.44

-19.72

6

오스트리아

10

38

9,415

0.00

0.01

6.79

24676.32

7

슬로바키아

12,328

6,814

6,363

4.71

2.20

3.37

-6.62

8

프랑스

2,211

3,931

3,088

0.84

1.27

2.28

-21.44

9

이란

 

2

1,272

0.00

0.00

1.11

63,500.00

10

리투아니아

1,365

829

1,112

0.52

0.27

0.46

34.14

[자료: GTA]

 

최근 5년간 러시아로의 한국 보일러 수출량은 66% 증가했으며, 수출 금액은 2024년 기준 53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수출 금액 기준으로는 2023년에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2024년에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 보일러 제품의 주요 경쟁국은 이탈리아, 중국, 러시아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한국산 보일러의 가격은 3.5~8.5만 루블 수준으로, 주요 경쟁국들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에서 전반적으로 밀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내 주요 판매 브랜드>

(단위: 루블)

제품사진

브랜드명

생산국

가격(루블)

1$=79RUB

KITURAMI

대한민국

81,000

Copa

튀르키예

87,700

E.C.A

튀르키예

66,164

Federica Bugatti

튀르키예

64,216

Sime

이탈리아

69,759

Kentatsu

튀르키예, 일본

61,827

Oasis

중국

42,742

Ariston

이탈리아

62,659

Termex

중국

35,586

Haier

중국

49,976

Daesung

대한민국

47,502

Moguchi

러시아, 중국

48,605

[자료: Ozon.ru, www.vseinstrumenti.ru]


러우사태 발발 이후 2024년 4월, 러시아 ‘Gazprom Bytobye Systemy사는 이탈리아 보일러 제조사 ‘Ariston’의 러시아 내 생산 시설을 인수하였는데, 이후 2025년 3월에 ‘Ariston’사의 CEO는 러시아 시장 복귀와 관련해 러시아 정부 당국과 협상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같은 Ariston사의 러시아 시장 복귀 노력은 러시아 보일러 시장이 감소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장 잠재력이 높음을 보여준다. 

 

유통구조

 

러시아의 보일러 유통은, 제조사(국내외)에서 생산된 제품이 수입·도매상을 통해 소매상에 공급되며 최종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구조이다.




수입인증 및 관세

 

관세는 HS 코드 840310 기준 10%이며 부가세는 20%이다. 별도의 관세 우대 정책은 존재하지 않는다. 산업용을 제외한 전자보일러 대부분은 'TRTS' 기준에 의해 인증을 받아야 되며 전기회로, 가스 누출 보호시스템, 전자기적 호환성 여부에 대한 시험을 요구 받을 수 있다. 산업용 보일러의 경우 TRTS 010/2011 규정에 따라 적합성 평가를 받게 되며 인증유효기간은 5년이다. 가스보일러는 TS 016/2011 기술 규정이 적용되며 안정성 평가를 받게 된다.

 

전문가 의견


리트비츄크 마케팅’사의 대표 ‘게오르기 리트비츄크’는 보일러의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보일러의 종류/용도별로 시장 전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벽걸이 가스 보일러

2025년 기준으로 노후화된 제품 교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다세대 건물의 개별 보일러 사용 금지 법안으로 인해 보이는 현상으로 일시적인 것이며 시장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 전기 보일러

주택 건설 부분에서 전기 보일러 설치가 인기를 얻고 있어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

 

(3) 산업용 보일러

해당 유형의 보일러는 관련 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하여 제조능력이 수요를 버티지 못하고 있으나 여전히 높은 판매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사점

 

최근 3년 간의 시장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2025년에 들어서 판매량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노후화된 장비 교체 시점이 전체적으로 러시아 시장에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란, 인도 등 신규 수출국이 등장하면서 공급망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 제품은 여전히 상위 3위권을 유지하면서 좋은 시장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박전인 수입량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보일러 시장의 미래 성장성은 높게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료: GTA, Litvichuk Marketing, Glovusbed 등 KOTRA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보일러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