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7-22
  • 출처 : KOTRA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시장, 수입이 국내 생산의 8배… 韓 수출도 증가세

기술·부품 해외 의존 지속… 러시아 정부는 보조금·국산화 전략으로 대응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상품명

8438.90

식품가공기계 부품


시장동향


2024년 러시아 내 식품가공기계 부품(HS Code 8438.90) 시장 규모는 약 1억3000만 달러 수준으로 추산된다. 러시아는 해당 품목에 대한 공식 세부 통계를 발표하지 않기 때문에, 수입·수출·생산 관련 개별 통계와 최근 평균 환율을 통해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식품가공기계 부품 시장도 러-우 사태를 둘러싼 국제 제재의 영향을 받고 있다. '22년 이후 시장 규모는 2023년 1억4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9.4% 증가했으나, 2024년에는 전년 대비 7.8% 감소해 앞서 언급한 약 1억3000만 달러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루블화 가치가 달러 당 2022년 67.5루블에서 2023년 84.7루블, 2024년에는 92.7루블로 하락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한편,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로, 2024년 기준 수입 규모가 국내 생산의 약 8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같은 기간 러시아 내 생산도 전년 대비 약 25% 증가하는 등 회복세를 보였다.

 

<2022~2024년 러시아의 식품가공기계 부품(8438.90)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2025.06.04)KOTRA 모스크바무역관 추산]

 

<2022~2024 식품가공기계 부품(8438.90)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2

2023

2024

증감률

생산액1

13

12

15

25.0

수입액2

101

130

118

-9.2

수출액3

5

1

3

200.0

시장규모

109

141

130

-7.8

*주) 1. 러시아 내 식품가공기계 부품 생산, 2. 전세계 HS Code 8438.90 대러시아 수출액, 

3. 전세계 러시아산 HS Code 8438.90 수입액

[자료: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2025.06.04) KOTRA 모스크바무역관]

 

한편, 식품가공기계 부품을 포함한 러시아 식품 관련 전체 장비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30억 달러(약 2500억 루블) 모로, 전년 대비 약 30% 성장했다. 이는 러시아 특수기계·설비 생산자 협회(Rosspetsmash) 통계에 따른 수치로, 동물 사료 생산 설비, 농산물 건조기 등 기타 식품산업 관련 장비도 포함된다.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식품 생산업의 활발한 성장과 현대화, 그리고 기계 산업 전반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꼽히며, 수입 장비 확대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23년 러시아의 식품 장비 수입액은 약 17억 달러(1400억 루블)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산 장비 수입이 크게 늘었고, 유럽 제품의 수입도 일부 재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정부는 해당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2020년 6월 4일 제정된 정부령에 따라 제조업체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격 할인분 일부를 정부가 보전하는 보조금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이 제도는 주로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정부는 수입 대체 전략의 일환으로 식품 가공 장비의 국산화율 제고에도 주력하고 있다. 2023년 8월 발표된 ‘제조업 발전 전략(2030년까지의 통합 로드맵)’에 따르면, 식품 및 가공산업 장비의 국산 비중을 2030년까지 62%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중점 육성 품목에는 제분, 제빵, 유제품, 육류, 설탕, 유지 가공 장비뿐 아니라 외식·유통업용 장비도 포함된다.


<2020~2023년 러시아 식품 관련 장비 전체 시장 동향>

(단위: US$ 십억)


[자료: Rosspetsmash, KOTRA 모스크바무역관]


<2022~2023 러시아 식품 제조용 장비 유형별 자국산 점유율>

(단위: %)

구 분

2022

2023

산업용 식품 조리 장비

54

45

유제품 생산 장비

46

44

설탕 가공 장비

60

31

육류·가금류 가공 장비

13

11

수산물 가공 장비

19

5

·커피 가공 장비

-

3

과일·채소·견과류 가공 장비

-

3

농산물 건조 장비

63

65

동물 사료 생산 장비

84

81

[자료: Rosspetsmash]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2024 전세계의 대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부품(8438.90) 수출 동향>

(단위: US$ , %)

구분

국가

2022

2023

2024

점유율

'23/'24 증감률

Total

101,257

129,878

117,473

100

-9.6

1

중국

4,531

11,923

22,402

19.1

87.9

2

이탈리아

5,808

11,325

21,714

18.5

91.7

3

독일

20,749

12,862

17,585

15.0

36.7

4

한국

7,775

9,161

12,151

10.3

32.6

5

네덜란드

21,432

11,848

10,621

9.0

-10.4

6

튀르키예어

5,845

7,439

8,446

7.2

13.5

7

프랑스

4,254

7,118

3,724

3.2

-47.7

8

폴란드

3,406

5,723

3,510

3.0

-38.7

9

리투아니아

9,946

26,944

3,203

2.7

-88.1

10

슬로바키아

272

1,126

2,811

2.4

149.6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6.04)]

 

2023년 러시아의 해당 품목 수입액은 28.3% 증가했으나, 2024년에는 1억 1747만 달러로 9.6% 감소했다. 2024년에는 중국이 리투아니아를 제치고 최대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중국의 2024년 수출액은 2240만 달러로 전체 대러 수출의 19.1%를 차지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87.9% 증가한 수치다. 참고로 중국은 2023년에도 1192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3.1%의 급증세를 보인 바 있다.

 

2024년 기준 국가별 점유율은 중국 19.1%, 이탈리아 18.5%, 독일 15.0%, 한국 10.3%, 네덜란드 9.0%, 튀르키예 7.2%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023년 17.8%, 2024년 32.6% 증가하며 러시아의 4위 수입국으로 올라섰다. 

 

경쟁동향

 

러시아 시장에 진입한 외국계 식음료 제조설비 공급업체 수가 많고 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이 가운데 이탈리아 기업들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는데, 2024년 이탈리아산 제품은 전체 수입 금액의 약 36.8%를 차지했다.

 

그 중에서도 Ing. A. Rossi Impianti Industriali가 두각을 나타냈다. 해당 기업은 생토마토 가공라인의 부품 공급에 주력하며, 2024년 외국 공급업체 가운데 단일 기업으로는 최대 수출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이탈리아 기업을 비롯해 독일의 Dr. Ing. Kaupert, 이탈리아의 Babbini가 상위 3개사에 이름을 올렸다.


<2024년 러시아의 식품가공기계 부품(HS Code 8438.90) 상위 10 수입 제조사>

(단위: %)

생산업체

국가*

점유율

브랜드명

Ing. A. Rossi Impianti Industrial

이탈리아

20.6

Aronpak

Dr. Ing. Kaupert

독일

3.6

Kaupert

Babbini

이탈리아

3.1

Babbini

Vemag Maschinenbau

독일

3.0

Vemag

Winkler und Dunnebier Subwarenmaschinen

독일

2.6

WDS

Tae Heung Engineering

한국

2.1

Tae Heung

Hamburg Dresdner Machinenfabriken

독일

2.1

Hamburg Dresdner Machinenfabriken

Anneliese Backtechnik

독일

1.8

Anneliese, WLbake

Wuxi Danxiao Machinery

중국

1.6

Wuxi

Vojta Equipment

체코

1.5

Vojta Icecream Equipment

*주: 국가는 기업 소재지 기준

[자료: GLBS(2025.06.04)]

 

유통구조

 

ㅇ 러시아 제조사 → 딜러/영업대행사 → 수요자(최종 사용자)

ㅇ 러시아 제조사 → 제조사 직속 유통회사 → 온라인 쇼핑몰 → 수요자(최종 사용자)

ㅇ 해외 제조사 → 수입/유통업체 (→ 온라인 쇼핑몰) → 수요자(최종 사용자)

 

러시아 제조업체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전문 기술센터와 협력해 장비를 개발하며, 일부 업체는 최종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맞춤형 설비를 제작하거나 엔지니어링 및 전문 컨설팅 서비스,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처음에는 외국산 장비의 유통만을 전문으로 하던 기업이 이후 직접 제조로 전환한 사례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과 유통을 병행하는 복합형 기업도 존재한다.


<러시아 내 HS Code 8438.90 유통 구조>


관세율

 

<관세율>

(단위: %)

EAEU HS Code

품목명

관세율

8438.90.0000

부분품

0

[자료: Consultant Plus]

 

ㅇ 부가가치세(VAT): 20% (기본관세율)

ㅇ 소비세(Excise Duty): 비대상 


인증

 

산업용 식품가공기계 및 부품(HS Code 8438.90)은 의무 인증 대상 품목으로 분류되며, 적합성 선언(Декларация соответствия)’ 형식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해당 품목에 적용되는 기본 규정은 EAEU 기술규정 「기계 및 장비의 안전성에 관한 규정(TR TS 010/2011)」으로, 본 규정은 2011년 10월 18일 채택돼 2013년 2월 15일 발효됐다.

 

동 규정에 따라 식품·유제품·수산물 가공용 산업 장비는 기술 규제 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장비는 적합성 선언 방식으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적합성 선언 절차는 EAEU 공식 인증기관 및 시험소에 의해 진행된다.


HS Code 8438.90은 식품 접촉용 제품에 해당하더라도 국가등록 대상 품목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해당 코드에는 다양한 제품군이 포함돼 있으므로, 각 제품별로 적용되는 인증 절차나 요건은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사점

 

러시아 식품 가공기계 시장은 HS Code 8438.90을 중심으로 여전히 높은 해외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차·커피, 과일·채소·견과류, 육류·가금류, 수산물, 설탕 가공 장비 등에서 수입 의존도가 두드러지며, 제빵 장비 분야에서도 발효 시스템, 반죽기, 냉각 시스템, 오븐, 자동 슬라이서 등에 대한 해외 제품 수요가 높다.

 

포장 설비 역시 시간당 3만 개 이상의 고속 포장기기, 진공 포장기, 티백 포장기 등에서 기술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핵심 부품인 스테인리스 강판, 전자 센서, 제어기, 서보모터, 냉동 압축기 등도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식품가공기계 부품의 주요 수요처는 채소, 당과류, 아이스크림, 설탕, 파스타(라면 포함), 제과·제빵 제품, 차·커피, 수산물 등을 생산하는 식품 제조 기업들이다. 2024년 해당 품목을 러시아에 공급한 주요 국가는 중국, 이탈리아, 독일, 한국, 네덜란드, 튀르키예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한국은 2023년과 2024년 모두 수출 증가를 기록해, 러시아 시장 내 안정적 수요 기반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도 제품 홍보 및 유통 수단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루블 환율 변동, ▲원자재·부품·에너지원 가격 상승, ▲물류비용 증가 등을 주요 리스크로 지목하고 있어, 시장 성장 가능성과 함께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료: 러시아 통계청, 중앙은행 Global Trade Atlas, Consultant Plus, Yandex, GLBS, Rosspetsmash, RBC, Vedomosti, Interfax, KOTRA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식품가공기계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