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리카 전력 허브를 꿈꾸는 탄자니아, 에너지 인프라 확장에 따른 전력시장 기회
- 트렌드
- 탄자니아
- 다레살람무역관 이정훈
- 2025-08-01
- 출처 : KOTRA
-
전력망 확충과 재생에너지 전략으로 ‘Vision 2050’ 가속
전력 인프라 확장에 따른 전력기자재 수요 확대
탄자니아는 동부 아프리카에서 가장 활발히 전력 인프라를 확충 중인 국가로, 에너지 자립과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해 발전소 건설과 송배전망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2/23 회계연도 기준 탄자니아의 총 발전설비 용량은 약 1911.46MW였으며, 2024년 말에는 3402.20MW로 확대됐다.
탄자니아 정부는 기존 'Vision 2025' 국가 발전계획을 계승한 중장기 전략으로 'Vision 2050'을 수립했으며, 에너지 자립 실현과 1인당 연간 전력 소비량 600kWh 이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전력부문 마스터플랜 2020(PSMP2020)'에 따르면 2044년까지 총 발전설비 용량을 1만4151MW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에너지 빈곤 해소뿐 아니라 산업화, 수출 기반 확대, 고용 창출로 이어지는 경제 전환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 보급률과 정책 추진 현황
탄자니아의 전기연결률(Electricity Connection Rate)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탄자니아 본토의 경우 2022년 기준 전기연결률은 46%이며, 이 중 도시는 73.9%인 반면, 농촌 지역은 36%에 불과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전기연결률은 53.3%이며, 탄자니아는 이보다 낮은 수준이다.
탄자니아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력 소외지역의 인프라 구축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탄자니아 정부는 전국 1만2318개 마을 중 1만2278개 마을(99.7%)을 국가 전력망에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6만4359개에 달하는 하위 마을(hamlets) 중 절반 이상인 3만2827곳(약 51%)이 전력망에 연결돼 있다. 2024/25 회계연도부터 2만 개의 하위 마을 추가 연결을 목표로, 향후 5년간 총 6조 실링(약 23억 달러)을 투자할 예정이다.
전력 공급 측면에서 탄자니아는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전체 발전량의 약 59%가 수력, 35%는 화력(주로 천연가스), 나머지는 재생에너지와 바이오매스 등이다. 2019년에 착공된 줄리어스 니에레레 수력발전소(Julius Nyerere Hydropower Project, JNHPP)는 2025년 3월 준공돼 연 5920GWh 규모의 전력 생산으로 국가 전력망 안정성과 용량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전력기자재 수입 동향
ITC 무역통계에 따르면, 탄자니아는 전력 인프라 확장과 더불어 전력기자재 수입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송전선(HS Code 8544) 수입은 약 9193만 달러로 중국(60.9%), 인도(12.3%), 튀르키예(3.8%) 순으로 수입이 집중되고 있다. 변압기 및 변환기(HS Code 8504)의 경우 총 수입액은 1억60만 달러로, 중국(60.4%)과 인도(15.9%)가 공급을 주도하고 있다.
전동기 및 발전기(HS Code 8501) 분야는 중국이 전체의 52.9%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8.7%), 영국(8.3%)이 뒤를 잇는다. 차단기 및 개폐기류(HS Code 8536)의 수입액은 약 3866만 달러로, 이 중 절반 이상(56%)이 중국산이다. 배전기 및 제어기(HS Code 8537) 역시 중국(26.4%)과 인도(23.6%)가 주요 수출국이며, 전체 수입액은 4329만 달러에 달했다.
수입 통계를 통해 탄자니아의 전력기자재 시장에서 중국과 인도의 시장 지배력이 확연히 드러난다. 이는 한국 기업이 중고가 프리미엄 시장 또는 특수 기자재 분야를 중심으로 진입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기자재 수요는 송배전망 확충, 스마트 계량기 보급, 재생에너지 연계 시스템 등 신규 인프라 수요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22~2024년 송전선(HS Code 8544) 탄자니아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자료: ITC]
<2022~2024년 변압기 및 변환기(HS Code 8504) 탄자니아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자료: ITC]
<2022~2024년 전동기 및 발전기(HS Code 8501) 탄자니아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자료: ITC]
<2022~2024년 차단기∙접속기∙개폐기(HS Code 8536) 탄자니아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자료: ITC]
<2022~2024년 배전기 및 제어기(HS Code 8537) 탄자니아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자료: ITC]
탄자니아 전력 프로젝트 동향
탄자니아는 제조업 기반의 경제성장과 국가 산업화 전략(FYDP III, IIDS 2025 등)에 발맞춰 전력 인프라 구축을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급증하는 전력 수요와 농촌지역의 전력 접근성 제고를 위해 송전 및 배전망 확충, 발전소 증설, 재생에너지 전환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전력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우선, 송배전망 확충 및 자동화 시스템 도입 측면에서는, 탄자니아 전력공사(TANESCO)가 도도마, 운구자, 므완자, 마라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132kV 및 220kV급 중·고압 송전선과 신규 변전소 건설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지역 간 전력 연계성을 높이고, 병목 현상 완화 및 계통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펼쳐지고 있다. 더불어 SCADA 시스템과 GIS 기반의 스마트 제어 기술도 병행 도입되면서, 디지털 전환 기반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 및 그리드 연계 정책도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설비의 75%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 아래,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민간 주도형 프로젝트를 장려하고 있으며, 전력망 접근이 어려운 외곽 지역에는 ESS(에너지 저장장치)를 결합한 독립형 솔루션 또는 디지털 기반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한 전력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초기 투자비용은 크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줄리어스 니에레레 수력발전소(JNHPP)는 탄자니아 에너지정책의 상징적인 대형 프로젝트로, 총 2115MW 규모로 2019년 착공돼, 2025년 4월부터 모든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다. 본 발전소는 국가 전력망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 축으로 작용하며, 향후 천연가스를 활용한 발전소 건설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산업화 추진에 따른 전력 인프라 수요 확대 역시 중요한 변화의 흐름이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 조성과 도시 상업지역 확장에 따라 고압 전력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효율 변압기, 개폐기, 산업용 UP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다양한 산업용 전력기자재의 수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인프라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규모 기자재 수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한, 스마트 계량기 및 손실 저감 시스템 도입을 통한 전력 효율성 제고 노력도 눈에 띈다. TANESCO는 현재 약 16%에 달하는 송배전 손실률을 2044년까지 12% 이하로 감축할 계획을 수립했으며, 이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미터, 디지털 보호계전기, 원격 제어형 개폐기 등의 스마트 기자재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제성장과 에너지 인프라 확장이 견인하는 전력기자재 수요
탄자니아의 에너지 인프라 확장은 단순한 전력 수급 문제 해결을 넘어, 국가 경제 발전 전략과 밀접하게 연계되고 있다. FYDP III(2021/22–2025/26) 및 IIDS 2025를 중심으로 한 산업화 전략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발전·송배전·분산형 전원 설비의 확장을 추진하며, 고효율·고기능 전력 기자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산업단지, 상업지구, 중소 규모 공공시설(병원, 학교 등) 중심의 전력 사용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중고압 송전설비, EMS, 스마트 계량기, 산업용 UPS, 디지털 보호계전기 등의 고부가가치 기자재 수입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산업 및 상업시설의 전력 사용 확대에 따른 역률(Power Factor) 저하 문제가 대두되면서, 역률 보상을 위한 전력 보상장치, 고효율 변압기, 수배전 설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에너지부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75%까지 끌어올린다는 중장기 계획에 따라, 태양광·풍력·수력 중심의 에너지 믹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PCS), 인버터,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재생에너지 핵심 부품에 대한 수요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전력 효율 개선과 분산형 전원 확대와 함께, 스마트 계량기 및 통합 배전제어 시스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계전기, 원격 개폐기, 통합 배전제어 솔루션 등 차세대 전력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전력 손실률 감축뿐 아니라 수요 예측 및 부하 분산 등 전력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탄자니아는 동부 아프리카 전력공동체(EAPP)와 남부 아프리카 전력공동체(SAPP)의 연계망에 참여하고 있으며, 역내 전력 수출입 확대 및 계통 연계성 강화를 위해 송전 인프라를 적극 확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자립뿐 아니라 역내 전력 허브로서의 입지 확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케냐, 잠비아, 우간다 등과의 국경 간 전력 거래(Cross-border Trading) 활성화도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광역 연계망 구축은 국가 차원의 송전망 보강 수요 및 기자재 수입 수요 증가로 이어지는 추세다.
TANESCO(탄자니아전력공사)에 따르면, 모든 공공 조달은 탄자니아 국가 전자조달시스템(NeST)을 통해 투명하게 관리되며, 조달 규모에 따라 국내 또는 국제 입찰 방식이 결정된다. TANESCO 관계자와 무역관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IPP(민간발전사업자) 및 EPC(설계·조달·시공) 기업들은 각자의 내부 규정에 따라 기자재를 자율적으로 조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주요 기자재는 아시아, 유럽, 미주 지역에서 수입되며, 사양에 따라 수입처가 달라진다. 현지 시장에는 특정 국가의 독점적 공급 없이 다양한 글로벌 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품질, 납기 및 성능이 우수한 기업들이 경쟁하는 구조다.
시사점
탄자니아는 아프리카 내 에너지 전환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발전 설비 확충, 송배전망 현대화, 재생에너지 확대를 전방위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고효율 전력 기자재, 스마트 계량기, ESS 연계 시스템, 산업용 전력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또한, 탄자니아는 EAPP(동부 아프리카 전력공동체) 및 SAPP(남부 아프리카 전력공동체) 연계망 참여를 통해 동부·남부 아프리카 전력 허브로 부상 중이며, 이 지역 전체의 스마트 그리드, 재생에너지 기자재 수요 확대와 맞물려 중장기 수출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탄자니아 시장은, 기술력과 경험을 갖춘 한국 기업에게 지금이 전략적 진출의 적기라 할 수 있다.
자료: 탄자니아 에너지부, TANESCO, World Bank, 탄자니아 주요 일간지, ITC 및 KOTRA 다레살람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아프리카 전력 허브를 꿈꾸는 탄자니아, 에너지 인프라 확장에 따른 전력시장 기회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스웨덴 로봇산업,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작동하다
스웨덴 2025-08-01
-
2
Z세대가 이끄는 중국 소비변화: 가성비(性价比)를 넘어 가심비(心价比)로
중국 2025-07-31
-
3
중국 역삼투막(RO멤브레인) 시장 동향
중국 2025-08-01
-
4
2025년 에티오피아 건설인프라 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5-08-01
-
5
일본 냉감 폴리에스터(인조섬유) 제품 시장동향
일본 2025-07-28
-
6
싱가포르의 해외 고급인재 유치 전략 및 시사점
싱가포르 2025-07-31
-
1
2025년 탄자니아 전력 산업
탄자니아 2025-04-04
-
2
2024년 르완다 농업 정보
탄자니아 2024-06-10
-
3
2024년 르완다 산업개관
탄자니아 2024-05-14
-
4
2021년 탄자니아 산업 개관
탄자니아 2021-09-13
-
5
2021년 탄자니아 인프라 건설 산업 정보
탄자니아 2021-09-13
-
6
2021년 탄자니아 이동통신산업 정보
탄자니아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