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역삼투막(RO멤브레인)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08-01
  • 출처 : KOTRA

중국 수처리용 막 시장에서 역삼투막이 45%로 가장 큰 비중 차지

미국, 일본, 한국 등 해외기업이 시장 주도

상품명 및 HS 코드

 

역삼투막은 RO 멤브레인(Reverse Osmosis Membrane)이라고도 한다. 역삼투 기술은 막 양쪽에 존재하는 압력 차이를 동력으로 해 분리 및 여과를 실현하는 고도화된 에너지 절감형 막 분리 기술로, 수처리 분야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꼽힌다.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활용 범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역삼투막의 HS 코드는 8421.99이며 기타 여과기 혹은 정화 장치용 부품을 포함한다.

 

<역삼투막 이미지>

[자료: 동방재부()]

 

시장 규모

 

첸잔(前瞻)산업연구원의 추산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역삼투막 시장 규모는 약 120억 위안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난다. 2029년까지 중국 역삼투막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0억 위안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2029년 중국 역삼투막 산업 시장 규모 추산>

(단위: 억 위안)


[자료: 첸잔(前瞻)산업연구원]


시장 동향

 

수처리용 막은 공극 크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큰 것부터 작은 순서로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으로 구분된다.

 

중국 수처리용 막 시장에서 역삼투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점유율은 약 45%에 달한다. 그다음은 정밀여과막으로 약 30%를 차지한다. 나노여과막과 한외여과막은 합쳐서 약 2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다.


<중국 수처리용 막 시장 구조>

(단위: %)

[자료: 관옌보고(观研报), 안신(安信)증권연구센터]

 

역삼투막은 공극 크기가 가장 작고 여과 정밀도가 가장 높은 막으로, 주로 산업용 및 가정용 분야에 적용된다. 역삼투막의 공극 크기는 단 0.0001µm (마이크로미터)로 물속에 용해된 염류, 유기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수, 폐수 처리, 전력, 철강, 석유화학, 상수도, 해수 담수화, 염호 리튬 추출, 초순수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역삼투막 주요 응용 영역>

응용영역

세분화 영역

수처리 분야

도시 상수도 공급 및 하수 처리

산업용 수처리

에너지 및 환경 보호 분야

해수 담수화

염호 리튬 추출

폐수 제로 방출

식품 및 의약 분야

식품 음료 생산

의약 산업

가정용 및 상용 정수 분야

가정용 정수기

상업용 정수 장비

[자료: 칭다오무역관 정리]

 

수입규모 및 수입동향

 

2024년 중국 HS 코드 8421.99 기준 수입액은 총 14억3700만 달러이며, 주요 수입국은 미국, 독일, 일본, 한국 등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1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3% 증가했으며, 전체 수입의 7.8%를 차지한다.

 

<중국 역삼투막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HS 코드 8421.99 기준)>

(단위: US$ 백만, %)

국가(지역)

2022

2023

2024

점유율

(2024년)

전년대비

증감률

(2024년)

-

총액

1,724

1,533

1,437

-

-6.2

1

미국

503

403

341

23.7

-15.4

2

독일

291

276

252

17.5

-8.8

3

일본

209

195

209

14.5

7.0

4

한국

116

98

112

7.8

14.3

5

영국

53

47

71

4.9

50.0

6

프랑스

46

48

53

3.7

10.8

7

대만

61

41

46

3.2

11.9

8

사우디아라비아

97

90

34

2.4

-62.1

9

오스트리아

34

37

31

2.2

-17.3

10

슬로바키아

29

28

31

2.2

8.6

[자료: KITA]

 

경쟁동향

 

세계 역삼투막 시장에서 해외 기업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시장에 진입해, 풍부한 업계 경험과 선진적인 연구개발 및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중국 시장 점유율을 기준으로 보면, 해외 역삼투막 기업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해외 기업 중에서는 미국의 다우케미칼(Dow), GE, 일본의 닛토전공(Nitto), 도레이(Toray), 한국의 새한 CSM, LG화학 등이 대부분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과점 경쟁 구도가 형성돼 있다.

 

중국 국내 기업의 기술 연구개발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시장 경쟁력도 점차 향상되고 있다. 중국의 주요 역삼투막 기업으로는 스다이워둔(代沃), 란싱둥리(东丽), 친썬가오커(沁森高科) 등이 있으며, 이들 상위 3개 기업이 2024년 중국 내 역삼투막 생산 능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첸잔(前瞻)산업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역삼투막 제품의 성능 면에서는 해외 기업의 경쟁력이 여전히 두드러진다. 물 산출량 측면에서는 닛토전공(Nitto)과 다우케미칼(Dow) 제품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표준 탈염률은 LG화학 제품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상업적 응용 측면에서 보면, 산업용 해수 담수화 및 염지하수 담수화 프로젝트에서 역시 해외 고급 브랜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있으며,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시공사 측에서 해외 역삼투막 브랜드를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국제 브랜드는 현재 시장 내에서 확고한 지위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산 역삼투막은 아직 해외 브랜드와 본격적인 시장 경쟁을 벌일 수 있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주요 한국 브랜드 제품>

새한’ 정수기용 역삼투막

‘LG 화학’ 해수 처리용 역삼투막

[자료: 징둥]

 

유통구조

 

현지 주요 역삼투막 제조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직판과 대리상 판매를 병행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해외 브랜드들은 주로 대리상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대리상을 통한 판매는 중국 역삼투막 시장에서 중요한 유통 경로 중 하나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 대리상들은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일부 브랜드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플래그십 스토어 역시 실제로는 대리상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중국 생산기업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제품을 직접 판매하기도 하며, 지역별 엔지니어링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상용 제품을 다양한 수처리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상업 및 산업 분야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제도

 

중국 해관에 따르면, 역삼투막 종류 및 관세협정에 따라 관세율이 다르나 우리나라의 부가세 개념인 증치세는 13%로 동일하다. 가정용(HS 코드 8421.9910) 및 기타류 제품(8421.9990)의 경우, 한-중 FTA 적용 관세율은 모두 0%다.

 

<역삼투막 종류 및 관세협정별 관세율>

구분

가정용 여과/정화장치용

(8421.9910)

기타

(8421.9990)

한-중 FTA

0%

0%

APTA

4.6%

3.3%

RCEP

6%

0%

MFN(최혜국 우대)

7%

0%

[자료: 중국 해관]

 

식수 용도의 수입 역삼투막 제품은 식수 관련 위생 안전 제품 수입 위생 허가(口涉及用水生安全)’를 신청해야 한다. 중국 내 책임 회사(在华责位)가 소재지 성급 위생건강행정부서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심사를 통과한 후 위생 허가증을 발급받는다.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완제품 샘플 1개

2. 위임 신청일 경우, 대리인의 위임장 제공

3. 제품명에 등록 상표가 포함된 경우, 상표 등록증 또는 접수증 사본 제공

4. 중국 내 책임 회사의 사업자 등록증 사본

5. 제품 수입 통관서류

6. 중국 내 책임 회사의 권한 위임장

7. 생산국(지역)에서의 생산 및 판매 허가 증빙자료

8. 제품 검사 보고서 원본

 - 검사 기관의 직인이 포함된 샘플 채취 확인서

 - 검사 진위성 및 규정 준수에 대한 서약서

9. 제품 품질 기준서

10. 제품 라벨(명판), 사용 설명서

11. 제품 재료 설명서

12. 식수 관련 위생 안전 제품 수입 위생허가 신청서

 - 현지 정부 사이트에서 양식을 다운로드해 작성

 

시사점

 

1. 역삼투막의 시장 수요 증가 예상

 

초기에 역삼투막은 주로 해수 담수화, 초순수 제조 등 분야에 사용됐으나, 현재는 적용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특히 환경 보호 분야에서 역삼투막 기술은 폐수의 심도 처리와 자원화에 있어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향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적용 분야의 확대에 따라 역삼투막에 대한 시장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맞춤형 제품 개발

 

각 산업별 수질 요구 사항이 높아짐에 따라, 산업 특성에 맞춘 맞춤형 역삼투막 기재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칩 제조 산업의 초순수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탈염률이 높고 여과 성능이 더 좋은 역삼투막 기재를 연구 개발해 수질에 대한 높은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상업 분야에서는 상용 정수기, 해수 담수화 장비 등 하류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공동으로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우수한 제품과 완벽한 사후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여야 한다. 기술 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역삼투막 기재 제품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고객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켜야 한다.

 

3. 신규 시장 수요 발굴

 

관련 기업은 역삼투막 기재의 적용 분야를 적극적으로 확장해 새로운 시장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농업 관개 분야에서는 절수 관개 기술의 보급에 따라, 역삼투막 기술을 이용해 관개용수를 정화하고 처리함으로써 관개수의 품질과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오 의약 분야에서는 약물의 분리, 정제, 농축에 역삼투막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자료: 동방재부(), 첸잔(前瞻)연구원, 관옌보고(观研报), 안신(安信)증권연구센터, 징둥 중국해관, KITA, 및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역삼투막(RO멤브레인)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