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 2025 예산안, 비석유 성장 지속…GDP 대비 2.3% 적자 유지 예정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07-14
- 출처 : KOTRA
-
직접세 줄고 소비세 늘어…세입 구조 재편 본격화
보건·지방행정 예산 급증…생활 인프라 강화에 방점
2025 예산안 개요
사우디 재무부는 2025년 초, 2025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하였다. 총수입은 약 3160억 달러, 총지출은 약 3430억 달러로 편성됐으며, 이에 따른 재정적자는 270억 달러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2.3% 수준이다. 사우디 정부는 이러한 재정적자 편성을 통해 확장적 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민간 부문 확대와 프로젝트 본격화를 통해 실질 GDP 성장률 4.6%, 물가 상승률 1.9%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향후 수년간은 GDP 대비 -2~3% 수준의 재정적자를 감수하면서도 성장 기반 확대와 산업 전환, 민간 주도 구조 강화에 방점을 둔 전략적 재정운용이 지속될 전망이다.
재무장관 모하메드 알자단(Mohammed Al Jadaan)은 같은 날 국무회의 후 브리핑에서 “Vision 2030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와 지출을 지속하는 동시에, 재정 건전성과 중장기적인 지속 가능성도 함께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2024년 9월 발표된 사전예산안(Pre-Budget Statement)의 기조를 대부분 반영하고 있다. 특히 교육, 보건, 인프라 중심의 전략적 지출 계획이 유지됐다.
<2023-2027 사우디 예산 동향 요약>
(단위: 십억 달러)구분
2023A
2024B
2024E
2025P
2026P
2027P
재정수입
323
313
330
316
319
334
재정지출
345
334
361
343
354
381
재정수지
-22
-21
-31
-27
-35
-37
GDP 대비 수지
-2.0%
-1.9%
-2.8%
-2.3%
-2.9%
-3.0%
실질 GDP성장률
-0.8%
-
0.8%
4.6%
3.5%
4.7%
물가 상승률
2.3%
-
1.7%
1.9%
1.9%
1.9%
A: 결산 / B: 예산안 / E: 추정치 / P: 전망
[자료: 사우디 재무부]수입 구조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총수입은 약 328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약 3234억 달러) 증가했다. 석유 수입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석유 부문의 성장과 세제 개편 효과가 이를 상쇄하며 전체 수입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석유 의존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2010년 비석유 수입 비중은 전체의 9.6%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37.8%, 2024년에는 38.4%(약 1260억 달러)까지 증가했다. 이는 사우디의 재정이 석유 중심에서 다각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0-2024 석유·비석유 수입>
(단위: 십억 달러)
[자료: 사우디 재무부]비세입(석유 수입 포함) 부문 수입은 약 2301억 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브렌트유 평균 가격은 배럴당 81.8달러로 작년보다 소폭 하락했으며, 하루 평균 원유 생산량도 900만 배럴로 줄었지만, 성과 연계 배당 수익이 이를 일정 부분 상쇄했다. 이와 함께 정부 예금 투자 수익, 공공 서비스 판매, 벌금 및 과태료 수입 등 비세입 항목의 확대가 기타 수입 증가에 기여했다.
세입 구조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전체 수입 중 세금 수입은 976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그러나 직접세인 소득·법인세는 경기 둔화에 따른 기업 실적 악화의 영향으로 22.4% 감소해 약 80억 달러에 그쳤다.
반면, 간접세는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상품·서비스세는 6.6% 증가한 747억 달러로 집계돼 전체 세입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관세는 59억 달러로 0.3% 증가했고, 기타세는 91억 달러로 3.0% 증가했다.
정부는 소비 기반의 간접세 중심 세제를 강화하며 세입 구조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정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2023-2024 사우디 수입 구조>
(단위: 십억 달러)구분
2023A
2024B
2024E
연간 증감률
총 수입
323.2
312.5
328
1.4%
세입
95.2
96.3
97.6
2.7%
└ 소득·법인세
10.4
8.3
8
-22.4%
└ 상품·서비스세
69.9
74.4
74.7
6.6%
└ 관세
5.9
5.6
5.9
0.3%
└ 기타세 (자카트포함)
8.8
8
9.1
3.0%
비세입 (석유포함)
228.3
216.5
230.1
0.9%
A: 결산 / B: 예산안 / E: 추정치
[자료: 사우디 재무부]지출 구조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총지출은 약 3587억 달러로, 전년도 결산액인 3448억 달러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예산으로 편성된 3336억 달러보다 7.5% 초과 집행되며 확장적 재정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2023-2024 사우디 분야별 재정지출 추이>
(단위: 억 달러)지출 분야
2023A
2024B
2024E
연간 증감률
합계
3,448
3,336
3,586.7
4.0%
보건 및 사회개발
682.7
570.7
693.3
1.7%
국방
677.3
717.3
690.7
1.6%
교육
560.0
520.0
536.0
-4.4%
기타 지출
554.7
576.0
538.7
-2.8%
보안 및 지역행정
304.0
298.7
341.3
12.1%
지방자치 서비스
205.3
216.0
306.7
48.8%
경제 자원
226.7
224.0
234.7
2.8%
인프라 및 교통
106.7
101.3
106.7
-0.02%
공공행정
128.0
114.7
141.3
9.6%
A: 결산 / B: 예산안 / E: 추정치
[자료: 사우디 재무부]올해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분야는 '보건 및 사회개발'로, 총 693억 달러가 투입됐다. 이는 전체 지출 중 19.3%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7% 증가한 수치다. 전년도에 이뤄진 의료 접근성 개선과 사회복지 확장, 문화·체육 정책 성과를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전자처방 플랫폼(Wasfaty를 통해 3억4667만 달러 절약)과 응급의료 시스템 개선(생존율 20% 향상), 건강보험 확대(가입자 1250만 명으로 확대) 등으로 공공의료 서비스 효율이 향상됐고, 여성·아동을 위한 맞춤형 복지와 비영리 부문 확대가 사회 안전망 강화로 이어졌다. 문화예술·스포츠 분야에서도 영화산업 진흥, 스포츠 팀 확대, 국제대회 성과 등 정책적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국방 부문에는 총 691억 달러가 배정돼 전체 지출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차지했다. 올해 예산은 단순한 방위력 강화에 그치지 않고, 군수 산업 국산화 확대, 민간 부문과의 협력 강화, 의료·연구 역량 제고 등 경제 파급 효과를 고려한 지출 구조로 구성됐다. 특히 군사산업 국산화율을 2025년 20%, 2030년까지 50%까지 끌어올리는 전략이 본격화됐으며, 이는 민간 제조업과 첨단기술 산업에도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교육 예산은 536억 달러로 전체 중 세 번째 규모지만,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다만 이 같은 축소는 일시적 조정으로 보이며, 대학 국제 순위 상승, 고등교육 취업률 개선, 유아교육 확대 등 구조개혁은 지속되고 있다. 2025년에는 장애학생 수용성 확대, 외국어 교육 강화, 영재학교 신설 등 미래세대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이 반영됐다.
올해 가장 큰 폭의 예산 증가율을 기록한 항목은 ‘지방자치 서비스’다. 2023년 205억 달러에서 306억 달러로 48.8% 증가했다. 이는 단일 항목 중 최대 상승폭으로, 사우디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정부 기능 강화를 중점 과제로 삼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주택 지원 확대, 도시환경 개선, 민간 투자 유치, 관광 프로젝트 가동 등 전방위 사업이 추진됐다. 2025년에는 AI 기반 도시계획 시스템, 180만㎡ 규모의 공원 정비, 포장 도로 품질 개선 등 실질적 생활 인프라 투자도 함께 확대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기타지출(538억 달러), 보안 및 지역행정(341억 달러), 경제자원(235억 달러), 인프라 및 교통(107억 달러), 공공행정(141억 달러) 등 주요 항목에서도 예산이 일정 수준 유지되며 정책의 연속성이 확보됐다.
2025 주요 프로젝트 및 시사점
사우디 정부는 예산안을 통해 데이터,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우주산업, 물류 등 미래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한 2025년 대규모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산업 생태계 전환과 민간 투자 유치, 기술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Vision 2030의 구조 개편 전략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2025 주요 프로젝트>
프로젝트 분야
내용
데이터 및 AI
- 정부기관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국가 데이터 지수(National Data Index)’ 개선
- NDB 내 데이터셋 수 확장으로 자동화 공유 체계 구축- 정부기관 내의 인공지능(AI) 도입 본격화
- 국가 스마트시티 (Smart C)플렛폼에서 활성화된 유즈케이스 수의 누적 확대
디지털 경제·우주·혁신
- 연말까지 사우디 시장 내 20억 달러 규모 이상의 신규 ICT 기업 2개 추가 (총 8개 달성 목표)
- ‘아르테미스 2(Artemis 2)’ 탐사 임무의 일환으로 기상 관측용 위성 제조 및 발사운송 및 물류 서비스
- 리야드항공(Riyadh Airlines) 운영 개시 및 담맘(Dammam) 거점의 신규 국적항공사 설립
- 알 자우프(Al Jawf), 알바하(Al Baha), 킹 압둘아지즈(King Abdulaziz) 등 주요 국제공항 내 여행 라운지 신설
- 전국 6개 항구에 물류센터 설립 및 대중교통 인프라 확장
[자료: 사우디 재무부]
이러한 배경 속에서 관련 기술 역량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에게는 사우디 진출의 기회가 한층 확대되고 있다. 특히 사우디 정부가 AI 거버넌스 구축, 국가 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스마트시티 활용 사례 확장, 기상관측용 위성 발사, 전국 항만 물류 인프라 확장 등 구체적인 사업을 명시한 만큼,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는 한국 기업의 참여 가능성도 주목된다.
사우디의 프로젝트 발주는 과거와 달리 단순 시공·납품 중심에서 벗어나, 기술 내재화와 산업 역량 이전(Localization)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기술이전, 공동 연구개발(R&D), 현지 파트너십 구축 여부 등이 입찰 평가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사우디 정부가 장기적으로 외국 기술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내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도 단순 EPC(설계·조달·시공) 중심의 진출에서 벗어나, 기술이전, 공동 R&D, 로컬 합작법인 설립 등 고부가가치 중심의 진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우디 측이 선호하는 산업 파트너로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이 되는 동시에, EPC 대비 지속적인 수익 창출 및 브랜드 신뢰 확보에도 유리하다.
나아가 정부 차원의 외교 지원, 금융·보증 제도, 제도적 협력 프레임이 함께 마련된다면, 사우디와의 협력은 일회성 계약을 넘어 Vision 2030의 실행 파트너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기업들에게는 사우디가 중동 전체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하겠다.
자료: 사우디 재무부 및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2025 예산안, 비석유 성장 지속…GDP 대비 2.3% 적자 유지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태평양 지역 최대 모바일 기술 행사, 2025 상하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참관기
중국 2025-07-14
-
2
사우디 개정 투자법 시행…내·외국인 투자자에 동일한 기회 보장
사우디아라비아 2025-05-26
-
3
AI, 오스트리아 스타트업 투자 유치 중심축으로 부상
오스트리아 2025-07-11
-
4
2025 사우디아라비아 기가 프로젝트 현황 및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2025-03-14
-
5
중국 핵심광물 재활용 시장동향
중국 2025-07-14
-
6
일본 전고체전지 시장 연평균 27.8% 성장, 2030년 상용화 경쟁 본격화
일본 2025-07-14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