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공장 건축 산업 발전 현황 및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5-07-08
  • 출처 : KOTRA

사회 인프라 건설의 지속적인 투자와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인 발전으로 중국 공장 건축 산업 시장 규모 지속 확대

중국 공장 건축 시장의 성장 동력: ①산업 구조 업그레이드, ②신산업 발전, ③정책적 요인

공장 건축물은 산업 생산 활동을 위해 특별히 설계 및 건설된 건축물로 생산 공장, 보조 공장, 창고 등을 포함한다. 공장 건축은 생산 공정, 장비 설치 및 운영, 자재 운반 등 여러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공간이 넓고 구조가 견고하며 강한 하중을 견뎌야 해 설계가 까다롭다.


최근 몇 년간 중국 공장 건축 산업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사회 인프라 건설의 지속적인 투자와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인 발전 때문이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전체 사회 건설업 부가가치는 8조9949억3000만 위안을 달성, 전년 대비 3.8% 증가했고, 그중 공장 건축은 중요한 구성 요소로 꾸준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옌푸화연구원(中研普华研究院)에서 발표한 《2025~2030년 중국 공장 건축 산업 시장 조사 분석 및 발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중국 공장 건축 시장 규모는 3조4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8.3%로, 2030년 시장 규모는 5조5000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2019~2025년 중국 공장건축 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중국 공장 건축 시장의 성장 동력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산업 구조 업그레이드다. 전통 제조업이 스마트 제조로 전환되면서 모듈식 공장 건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배터리 업체 CATL(宁德时代)이 쓰촨성 이빈(宜賓)에 건설한 배터리 슈퍼 공장은 세계 최초 "무탄소 배터리 공장+스마트 물류" 설계를 채택해 생산 효율을 40% 향상시켰다.


둘째, 신산업의 발전이다. 신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의약 등 신산업 분야의 전문 공장 건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장강삼각주(長三角) 지역에 최근 조성된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클러스터, SMIC(中芯国际)의 반도체 웨이퍼 라인 확장 등이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25년 중국의 반도체 팹(클린룸) 건설 시장 규모는 800억 위안에 달하며 연간 성장률은 15%를 초과할 전망이다.


<리샹 자동차(理想汽车) 창저우(常州) 공장의 로봇 자동화 시설>

[자료: 신화사(新华社)]

 

셋째, 정책적 요인이다. 예를 들어, 중국이 코로나 기간 긴급히 건설한 의료물자 공장은 정책 주도하에 탄생한 산물이다. 중국 당국은 2025년까지 신규 건축물 중 조립식 건축 비중 30%라는 목표를 세우고 녹색 건축 관련 표준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정책 법규는 공장 건축을 저탄소화, 산업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중국 공장건축 트렌드: 스마트와 친환경


2025년 중국 스마트 공장 시장 규모는 1조2000억 위안에 달해 전체 공장 건축 산업에서 35%를 차지할 전망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테슬라의 상하이 슈퍼 공장을 들 수 있다. 테슬라 상하이 슈퍼 공장은 상하이 린강신구(临港新区)에 위치해 있으며, 공장 면적은 86만 제곱미터로 중국 최초의 외국인 단독 투자 완성차 제조 프로젝트이며 테슬라 최초의 해외 공장이기도 하다. 이 공장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통해 전 프로세스 주기 관리를 하고 있으며, 공정 소요시간을 20% 단축했다. 중국 승용차시장정보 연락회(乘联会)의 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테슬라 상하이 슈퍼 공장은 5월에 전기차 7만2573대를 인도했으며, 8월에는 8만6697대를 인도했다.


한편, 2025년 2월 11일, 테슬라의 중국 첫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메가팩(Megapack) 배터리'의 정식 생산 개시와 함께 테슬라 상하이 에너지 저장 슈퍼 공장도 정식적으로 가동되었다. 테슬라의 공식 소개에 따르면 공장 부지는 약 20만 제곱미터이며, 용접 공장의 용접 자동화 비율은 이미 90% 이상에 달한다.


<테슬라 상하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슈퍼 공장>

[자료: sina 뉴스(新浪)]


중국의 탄소저감을 위한 ‘쌍탄목표-탄소 정점(碳达峰)과 탄소 중립(碳中和)’ 추진에 따라 공장 건설에도 친환경 건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2025년 중국 신규 건설 또는 개조되는 친환경 산업단지 총 면적은 5000만 제곱미터를 초과할 전망이며, 그중 바이오의약 단지 비중은 30%로 높아지고, 클린룸, 위험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국가 차원에서 누계로 친환경 공장 5095개소, 그린 산업단지 371개소를 육성했다.


올해 연초에 장쑤성(江苏省) 최초이자 난징의 첫 제로카본 단지 프로젝트인 장다오 지리팡(江岛智立方) 제로카본 단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공되었다. 단지는 저밀도 R&D 오피스 빌딩 8동을 주체로 제로카본 건축, 그린 전력 축선, 탄소 포집 기술, 빗물 재활용, 녹화 탄소흡수원, 습지 탄소흡수원 등 10개의 제로카본 기술 시스템과 20개의 제로카본 기술 조치로 구성해 단지 건축물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을 전면적으로 감소시키고 제로카본 운영 목표를 실현했다.


<장다오 지리팡(江岛智立方) 제로카본 단지 프로젝트 전경>

[자료: news.longhoo(南京要闻)]


공장 건축 산업의 지역별 발전상황


지역

발전현황

대표사례

동남연해

-반도체, 첨단제조업 공장 집중 지역

-장강삼각주(长三角), 주강삼각주(珠三角) 지역이 중국 시장 점유율의 45%를 차지

-토지 비용과 환경 보호 제약의 영향으로 성장률은 8% 미만

-TSMC(난징) 웨이퍼 파브

-CATL(푸젠) 배터리 슈퍼 공장

동북지역

-전통공업 및 자동차 산업 위주

-선양(沈阳),롄(大连) 등 도시에서는 정책 지원을 통해 조립식 건축 비중이 40% 차지

-시장 점유율 중국 시장의 10%에 불과함

-브릴리언스-BMW 선양 타이시(铁西) 공장

-FAW 홍치(훙치, 红旗)(창춘) 신에너지 공장

서남지역

-전자 및 바이오의약 산업 공장 위주

-서부 "육해신통로(西部陆海新通道)" 정책 혜택으로 2025년 공장 건축 투자 성장률이 15%에 달할 전망

-청두-충칭(成渝) 경제권은 IT, 신에너지 자동차에 집중해 산업 클러스터 구축

-BOE(청두) 제6세대 플렉서블 AMOLED 공장

-윈난바이야오(云南白药)(쿤밍) 스마트 공장

서북지역

-신에너지 및 신소재 공장 위주

-2023년 서북 지역 산업 건축업 생산액 증가율은 12.1%(중국 평균 7.3%)였지만, 단위 면적당 건설 비용이 동부 지역보다 15~20% 높음

-LONGi Green Energy(隆基绿能)(시안) 태양광 산업단지

-칭하이타이펑(青海泰丰)(시닝) 리튬 전지 소재 기지

[자료: 중국산업연구망(中国行业研究网ChinaIRN)]

 

경쟁현황 및 기업동향

 

2025년 중국 공장 건축 산업 CR10(상위 10개 기업 집중도)은 18%이며, 그 중 중앙 국유기업(央企)과 지방 국유 기업이 대형 인프라 및 첨단 제조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건설(中国建筑), 중국중철(中国中铁)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단지 건설에서 6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민영 기업은 세분화된 분야에 집중하며, 예를 들어, 동방유홍(东方雨虹)은 방수 소재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30%를 초과하고, 커슌(科顺股份)은 조경 공사 분야에서 차별화하고 있다.


또한 선두 기업은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있다. 예를 들어, 상하이건공(上海建工)은 독일 건설 로봇 회사를 인수해 스마트 건설 분야에 진출했다. 지역별 중소 기업은 지방 타깃팅 및 표준화 제품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데, 예를 들어, 중난건설(中南建设)은 장강삼각주(长三角) 지역에서 모듈식 공장 제품을 출시해 납기 주기를 40% 이상 단축했다.


<중국 공장건축 분야 주요 기업>

기업명칭

기업소개

성공사례

기업로고

中国建筑

(중국건축)

-"투자+설계+시공+운영" 통합 모델을 통해 2025년 공장 건축 매출 비중을 35%로 높임

-국가급 기업 기술 센터 보유, 조립식 건축,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 분야 특허 수 업계 1위

CXMT (合肥长鑫存储) 신규 라인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 기술 전 과정 적용, 공사 기간 20% 단축


上海建工

(상하이젠공)

-린강신구(临港新区프로젝트에서 3D 프린팅 건설 기술을 적용해 임시 시설 건설, 비용 30% 절감


-2025년 해외 주문 비중 15% 달성, 동남아, 중동 시장에 수출

테슬라 상하이 공장 3단계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시공 장비 채택으로 인력 효율화, 시공 효율 25% 향상


东方雨虹

(동방위홍)

-"스페이스 포트(太空堡)" 시리즈 방수 시트 출시, 내구성 50% 향상


-전국에 3000개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대응 속도 업계 선도

CATL 배터리 공장 프로젝트에서 제로 누수(零渗漏) 실현

中建科工

(중젠커공)

리튬전지/태양광 선두 기업(CATL, BYD 등)과 협력, 2023년 신에너지 공장 주문 비중 68% 달성

CATL 자오칭(肇庆) 기지에서 전 볼트 연결 조립 기술 채택, 주 공사기간 40% 단축

中铁建工

(중톄젠공)

-세계 최초 「공기 부상 진동 차단(气悬浮隔震)」 기술 개발(진동 제어 ≤1μm), 노광기급 미세 진동 요구 충족


-반도체 국산화에 맞춰 고급 시장 선점

YMTC 우한 (국내 최초 3D NAND 웨이퍼 파브), 우시바이오(药明生物) 항저우 CDMO 공장 시공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미래 발전 트렌드

 

중국 공장 건축 산업은 앞으로 세 가지 중요한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첫째, 기술 발전으로 스마트, 그린 기술이 융합되어 2025년까지 BIM(Building Informaiton Modeling) 기술 적용률이 50%를 초과하고, 건설 로봇이 고위험 인력(벽돌 쌓기, 도장 작업 등)을 대체하며, 동시에 태양광 지붕은 연간 성장률 50%를 초과하고, 신형 녹색 건축 자재 사용률은 10%를 돌파해 공장이 "에너지 소비자"에서 "에너지 생산자"로 변신할 것이다.


둘째, 첨단공장의 신규 건설과 노후 공장의 개조다. 반도체, 바이오의약 등 첨단 공장 수요가 급증(연간 20% 증가)하는 동시에 2000억 위안 규모의 노후 공장 개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에너지 절약 시스템과 스마트 물류 현대화에 중점을 둔다.


셋째, 친환경 정책 강화로 2025년부터 신규 공장은 탄소 배출을 40% 감축해야 하며, 노후 건축물은 더 엄격한 안전 검사를 통과해야 해 첨단 친환경 공장으로의 전환이 빨라질 것이다. 미래 공장 건축은 "고효율 스마트 생산 시스템”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기술, 수요, 정책이라는 세 가지 동력이 모두 필수적이다.


인터뷰(殷涛/인타오, CEO, 西安山工国际建筑工程有限公司/시안산공국제건축공정유한공사)


Q1. 회사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


A1. 저희 회사는 2013년 4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섬서성(陕西省) 시안시(西安市)에 위치해 있습니다. 저희 회사의 주요 업무는 기계전기 설치, 공업·민간 건축 등 공정 사업이며, 건설공사 총괄 도급을 비롯한 다수의 전문 자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 범위는 중국 여러 성(省)과 "일대일로(一带一路)" 해외 프로젝트를 아우르며, 2022년 시안 페이화 대학(西安培华学院)과 산학협력을 체결해 실무형 인재 양성에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의 사업 발전을 거쳐 2025년 기준 회사 등록 자본금은 6000만 위안, 사회보험 가입 직원 수는 243명입니다.


Q2. 중국 공장 건축 산업의 미래 발전 추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2. 앞으로 공장은 단순히 기계를 넣는 장소가 아니라,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고 데이터로 움직이는 ‘살아있는 생산 시스템’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상하이의 테슬라 공장처럼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깔아 전기를 자체 생산하고, 로봇이 벽을 쌓고 용접하며, 3D 디자인(BIM)으로 공사 기간을 30%나 줄이는 겁니다. 중국 정부도 2025년부터 신규 공장에 ‘탄소 40% 감축’을 의무화할 예정이라, 재생에너지 결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전지·바이오 같은 초정밀 산업의 요구도 커지고 있어 먼지 한 톨 없이 깨끗한 ‘클린룸’급 공장이 늘어나는 반면, 낡은 공장들을 첨단화하는 개조 붐이 일어날 겁니다. 결국 기술(로봇/BIM)·정책(탄소 규제)·수요(고부가가치 산업)가 삼각편대를 이루며, 공장을 ‘스마트 그린 플랜트’로 재탄생시킬 겁니다. 간단히 말해, "미래의 공장은 지어지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진화’한다"라고 보면 됩니다.


Q3. 중국 공장 건축 산업의 미래 발전이 직면한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3. 미래 중국 공장 건축 산업은 네 가지 핵심적인 도전에 직면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첫째, 기술 업그레이드 비용이 높고(예: 건설 로봇 투자 비용 15% 상승), 동시에 고급 기술은 수입에 의존하며 전문 인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둘째, 녹색 전환의 난관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태양광 지붕 등 저탄소 솔루션 건설 비용이 급증하지만 투자비용 회수 기간은 10년이나 걸립니다. 셋째, 안전문제로 노후 공장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진행 시 인력과 예산의 제한으로 약 20%만 정밀 안전검사가 가능해 나머지 80% 가량은 안전위험에 노출되게 됩니다. 넷째,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어 중앙 관영 기업이 고급 주문의 75%를 독점하고 중소 기업은 저수익 경쟁에 직면하게 됩니다. 또한 해외 프로젝트는 현지화 적응 문제도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미래 중국 공장 건축 산업 발전의 잠재적 위험을 보여줍니다.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신화사(新华社)sina 뉴스(新浪)news.longhoo(南京要闻)중국산업연구망(中国行业研究网ChinaIRN),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시안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공장 건축 산업 발전 현황 및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