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라면 시장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김유림
- 2025-06-11
- 출처 : KOTRA
-
홍콩 라면 시장은 연평균 5.3%의 성장률로 2029년 3억3670만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
중국 본토, 동남아 등으로부터의 수입 증가로 한국산 라면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주춤
프리미엄화, 매운맛 제품 개발, 동남아시아 풍미의 접목, 유통 다각화 등의 전략을 통해 홍콩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그 밖의 파스타(라면 등)
1902.30
시장 규모 및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 라면 시장 규모는 2020년 2억3140만 달러에서 2023년 2억4910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2025년에는 2억737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2025년부터 연평균 5.3%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9년에는 3억367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라면 제품의 지속적인 발전과 소비자 수요의 변화에 기인한다. 특히, 현지 입맛에 맞춘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프리미엄화, 건강 및 편리성을 강조한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디지털화를 통한 마케팅 전략 강화 및 유통 채널의 확장이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9~2029년 홍콩 라면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홍콩의 라면(HS 1902.30) 품목 전체 수입 규모는 약 1억9256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0.5%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지역은 중국 본토(49.2%), 일본(19.8%), 한국(7.9%) 순으로 집계됐다. 2024년 기준, 한국의 수입 규모는 1522만 달러를 기록하며, 최근 3년 동안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의 표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최근 한국으로부터의 라면 수입 감소세는 중국 본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으로부터의 라면 수입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22~2024년 홍콩 라면 수입 추이 (HS Code 1902.30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시장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198,239
191,649
192,555
100
+0.5
1
중국 본토
87,568
88,733
94,658
49.2
+6.7
2
일본
44,385
41,527
38,120
19.8
-8.2
3
한국
19,787
17,774
15,224
7.9
-14.4
4
대만
12,597
11,418
11,707
6.1
+2.5
5
인도네시아
9,656
9,859
10,290
5.3
+4.4
6
태국
11,247
10,928
10,246
5.3
-6.3
7
베트남
6,750
6,569
5,690
3.0
-13.4
8
말레이시아
2,448
2,398
3,508
1.8
+46.3
9
싱가포르
1,210
545
786
0.4
+44.3
10
필리핀
588
655
736
0.4
+12.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5.20.]
경쟁 동향
홍콩 라면 시장에서는 현지 브랜드와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주요 브랜드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홍콩 브랜드 소우타오(Sautao)는 프리미엄 식재료와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전복과 치킨 수프 맛의 QQ Vermicelli – Abalone & Chicken Soup Flavour를 선보이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홍콩 브랜드뿐만 아니라 해외 브랜드 역시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일본의 닛신(Nissin)이 출시한 Demae Iccho 시리즈는 1969년 홍콩에서 처음 선보인 이후 오랜 시간 동안 홍콩을 대표하는 라면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Japan Formula Style 시리즈는 일본 현지의 맛과 품질을 강조하며, 대표 제품인 Demae Iccho Tonkotsu Ramen을 통해 일본 라면의 이미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또한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홍콩 현지화 버전은 20가지 이상의 다양한 맛을 제공하며, 일본에서는 출시되지 않은 독특한 맛까지 포함돼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기념품으로 추천되고 있다.
닛신은 최근 동남아시아 컵라면 시리즈를 선보이며, 그중 Singapore Laksa 맛은 2024 Japan Mognavi Instant Noodle Awards에서 라면 부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홍콩에서도 동남아시아 라면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인도네시아 라면 수입은 전년 대비 4.4% 증가하며 3년 연속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인도미(Indomie)의 Mi Goreng Noodles는 홍콩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제품은 풍부한 양념소스와 쫄깃한 인도네시아 미고랭 면발로 홍콩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의 라면도 홍콩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2024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라면 수입 역시 전년 대비 각각 46.3%와 44.3%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말레이시아 브랜드 마이쿠알리(MyKuali)의 Penang White Curry Noodle은 매콤한 맛에 카레와 코코넛 향이 조화를 이루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싱가포르 브랜드 프리마 테이스트(Prima Taste)가 선보인 Laksa 라면은 듀럼밀(durum wheat flour)로 만들어 쫄깃한 식감을 자랑하며, 동남아시아 특유의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 세 가지 제품 모두 할랄(halal)* 인증을 받아 다양한 소비자층으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
*주: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따르면, 할랄(halal)이란, 신이 허락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과일, 채소, 곡류 등 모든 식물성 음식과 어류, 어패류를 비롯한 해산물 중 이슬람 율법에서 허용된 것, 그리고 신의 이름(비스밀라, Bismillah)을 외우며 이슬람 방식으로 도살된 육류 및 이를 원료로 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을 포함한다.
한편, Euromonitor에 따르면, 한국 농심 신라면(Shin Ramyun)과 같은 매운맛 라면은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주요 인기 맛 순위에서 3위에서 2위로 상승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이처럼 최근 홍콩 라면 시장에서는 변화하는 소비자 입맛과 요구를 반영한 현지화된 맛의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매운맛 라면의 지속적인 인기에 더해, 동남아시아 현지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제품들이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홍콩 Wellcome마트 및 HKTVmall 내 유통되고 있는 라면 제품>
브랜드
제품명
제품 이미지
가격
수량
소우타오
(Sau Tao)QQ Vermicelli- Abalone& Chicken Soup Flavour
HK$21.00
(US$2.69)4봉지
닛신
(Nissin)Demae Iccho Tonkotsu Ramen
HK$16.00
(US$2.05)5봉지
농심
(Nong Shim)Shin Ramyun
HK$25.00
(US$3.21)5봉지
인도미
(Indomie)Mi goreng Noodles
HK$24.00
(US$3.08)5봉지
마이쿠알리
(MyKuali)Penang White Curry Noodle
HK$30.50
(US$3.91)4봉지
프리마 테이스트
(Prima Taste)Laksa Noodles
HK$102.00
(US$13.08)4봉지
[자료: Wellcome, HKTVmall, KOTRA 홍콩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홍콩 소비자들은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손쉽게 라면을 구매하고 있다. 주요 구매 채널로는 편의점, 슈퍼마켓, 소규모 식료품점,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있으며, 각 채널은 특유의 장점으로 다양한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1. 편의점
편의점은 뛰어난 접근성과 긴 운영 시간 덕분에 홍콩 소비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7-Eleven과 Circle K 같은 주요 편의점 체인은 홍콩 전역에 촘촘히 분포돼 있으며, 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체 유통 채널 매출의 약 7.3%를 차지한다. 편의점은 늦은 시간까지 영업하며, 소량의 라면을 빠르고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어 바쁜 일상을 보내는 소비자들에게 최적화된 구매 옵션을 제공한다.
2. 슈퍼마켓
슈퍼마켓은 대량 구매가 용이하고 다양한 브랜드와 맛을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Wellcome, ParknShop, Marketplace by Jason과 같은 대형 체인을 중심으로, 슈퍼마켓은 전체 유통 채널 매출의 약 64.1%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폭넓은 상품 구성과 높은 편의성 덕분에 슈퍼마켓은 홍콩 라면 시장의 핵심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3. 소규모 식료품점
소규모 식료품점은 지역 밀착형 쇼핑 공간으로, 전체 유통 채널 매출의 약 18.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채널은 특정 브랜드나 제품을 빠르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 소비자들에게 선호된다. 접근성이 뛰어나고 친근한 분위기를 제공해 지역 주민들과의 유대감을 강화한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4. 전자상거래 플랫폼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최근 빠르게 성장하며 주목받고 있는 구매 경로다. 대표적으로 HKTVmall이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체 유통 채널 매출의 약 6.9%를 차지한다. 다양한 브랜드 선택과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집까지 배달되는 편리함 (Wellcome, ParknShop, Marketplace by Jason, JHC 등) 덕분에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처럼 홍콩에서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수요에 맞춘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라면을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은 고유한 강점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홍콩의 라면 수입 관세율은 0%다.
* 홍콩 해관 홈페이지 참조: https://www.customs.gov.hk/en/service-enforcement-information/trade-facilitation/prohibited-articles/controlled-imports/index.html
홍콩에서는 다양한 조례에 따라 금지 또는 통제 품목의 수입·수출 시 유효한 허가증이나 퍼밋(permit)이 반드시 필요하다. 식품을 수입할 경우, 식품안전조례(Food Safety Ordinance (Cap. 612))에 따라 식품환경위생부(Food and Environmental Hygiene Department, FEHD)에 식품수입상 또는 유통업자로 등록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수출업체의 원산지 위생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특히, 육류·유제품·해산물 등 일부 식품에는 추가적인 법적 요건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 요건은 식품안전센터(Centre for Food Safety, https://www.cfs.gov.hk/english/index.html)에서 확인해야 한다. 세관 통관을 위해서는 선하증권(manifest), 수입·수출 허가증 또는 반출 허가서(해당 시), 기타 관련 서류(항공화물운송장, 송장, 포장명세서 등)가 필요하다. 또한, 「수입 및 수출(등록) 규례(Cap. 60E)」에 따라 면제 품목을 제외한 모든 수입·수출자는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 후 14일 이내에 세관에 정확하고 완전한 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시사점
홍콩 라면 시장은 2025년 2억7370만 달러에서 연평균 5.3% 성장해 2029년 3억367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세는 프리미엄 제품 개발, 건강과 편리성을 강조한 혁신, 디지털 마케팅 및 유통 채널 확장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동남아시아 특유의 풍미를 반영한 라면 제품이 주목받고 있어 시장 확장의 새로운 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홍콩 소비자들은 매운맛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라면 특유의 깊은 풍미와 독특한 맛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건강과 편리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강해, 고품질 재료를 사용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주요 구매 채널로는 편의점(7-Eleven, Circle K)과 슈퍼마켓(Wellcome, ParknShop)이 있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HKTVmall)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디지털 유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 기업은 프리미엄 제품과 매운맛 라면을 활용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동남아시아 특유의 맛을 접목한 제품 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의 Laksa, Mi Goreng 등 현지화된 풍미를 반영한 라면을 개발해 다양한 소비자의 입맛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품질 재료를 사용한 건강 지향 라면과 다양한 매운맛 제품을 출시해 현지 소비자들의 선호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유통 전략 측면에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 모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편의점 및 슈퍼마켓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소비자 리뷰를 관리함으로써 온라인 판매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홍콩의 식품안전조례와 인증 요건을 철저히 준수해 신뢰를 확보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홍콩 라면 시장은 프리미엄화, 매운맛 제품 개발, 동남아시아 풍미의 접목, 유통 다각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유망한 시장이다. 특히 매운맛과 동남아시아 풍미를 선호하는 소비자를 겨냥한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한국 라면의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Wellcome, HKTVmall, South China Morning Post, orangenews, Nissin, hk01,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홍콩 세관 및 소비세청 (Hong Kong Customs and Excise Department),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라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아시아 최대 식품 전시회, THAIFEX 2025 참관기
태국 2025-06-20
-
2
할랄 산업으로 눈 돌리는 필리핀, 수출 시장의 새 키워드 되나
필리핀 2025-06-13
-
3
글로벌 현장에서 빛난 K-푸드, 미국 'NRA(레스토랑 전시회) 2025' 참관기
미국 2025-05-30
-
4
인도네시아 음료 시장 전망과 주요 트렌드
인도네시아 2025-06-12
-
5
호주 마스크팩 시장동향
호주 2025-06-10
-
6
멕시코 전기차 시장, 아시아·유럽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
멕시코 2025-06-10
-
1
2025년 홍콩 물류산업 정보
홍콩 2025-06-16
-
2
2025년 홍콩 바이오테크 및 보건용 의료기기 산업 정보
홍콩 2025-05-20
-
3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4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5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6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