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년 만에 빗장 열렸다” 필리핀, 한국산 가공 돼지고기 수입금지 해제
- 통상·규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형민혁
- 2025-05-21
- 출처 : KOTRA
-
ASF 이후 첫 공식 완화 조치, DA, 과학적 검증 통해 안전성 입증
수입 다변화 및 식품안보 강화, 한국 기업 수출 기회 확대 기대
필리핀, 한국산 돼지고기 수입 금지 해제
필리핀 정부가 약 6년 만에 한국산 가공 돼지고기 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를 해제했다. 필리핀 농업부(Department of Agriculture, DA)는 지난 2019년,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이하 ASF)의 해외 확산 방지를 위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돼지고기 및 관련 제품의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
최근 필리핀 농업부는 수입위험분석(Import Risk Analysis, 이하 IRA)을 통해 한국산 가공 돼지고기 제품이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 이하 WOAH) 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한국산 제품이 70℃ 이상에서 최소 30분 이상 열처리하거나, F0값 3 이상의 열처리를 통해 ASF 바이러스가 비활성화됐음이 입증됨에 따라, 지난 5월 2일 필리핀 농업부는 DA 행정명령 제23호(DA Memorandum Order No. 23, Series of 2025)를 통해 해당 품목에 대한 수입 제한을 공식 해제했다. F0값은 섭씨 121.1℃에서의 멸균 누적 시간 기준, 식품 국제 안전성 지표로 3이상은 121.1℃에서 박테리아 멸균 효과가 3분간 유지됐음을 의미한다.
<행정명령 제23호(DA Memorandum Order No. 23, Series of 2025)>
[자료: 필리핀 농무부(DA)]
수입 재개는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요청과 과학적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DA는 “한국은 엄격한 수의감독 체계와 ASF 방역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해당 품목은 WOAH 기준상 안전한 제품으로 인정된다”고 밝히며, 이번 조치로 국내 육류 공급 다변화와 소비자 선택권 확대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또한 DA는 ASF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이하 HPAI) 등 주요 동물 질병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기관 합동 축산 데이터 분석 그룹(Inter-Agency Livestock Data Analytics Group, 이하 ILDAG)을 재가동하고, 10억 페소 규모의 양돈 산업 재건 프로그램도 추진하고 있다. DA는 해당 수입 금지 해제로 향후 한국과의 농축산물 교역 확대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필리핀 연간 돼지고기 소비량 및 소비 트렌드
필리핀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돼지고기 소비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평가된다. 미 농무부 해외농업서비스(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USDA FAS)마닐라 사무소가 발표한 최근 보고서는, CWE 기준으로 필리핀의 2025년 돼지고기 소비량을 157만 9000톤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2% 증가한 수치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가 소비 확대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CWE(carcass weight equivalent)는 도축 직후의 뼈, 피, 내장 등을 제거한 고기(도체)의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식이다.
<최근 3년간 필리핀 연간 돼지고기 생산·소비·수입 추이(CWE 기준)>
(단위 : 천 톤)
연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2023
1,050
1,522
448
2024
1,040
1,548
480
2025 (전망)
1,060
1,579
510
[자료: 미국농무부(USDA)]
2023년 필리핀의 연간 돼지고기 소비량은 152만 2000톤, 2024년에는 154만 8000톤으로 소폭 증가했다. ASF 확산과 생산 차질로 인해 감소세를 보였던 소비는 2024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회복세로 전환됐다. 다만, 보고서는 인플레이션 압력과 식품 가격 상승이 중산층의 구매력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일부 소비층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닭고기와 가공육 제품으로 소비를 전환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4년에는 높은 물가로 인해 돼지고기 소비가 둔화됐지만, 2025년에는 필리핀 경제 회복세와 인구 증가에 힘입어 재차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필리핀 내 공급 측면에서는 2025년 돼지고기 생산량을 106만 톤(CWE 기준), 수입량은 51만 톤으로 예측하며, ASF로 인한 피해로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필리핀 식품안보 정책과 수입 확대 기조
필리핀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된 ASF 확산,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 감소,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으로 식량안보 확보와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했다. 이에 대응해 농축산물 수입 확대와 관세율 인하, 수입절차 간소화 등 다각적인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필리핀 대통령령 제62호(Executive Order No. 62, 이하 EO 62)(링크)에 따라 쌀, 돼지고기, 옥수수 등 주요 농산물의 한시적 수입관세 인하 조치를 2028년까지 연장했으며, 주요 수입품에 대한 디지털 통관 시스템 도입, 인증·서류 간소화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하였다. 이는 필리핀 정부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국내 식료품 인플레이션(2024년 평균 4.4% 기록, 필리핀 통계청)에 대응해 취한 구조적 조치다.
특히 필리핀은 ASEAN 자유무역협정(ASEAN Free Trade Area, 이하 AFTA)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이하 RCEP)을 통해 대부분의 역내 품목에 대해 무관세 또는 기존 최혜국(Most Favored Nation, 이하 MFN)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어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긴급 추가 수입도 허용하는 등 유연한 시장 대응 방식을 강화하는 추세다. 이러한 포괄적인 수입 확대 기조와 규제 완화 정책의 흐름 속에서, 필리핀 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특정 국가의 농축산물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시장 개방 정책의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이는 앞으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농식품 수출업체들에게 필리핀 시장에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점
필리핀 정부의 한국산 가공 돼지고기 수입 제한 해제는 국내 공급 안정화를 위한 수입 확대 기조 속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ASF 확산 이후 필리핀은 국제 검역 기준을 충족한 국가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시장을 개방해 왔으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으로 평가된다. 필리핀 정부의 포괄적 농축산물 수입 정책과 맞물려 향후 다양한 국가와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 농축산업계 입장에서는 K-Food와 프리미엄 식품군에 대한 현지 수요 증가, 필리핀의 지속적인 관세 인하 및 통관 간소화 조치와 맞물려 유리한 진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필리핀 페소화 변동, 국제 물류비, 수입 규정 강화 등 시장 리스크도 병존하고 있어, 기업들은 지속적인 시장 동향 분석과 전략적 대응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필리핀 농무부(DA), 미국농무부(USDA), 필리핀 대통령궁(PCO), 필리핀 관보(Official Gadget in Philippines), 미국 상무부 국제무역청(ITA), Philippines News Agency 및 KOTRA 마닐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6년 만에 빗장 열렸다” 필리핀, 한국산 가공 돼지고기 수입금지 해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튀르키예, 2025 국제 에너지 및 환경 박람회(ICCI) 참관기
튀르키예 2025-05-21
-
2
‘저당’은 선택 아닌 필수, 변화하는 중국 식품 트렌드
중국 2025-05-21
-
3
두바이발 무역·투자·대출 사기 사례 유형 총정리
아랍에미리트 2025-05-21
-
4
캐나다 화장품 라벨링 규정 A to Z
캐나다 2025-05-21
-
5
캐나다 식품 라벨링 규정 A to Z
캐나다 2025-05-21
-
6
의약품 관세 부과와 약가 인하 추진하는 미국, 제약 업계 공급망 영향은?
미국 2025-05-26
-
1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2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3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4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5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