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르나타카 주 정치 지형 및 경제 협력 전망
- 경제·무역
- 인도
- 벵갈루루무역관 이정빈
- 2025-04-25
- 출처 : KOTRA
-
중앙정부와 다른 정치 지형을 보이는 카르나타카 주
첨단산업 육성 등 한국과의 협력 기대
카르나타카주는 오랜 기간 정보기술(IT) 산업의 중심지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몇 년간 항공우주, 인프라, 방산, 바이오 등 고부가가치 산업 전반으로 산업 기반이 다변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 대한 투자 의존도를 낮추고자 인도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카르나타카가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카르나타카 산업단지개발청(KIADB, Karnataka Industrial Areas Development Board), 벵갈루루-마이소르 인프라 회랑(BMIC, Bengaluru Mumbai Industrial Corridor), 국가 제조 투자지구(NIMZ, National Investment and Manufacturing Zones)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 클러스터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위한 기반도 탄탄히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외국인 투자자들은 카르나타카의 정책 일관성 부족과 불확실한 인센티브 체계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벵갈루루에 진출한 A사 지사장은 “투자 유치와 산업 정책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인센티브 제공과 중장기 인프라 프로젝트에 있어 행정의 일관성이 다소 부족한 점은 투자 결정 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정치적 안정성은 투자 결정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본 뉴스에서는 카르나타카의 정치 지형을 먼저 살펴본 뒤, 향후 중점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함께 조명하고자 한다.
중앙-주 정부 간 정치적 방향성 차이
2025년 4월 기준, 인도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당(BJP)이 연방정부를 이끌고 있으며, BJP 주도의 국민민주연합(NDA)은 하원(로크사바) 543석 중 293석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한때 집권당이었던 인도국민회의(INC)는 현재 91석을 보유하고 있다. 모디 정부는 ‘메이크 인 인디아’로 대표되는 친기업·인프라 중심의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앙집권적 성향으로 인해 주 정부의 정책 자율성을 제약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카르나타카는 이러한 중앙정부와는 상반된 정치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2023년 5월부터 시다라마이아 주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회의(INC) 정권이 출범한 이후, 복지 확대, 산업 다변화, 외국인 투자 유치 등에서 보다 포용적이고 차별화된 정책 노선을 펼치고 있다.
카르나타카 주 정치 지형의 변화와 산업정책 특징
카르나타카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정치 연합과 정권 교체를 겪으면서도, 산업 발전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있어 지속적인 시도를 이어왔다. 아래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정치 일정과 산업정책 관련 흐름을 정리한 표이다.
<2004년~현재 카르나타카 주 정치지형 변화 및 산업정책 특징>
기간(연도)
집권 정당
주총리
주요정책 및 산업 특징
2004-2006
INC-JD(S) 연합정부
다람 싱(INC)
IT 인프라 초기 기반 조성. 도로 등 PPP 방식 인프라 확충 추진.
2006-2007
JD(S)-BJP 연합정부
H.D.쿠마라스와미(JD-S)
정치적 불안정으로 정책 실행력 저하. 인프라 지연으로 투자심리 위축.
2008-2013
BJP
B.S. 예디우라파
자동차 제조업 유치, 주요 고속도로 개선. GIM(Global Investors' Meet) 2012에서 1.6조 루피 규모 MOU 체결.
2013-2018
INC
시다라마이아
2018-19 예산에서 BT, IT, 과학기술에 247억 루피 배정. 바이오 투자 유치 정책 강화.
2018-2019
INC-JD(S) 연합정부
H.D.쿠마라스와미 (JD-S)
연합정부 불안으로 정책 방향성 혼선. 투자자들의 유보적인 태도 증가.
2019-2021
BJP
B.S.예디우라파
GIM 재개로 국내외 투자 유치 재활성화. 투마쿠루 등 산업노드 개발 집중.
2021-2023
BJP
바사바라즈 봄마이
글로벌 투자 유치 활동 적극화. CBIC(Chennai-Bengaluru Industrial Corridor) ·물류 허브 개발. 7,659.52억 루피 규모 산업투자 승인(1.8만명 고용 창출 기대).
2023-현재
INC
시다라마이아
복지 중심, 산업 다변화, 외국인 투자 확대 기조 지속 중. 첨단 산업 중심 장기 투자 전략 추진.
현 정부의 산업 육성 정책 및 투자 계획
현 카르나타카 주정부는 산업 고도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목표로, 첨단 제조부터 반도체, 바이오, 기술인력 양성에 이르는 분야별 중장기 투자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시다라마이아 정부 산업 육성 정책>
분야
주요내용
첨단 제조 및 정밀가공
칼라부르기, 다르와드 등 북부권에 1,000억 루피 이상 투자 계획. CNC·정밀공학·적층 제조 기술 육성 및 중소기업 참여 확대.
배터리 저장 및 재활용
벵갈루루·후발리 지역에 연구소·재활용센터 등 조성. 400억 루피 지원. EV 정책과 연계.
전자∙반도체 생태계 조성
투마쿠루·콜라르 산업지구 개발, 30% 설비 투자보조금 등 인센티브 확대. 향후 2년 내 3,000억 루피 민간투자 기대
바이오 산업
벵갈루루·마이소르·망갈루루에 공공-민간 R&D 센터 설립, 1천2백억 루피 일자리 창출 목표. 진단장비·AI 헬스케어 제품 중심.
기술인력 양성
다반게레·비다르·치트라도르가 등 2~3급 도시 중심으로 50개 폴리텍 개편, 로보틱스·EV 정비 등 신기술 도입. 200억 루피 예산 투입.
행정 간소화, 투자지원 개혁
카르나타카 우디요그 미트라(KUM) 포털 고도화, 승인기간 85일→30일 단축. 다국어 지원 헬프데스크 도입.
한국-카르나타카 경제협력 전망
2024년 6월, M.B. 파틸 산업부 장관이 이끄는 카르나타카 주정부 대표단은 일본과 한국에서 열린 산업 협력 로드쇼 및 교류 행사에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서 한국 간 기술·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그 결과 ①청정에너지 및 배터리 기술, ②정밀가공 및 자동화 장비, ③스마트시티 및 도시 교통 인프라, ④의료 전자기기 및 진단기술, ⑤AI∙IoT 기반 산업용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B2B 스타트업 협업 등 5대 유망 협력 분야를 선정했다.
또한, KoINDEX 2024에 참가하여 기술,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9개 주요 분야의 250개 한국 기업과 교류했으며, 경기 스타트업 서밋 2024에도 초청돼 10개국 63개 해외 스타트업과 함께 혁신 클러스터 간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카르나타카는 한국과의 전략적 산업 협력을 한층 강화하며, 기술 기반 투자 유치와 글로벌 연계 확대의 기반을 다졌다.
시사점
카르나타카는 기존의 IT 중심 산업 구조를 넘어 항공우주,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분야로 산업 기반을 다변화하며, 글로벌 투자 유치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전환은 중앙정부와는 차별화된 정책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행정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확보해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특히 한국과의 산업 협력은 단순한 무역을 넘어, 기술 개발과 R&D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한국 기업들은 카르나타카의 인센티브 정책과 잘 조성된 산업 클러스터를 적극 활용해 인도 시장 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기술 협업의 기회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Business Standard, Business Finance India, The Economic Times, The Hindu Business Line, The NFA Post, Asian Community News, EIN Presswire, Karnataka Industries Press Release, Karnataka. gov. in, National Skill Development Corporation, KOTRA 벵갈루루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카르나타카 주 정치 지형 및 경제 협력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의 협력 관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
튀르키예 2025-04-25
-
2
광업 분야 ‘탄소중립 행사’로 인증…칠레 광업박람회 '엑스포민 2025' 참관기
칠레 2025-04-25
-
3
도미니카공화국, 2025년 최저임금 20% 인상
도미니카공화국 2025-04-25
-
4
일본 반려동물용품 전시회 '2025 도쿄 인터펫' 참관기
일본 2025-04-24
-
5
[기고] 인도 법인설립과 2025년 개인소득세율
인도 2025-04-23
-
6
아시아 방산산업 기회의 장, Aero India 2025 참관기
인도 2025-02-27
-
1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2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3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4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5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6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