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의 휴머노이드, 성공을 위한 핵심 키워드
  • 트렌드
  • 인도
  • 암다바드무역관 김규남
  • 2025-04-23
  • 출처 : KOTRA

1억 4000만 인구의 인도에서 보는 휴머노이드

인도 ADDVERB 회사, 로봇 개와 휴머노이드 개발 계획 발표

한동안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하게 만들었던 새로운 산업분야가 있었는데 바로 휴머노이드이다. 구글에서 투자했던 보스톤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가 그 중심이었다. 로봇 개 스팟(SPOT)과 휴머노이드 아틀라스(ATLAS)를 공개하며, 휴머노이드의 시대가 머지않았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2017년 구글은 보스톤 다이내믹스를 매각했고 소프트뱅크를 거쳐 현대자동차 그룹이 이를 인수했다.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대량생산을 통한 상업화에 근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문제는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 로봇 개 스팟의 기본 가격은 7만 5000 달러에 달하고, 휴머노이드는 아직 판매를 위한 가격조차 공개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다시 휴머노이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번에는 테슬라와 유니트리라는 기업이 그 중심에 있으며, 핵심은 시장에서 반응할 수 있는 가격이었다. 테슬라는 2027년 대량 생산시 판매가격을 2만 달러로 공개했고, 중국의 유니트리는 G1 모델을 공개하면서 자사 홈페이지에 1만 6000달러의 판매가를 게시했다. 초소형 승용차 가격 수준으로 일반인들도 관심을 가질 만한 가격대의 휴머노이드가 시장에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보스톤 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처럼 뛰고, 텀블링을 하는 정도의 기능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한 기능과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휴머노이드 제조사>

제품명

아틀라스

스팟

옵티머스

G1

이미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9pixel, 세로 45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38a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45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3pixel, 세로 33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9pixel, 세로 843pixel

제조사

보스턴 다이내믹스

보스턴 다이내믹스

테슬라

유니트리

가격(US$)

200,000(예상)

75,000

20,000

16,000

출시

미출시

2020

2025

2025

홈페이지

https://www.bostondynamics.com

https://www.tesla.com/AI

https://www.unitree.com

[자료: 제조사 홈페이지]

 

이러한 가운데 인도의 최대 재벌인 암바니 가문의 릴라이언스(RELIANCE)2022ADDVERB라는 로봇회사를 인수했고 최근, 이 기업이 로봇 개와 휴머노이드 시장진출을 발표했다. 인도는 인구가 14000만 명이 넘는 세계 1위 인구 대국이며, 1인당 국민소득이 3000달러가 되지 않는 곳이다. 저렴한 인건비로 풍부한 노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곳에서 휴머노이드 필요할까?

 

먼저, ADDVERB에 대해 알아보면, 이 회사는 2016년 인도 노이다에서 창업해 창고용 운송 로봇, 분류 로봇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FY 2017년 13만 달러이던 매출이 FY 20202300만 달러, FY 20234000만 달러까지 급격하게 성장했다. 2024ADDVERB는 로봇 개 TRAKR를 발표했고, 20252월 뭄바이에서 열린 LogiMAT INDIA 전시회에서 TRAKR 2.0을 공개했다. 더불어 휴머노이드 개발 계획을 언론에 발표했는데 휴머노이드의 상세한 개발 계획이나 일정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모회사인 릴라이언스의 AI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올해 안에 시제품을 선보일 것이라는 메시지를 SNS를 통해 공개한 바 있다. ADDVERB의 창업자이자 CEOSangeet Kumar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로봇기업으로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지만,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인간과 똑같은 형태로 휴머노이드를 만드는 것에 제한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인도의 휴머노이드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보다는 테슬라의 옵티머스에 더 가까운 컨셉을 추구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터뷰였다. 오히려 테슬라의 옵티머스보다 더욱 실용성과 효율성에 무게를 둔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후발 주자인 인도의 시장상황을 고려하면 유효한 제품 전략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제품전략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원가 절감을 통한 보급형 가성비 휴머노이드를 출시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이다. 전 세계 휴머노이드 시장규모는 2023년 1000 대 수준에서 2035130만 대를 예상하고 있으며, 재료비 등 제조원가의 급격한 절감을 연평균 20% 정도 예상한 낙관적인 예상치로는 2035650만 대까지 시장 규모를 예상할 수 있다.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

(단위: 천 대)

 [자료: Goldman Sachs, Humanoid Robot: The AI acceleration]

 

시장예측에서 특이한 부분은 이러한 휴머노이드의 산업용 수요의 비중과 일반 서비스용 수요의 비중인데 가격이 더 내려갈수록 서비스용 수요가 더 커짐을 볼 수 있다. 원가절감으로 인한 시장가의 하락이 클수록 가정이나 상업시설에서의 수요가 더 빨리 확대될 것이며, 결론적으로 이 서비스 휴머노이드 시장이 전체 휴머노이드 시장의 주류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사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생산라인을 따라 공장자동화를 하기 위한 로봇 팔 설비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굳이 휴머노이드의 폼팩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본 예상 시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산업용/서비스용 비중>

(단위: %)

 [자료: Goldman Sachs, Humanoid Robot: The AI acceleration]

 

<낙관적 예상 시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산업용/서비스용 비중>

(단위: %)

 [자료: Goldman Sachs, Humanoid Robot: The AI acceleration]

 

휴머노이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센서, 모터, 콘트롤러, 배터리, 통신 장비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분과, 인공지능을 포함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콘트롤 알고리즘, 음성, 표정 등 인간과 소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필요하다센서에는 카메라,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라이더 등의 기본 센서 외에도 토크센서(Torque Sensor) 등이 필요하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초기 휴머노이드에는 유압식 구동계가 적용됐으나 최근에는 전기식 모터로 모두 대체되고 있으며, 고효율의 배터리, 5G 네트워크 또는 필요에 따라 특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비도 필요하다. 자동차의 ECU에 해당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최고 수준의 안정성과 보안성이 요구된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AI도 필수적인 요소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거나 고객의 요구에 따라 자체적인 커스터마이제이션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업화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인도는 IIT(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등 우수한 공업대학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인력을 배출하고 있으며, INFOSYS, WIPRO, TATA CONSULTANCY 등 세계적인 기업이 있는 소트프웨어 강국이다. 릴라이언스 그룹 계열사의 JIO는 인도의 최대 5G 통신사업자이며, 또 다른 계열사 Hanooman AI 에서는 BHARAT GPT라는 생성형 인공지능 솔루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ADDVERB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창고형 운송로봇 개발을 통해 기본적인 센서와 구동계에 대한 기술은 있지만 전반적인 하드웨어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며, 이 부분은 우리나라의 로봇기업들이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다양한 액츄에이터, 감속기, 콘트롤러, 센서 등 인도의 휴머노이드와 협력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로봇청소기 등 가정용 서비스로봇에 대한 시장이 이미 활성화돼 있고 많은 경험이 있다는 것도 강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도 ADDVERB 로봇>

제품명

DYNAMO

VELOCE

TRAKR

미정

이미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1pixel, 세로 35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3pixel, 세로 59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5pixel, 세로 31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628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95pixel, 세로 336pixel

기능

창고 내 운송

창고 내 분류

로봇 개

휴머노이드

홈페이지

https://addverb.com/product-category/mobile-robots/

[자료: 제조사 홈페이지]

 

인도의 중산층은 집에 가사도우미를 쓰는 경우가 많다. 대략 1만 5000 루피의 월급을 받는데 달러로 환산하면 170달러 정도이다. 1년이면 약 2000 달러의 비용인데, 휴머노이드를 한 번 구매해서 4~5년 정도 집안일 정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가 상품화될 수 있다면 인도에서도 충분히 시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아직까지 ADDVERB에서는 가격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을 제시한 적이 없다. 다만 다른 제조사들의 움직임과 인도의 물가 상황, 2년 후 출시 시점을 예상한다면, 구매가격 만 달러 이하의 인도 휴머노이드 출시를 조심스럽게 예측하여 본다.

 


자료: MarketsandMarkets, Statista, Goldman Sachs, Grandview  research, 제조사 홈페이지(보스턴 다이내믹스, 테슬라, 유니트리, ADDVERB), Bloomburg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의 휴머노이드, 성공을 위한 핵심 키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