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잇따른 자연재해, 재앙 속 긴급 대비 용품 시장 수요 증가
- 트렌드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Chris Kim
- 2025-03-31
- 출처 : KOTRA
-
플로리다 허리케인, 마우이 산불, 캘리포니아 산불 등 역대급 자연재해 잇따라 발생
긴급 의료장비, 휴대용 발전기, 정수 필터 등 긴급 대비 용품 시장 급성장
미국에서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증가하고, 그 피해 강도 역시 높아지면서 긴급 대비 용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주, 오레곤주, 워싱턴주 등 서부 지역에서 매년 반복되는 대규모 산불과 허리케인, 홍수 등의 재난은 미국 가정과 기업이 대비책을 강화하도록 만들고 있다. 과거에는 정부 주도의 대응이 중심이었지만, 최근 들어 개인과 기업이 직접 비상 대비를 강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관련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점점 커지는 미국의 자연재해 피해 규모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NCEI)에 따르면, 1980년부터 2024년까지 미 연방 차원에서 선포된 재난 건수 중 각각 1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초래한 기상·기후 재해가 총 403건 발생했다. 2022년 허리케인 이언(Hurricane Ian)은 약 1120억 달러의 피해를 남겼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비용이 많이 든 자연재해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그다음 해인 2023년 하와이 마우이에서 발생한 산불은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2200여 개의 건물이 전소되는 등 미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 중 하나로 기록됐다.
<1980~2024년 미국의 피해 규모 10억 달러 이상의 자연재해 사건 수>
[자료: 미국 국립 환경 정보센터(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미 연방재난관리청(FEMA)에 따르면, 미국에서 자연재해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은 캘리포니아주다. 2021년 연방재난관리청이 발표한 ‘국가 위험도 지수’(National Risk Index)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는 모든 주 중에서 가장 높은 자연재해 위험 점수를 기록했다. 이 보고서는 지진, 산불, 홍수, 가뭄, 해안 폭풍 등의 발생 가능성과 피해 규모를 종합적으로 평가했으며, 캘리포니아는 특히 산불과 지진 부문에서 가장 큰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에 발생한 캘리포니아 산불은 재산 피해가 최소 500억 달러(약 73조 원)에 달하며, 일부 분석에서는 그 피해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미 연방재난관리청의 국가 위험도 지수>
*주: 붉은색으로 표시될수록 재난 위험이 높은 지역
[자료: 미국 연방 재난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긴급 대비 용품 시장의 급성장
자연재해의 증가로 인해 미국 내 긴급 대비 용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긴급 대비 용품엔 우선 응급 시 신속한 치료와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긴급 의료 장비가 있다. 자동 심장 충격기(AED), 산소마스크 등 산소 공급 장비, 응급 처치 키트가 대표적이다. 미국 조사기관 글로벌뉴스와이어(GlobalNewsWire)에 따르면, 글로벌 긴급 의료 장비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319억3000만 달러로 평가됐으며, 2025년에는 34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글로벌뉴스와이어는 이 시장이 연평균 성장률(CAGR) 약 6.5%의 속도로 빠르게 성장해 2033년까지 시장 규모가 599억3000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고위험 지역에서는 비상 발전기와 정수 시스템 역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산불과 허리케인으로 인해 대규모 정전 사태가 잦아지면서,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와 휴대용 배터리의 판매량이 급증했다. 휴대용 전력 장치 및 태양광 발전기를 제조하는 중국의 에코플로우(EcoFlow)와 미국의 재커리(Jackery) 같은 기업들은 2023년 한 해에만 미국에서 태양광 발전기를 각각 80만 대, 50만 대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며, 2022년 대비 5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 조사기관 그랜드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기를 포함한 휴대용 전력 장치 시장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약 16.7%의 높은 성장이 전망된다.
<2020~2030년 휴대용 전력장치 시장 규모 전망>
[자료: Grand View Research]
비상 식량과 정수 필터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자연재해 발생 시 깨끗한 식수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주민들에게 최소 2주 분량의 비상 식량과 물을 비축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수 필터, 휴대용 정수기 등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코스트코와 같은 대형 소매업체에서는 이러한 제품이 조기 품절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비상시 개인 식수 확보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 필터는 HS코드 8421.21 기준 미국에서 2024년 총 20억 898만 달러가 수입됐으며, 이는 전년 대비 7.88% 증가한 수치로 미국 내에서 정수 필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장하는 수요에 빠르게 반응하는 미국 긴급 대비 용품 시장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에 따라 대형 유통업체들도 비상 대비 용품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아마존과 월마트는 재난 대비 제품을 별도의 카테고리로 구성해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아마존에서는 2023년 한 해 동안 생존 키트 및 비상 식량 판매량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미국 연방 재난 관리청은 해당 시장이 연평균 약 7%의 성장률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했다. 또한, 알이아이(REI)와 같은 아웃도어 전문 업체들도 긴급 대비 제품군을 강화하며, 캠핑 및 하이킹 용품과 긴급 대비 키트를 결합한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긴급 대비 용품 카테고리를 별도 운영 중인 REI>
[자료: REI Co-op 웹사이트 화면 캡처]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대비 용품 시장도 등장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기가 포함된 스마트 생존 키트, 위성 인터넷을 지원하는 긴급 통신 장비, 자동화된 화재 감지 및 대피 경보 시스템과 같은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대비 수준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스마트 홈 기술이 발전하면서, 일부 주택에서는 재난 발생 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안전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이 도입되기도 했다. 구글의 화재 및 일산화탐소 감지기인 네스트 프로텍트(Nest Protect)는 정전 상황에도 작동 가능한 배터리 백업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기 공급이 끊긴 자연재해 상황에서도 경고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 조명과 연동돼 비상 조명으로 대피할 수 있게 돕는다.
의외의 최신 기술이 재난 상황에 주민을 돕는 사례도 있다. 올해 1월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 동안 스페이스엑스(Space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는 긴급 대응과 피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활용됐다. 산불로 인해 광범위한 지역이 정전과 함께 유선 인터넷 연결이 차단됐지만,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을 통해 현장 구조대원과 주민들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었다. 스타링크의 사례로 지상 인프라 의존도가 낮은 비상 통신망의 중요성이 부각되기도 했다.
전망 및 시사점
많은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지속되는 한 긴급 대비 용품 시장의 성장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미국 연방재난관리청과 기상청(NWS)은 향후 10년간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방 및 주정부 차원의 대비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이 인터뷰한 현지 소비재 취급 벤더사 B는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산불 예방을 위한 대규모 예산을 편성한 만큼 공공 수요에 의한 시장 성장 역시 상당 부분 기대된다”라고 전망했다. 자연재해가 일상적인 위협이 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긴급 대비 용품 산업은 단순한 생존 도구를 넘어 안전한 미래를 위한 필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 전망은 특히 비상용 배터리와 정수 필터 등 미국 긴급 대비 용품 시장에서 이미 주요 수입국으로 활약하고 있는 한국에 더 큰 기회가 될 것이다.
자료: NCEI, FEMA, GlobalNewsWire, Grand View Research, Global Trade Atlas, CDC, REI,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의 잇따른 자연재해, 재앙 속 긴급 대비 용품 시장 수요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시장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K-메디컬 에스테틱
미국 2025-03-31
-
2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3
성장 발걸음을 재촉하는 중국, 지능형 로봇 산업이 가져올 기회
중국 2025-03-31
-
4
K-푸드 네덜란드 진출 확대, 농식품 무역 주목
네덜란드 2025-03-31
-
5
인도 고속철도 시장 진입 기회 마련을 위한 전략
인도 2025-03-31
-
6
고부가가치 북미 금속 가공 시장을 잡아라! 우리기업의 성장 기회
미국 2025-03-31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