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개정된 제8차 국가 전력 개발 계획(PDP8 Revision) 발표 예정
- 경제·무역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김지은
- 2025-03-17
- 출처 : KOTRA
-
PDP8 개정안 초안 발표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대
PDP8 개정안 초안 관련 신규 전력목표 주목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2025년 2월 4일 지난 2023년도에 발표된 PDP8 개정안을 작성하고 관련 의견 수렴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를 현실성 있게 재조정하고 원자력 발전 추진의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해석된다. 과거 2023년 5월 15일, 베트남 정부는 총리 승인 후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 이른바 PDP8을 공개했다. 당시 PDP8 발표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녹색경제, 저탄소 경제 등을 명시하며 재생에너지 확대가 강조됐다. 또한 2023년 33%에 달하는 석탄 발전원을 2030년까지 20% 이하로 줄이고, 2050년까지 5~6%로 낮추는 각 전력원별 목표를 구체화 했다.
주: PDP8 개정안 초안 원문 링크(2025.2.4. 게시) - 전력계획 조정에 관한 자문 VIII
그러나 지난 2년 6개월 간 각 전력원별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 제기 됐다. 일례로, 2023년 9월 16일 신규 입찰법 시행령(Decree 115/2024/ND-CP)에서는 발전 사업에 대한 복수의 투자자를 입찰에 따라 재선정하도록 지정했다. 이에 LNG 프로젝트가 지연되면서 PDP8에 나열된 프로젝트가 언제 공고되고 진행될 것인지 의아함을 초래했다. 또한 2024년 11월 베트남 국회에서 ‘2030년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 원전 건설 및 가동’을 선언함에 따라 각 전력원별 용량에 대한 재점검이 더욱 필요해졌다.
한편 2024년 11월 베트남 정부는 개정된 전기법을 발표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을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폐기물, 해양, 지열 등에 해당한다고 지정하고 신에너지 발전을 그린 수소, 그린 암모니아로 명시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등에 관해 원자력법을 준수할 것과 원자력 발전 개발 정책이 PDP와 연계되고 일치해야 한다고 기술했다. 이는 더욱 PDP8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뒷받침했고, PDP8 개정안이 25년 상반기 중 공개될 것을 기대하게 했다.
<PDP8 개정안 초안 관련 법률 흐름>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PDP8 개정 필요성>
ㅇ 과거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 목표로 2025년 GDP 성장률은 8%로, 전력 생산 용량 확대가 필요해 과거 가정 3개 시나리오의 상황이 크게 변화, 전력량 목표 조정 필요
ㅇ 2024년 11월 신규 전력법(Law) 61/2024/QH15 제정. 해상경제 개발 국회 결의안(Resolution) 139/2024/QH15 발표. 닌투언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국회 결의안 174/2024/QH15 발표 등 관련 내용 반영 필요
ㅇ 수출액의 80% 이상을 외국인투자기업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로, 제조업, 첨단산업 등 주요 미래 혁신성장분야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한 안정적 전력 공급에 대한 필요성 증가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PDP8 개정 초안 내용>
ㅇ 신규 전력 원천인 원자력 및 태양광 비중 확대
- 2030년 이후 2031년부로 원자력 설비용량 48GW 구상, 기존 태양광 목표는 2030년 20.6GW였으나 개정 PDP8에서는 2030년 51.2GW로 대폭 확대
* 국가전력계통망에 연결되지 않은 지붕형 태양광 용량 7.8GW포함
ㅇ 탄소배출 감량 목표 강화
- 2030년에 연간 탄소 배출량을 2억800만~2억2200만 톤으로 낮추는 것으로 목표를 재설정, 2050년에는 2700만 톤을 배출하는 것으로 설정했으며, 이는 가스화력에서만 발생한다고 명시
ㅇ 최상의 시나리오 가정
- 기존 PDP8에서는 초안의 3개 주요(기본/저성장/고성장) 시나리오 중 2023년 5월 총리 결정문에서 시나리오3에 가까운 전력구성 계획 명시. 개정 PDP8 초안에서 산업무역부는 ① 2050년 넷제로 달성 ② 2026~2030년 간 GDP 두 자리수 성장률 기록의 조건을 충족하는 KB5(시나리오5-최고 성장 상황)를 중점안으로 택함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개정 PDP8 시나리오별 2030년 발전설비 전원구성 계획>
(단위: ㎿)
시나리오
QHD8
KB1
KB2
KB3
KB4
KB5
총 수요
90,512
89,655
89,655
100,483
100,483
99,934
총 설치용량
(co-generation, risk power source 제외)
155,636
193,520
193,520
217,310
217,310
211,805
석탄 화력
30,199
31,055
31,055
31,055
31,055
31,055
가스복합+국내가스, LNG전환
14,950
10,861
10,861
10,861
10,861
10,861
신규LNG 가스복합
22,400
18,024
18,024
24,710
24,710
24,177
유연 원천
300
2,000
2,000
4,800
4,800
3,000
바이오매스, 기타재생에너지
2,270
2,609
2,609
3,208
3,208
3,506
수력
29,346
33,905
33,905
35,726
35,726
34,621
육상 풍력
21,880
27,791
27,791
29,939
29,939
28,058
해상 풍력
6,000
-
-
-
-
-
태양광
8,736
28,410
28,410
37,445
37,445
34,014
지붕형 태양광
11,855
16,651
16,651
15,736
15,736
12,615
양수발전,BESS
2,700
13,963
13,963
15,583
15,583
15,261
중국수입
700
1,000
1,000
1,000
1,000
4,000
라오스수입
4,300
7,252
7,252
7,247
7,247
10,636
분산형 열병합
2,607
2,607
2,607
2,607
2,607
2,607
석탄화력(예비)
7,220
7,220
7,220
7,220
7,220
7,220
주: 전력로드, 경제성장, 발전소 가동 상황 등에 따라 각 시나리오 제시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베트남 2023년도, 2024년도 발전설비 전원구성>
[자료: 베트남 전력공사(EVN)]
<기존 PDP8 초안 - 2030년 전력원별 비중>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개정 PDP8 초안 - 2030년 전력원별 비중>
주: 개정안에 제시된 5개의 시나리오 중 시나리오 KB5(최상의 상황)에 따른 전력원별 비중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개정PDP8 초안 - 2030년 전력원별 용량>
(단위: ㎿, %)
전력원
신규초안
(2025)
기존안
(2030)
신규초안
(2030)
2030년 비중
석탄 화력
27,528
30,127
31,055
14
가스복합+국내가스, LNG전환
7,051
14,930
10,861
5
신규 LNG 가스복합
812
22,400
22,531
10
디젤
1,265
0
0
0
기타 유연 원천
0
300
3,000
1
바이오매스, 기타 재생에너지
732
2,270
3,667
2
수력
25,824
29,346
35,082
16
육상 풍력
6,292
21,880
28,260
13
해상 풍력
0
6,000
0
0
태양광
8,908
20,591
34,780
16
옥상/지붕 태양광
7,755
16,420
7
양수발전,BESS(배터리에너지저장)
0
2,700
15,149
7
중국수입
700
5,000
3,700
2
라오스수입
1,715
6,851
3
분산형 열병합
1,487
2,700
2,607
1
석탄화력(예비)
0
6,800
7,220
3
총량
91GW
165GW
221GW
100
주: 기존안은 기존 PDP8 원문 발표문 시나리오3 및 각주에 따름, 총량에는 통상 제외되는 co-generation, risk power source를 모두 포함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전력 수요, 설치 전력량 비교>
(단위: ㎿)
2030년 용량
기존 PDP8
개정안 KB5 시나리오
총 전력 수요
90,512
99,934
설치 용량
155,636
211,805
주: co-generation, risk power source 등 제외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베트남의 주요 미래 전력원
2024년 기준 베트남 발전 용량은 총 82.387GW에 해당한다. PDP8 개정안 초안에서는 기존안 대비 2030년 총 전력 생산 목표를 56GW이상 증량 한 221GW로 설정했다. 이는 2024년 베트남 전력공사의 발전 용량(설비 용량) 추정치인 82.387GW의 2.7배 이상에 해당된다. 또한 2026~2030년 간 전력 개발 투자 규모를 약 1360억 달러로 늘리는 방안을 포함했다. 또한 베트남 산업무역부 발표에 따르면, 베트남의 전력 수요는 매년 12~16% 이상 상승이 예상된다. 이에 매년 8~10GW 가량의 추가 전력 생산이 필요하다.
<고성장 가정 하의 각 산업군별 발전량 예측>
(단위 : GWh, %)
산업군 등
2025
2030
2040
2050
①농림수산업
11,297
19,981
42,723
54,667
②건설업
162,739
315,794
614,798
741,818
③무역 등 거래, 서비스
16,026
31,221
101,970
172,092
④경영업
107,689
174,830
304,502
320,017
⑤기타활동
12,223
15,935
40,780
86,465
①~⑤ 상업전력 총량
309,974
557,760
1,104,773
1,375,059
자가소비율/손실률
11.1
10.7
9.9
9
산업/제조업 총량
348,798
624,624
1,225,516
1,511,054
주: GWh는: 1시간 동안 소비된 전력 총량으로 1GWh=1GW(1,000㎿)*1시간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ㅇ 태양광 확대
또한 태양광 계획을 대폭 확대했다. 2023년 5월 기존 PDP8 발표 당시 8.8GW(국가전력계통망에 연결되지 않은 지붕형 태양광 7.8GW 제외)에 해당하던 태양광을 2030년까지 51GW(지붕형 태양광 포함)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이는 기존 계획인 2030년 20.6GW(지붕형 태양광 포함)라는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목표를 30.6GW 이상 확대한 규모이다.
베트남은 호찌민시 등 남부 지역에서 태양광에 적합한 기후조건을 지니고 있다. 평균 일조 시간이 약 1800~2000시간인 한국과 달리 연평균 일조 시간이 베트남 남부 기준 약 2000~2600시간에 달해 발전 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베트남의 ㎾h 당 태양광 발전 단가는 ㎾h당 80원 미만 수준으로, 한국 대비 30% 이상 저렴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2년전 대규모 전력부족 사태에서 베트남은 조절 불가능한 강수량으로 인한 수력 관리 어려움을 체감했다. 이에 지속적인 공급원으로 남부의 태양광 지붕 사업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신규 원자력 도입
베트남은 2031년부로, 기존 PDP8에서 0GW이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용량을 4.8GW까지 확대 할 계획이다. 특히나 2009년 남부 닌투언성에 원자력 발전소 2기 건설 계획을 승인받고 2016년 안전성을 사유로 중단됐던 프로젝트가 다시 추진력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닌투언성 투언남현 1호기와 닌하이현 2호기의 총 발전용량은 4.8GW로 알려져 있다.
다만 한국의 사례로 살펴보면, 2009년도에 한국전력공사에서 56GW 규모의 아랍에미리트 원자료 4기를 건설하는데 대략 400억 달러가 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단순 적용해 1㎿당 건설비용을 714만 달러로 가정하면 4.8GW규모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적용시 16년전 단순 계산 단가로도 최소 343억 달러가 필요하다. 다만 PDP8 개정안에서는 구체적인 금융조달에 대한 내용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대신 빠르면 2030년 COD(상업운전개시)를 목표로 다양한 파트너를 확보하고, 닌투언 원전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중부, 북부까지 원전을 확대하겠다는 베트남 정부의 의지를 표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이 이처럼 원전 발전을 본격화하고 태양광 발전 규모를 확대하는 이유는 향후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2023년 베트남 북부에서는 대규모 전력 부족 사태가 초래됐다. 이에 전력 확충 요구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고, 2024년 이듬해 베트남 정부는 다량의 강수량과 수력 발전 비축 및 가동으로 전력 부족 사태를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전력 부족이 주요 외국투자기업 진출의 장애물이 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보급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2023년도 한국 기준으로 원자력이 ㎾h당 균등화발전비용(LCOE) 약 74.3원, 석탄 128.9원, 수력 LNG 140.5원, 태양광 122.1원임을 고려하면, 값싼 원자력과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는 태양광이 베트남으로서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ㅇ LNG 발전 추진 지속
LNG 전력이 상대적으로 고가임을 고려하면, 다양한 전력원 가운데 LNG 프로젝트가 향후 2030년 어떻게 지속될지 주목된다. 기존 PDP8 에서는 13개의 LNG 프로젝트를 명시했다. 또한 2030년까지 22.5GW 용량에 해당하는 LNG 전력원에 대한 상업운전 개시를 목표로 했다. 한국기업들이 관심있는 응이손, 뀐랩, 까나 LNG프로젝트의 목표가 각각 2031~2035년, 2029~2030년, 2029~2030년으로 명시돼 있어, 직후 투자자 선정 과정이 어떻게 흘러갈지 주목된다.
DPPA 활용, 탄소감축에 대한 기대감 표현
그 외 개정된 PDP8에서는 작년 발표된 DPPA(직접전력구매계약)에 대한 활성화가 기대된다. 이를테면 개정안 초안에 따르면, 현재 연간 100만 ㎾h 이상을 소비하는 대량 전력 소비자가 전체 수요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이들이 향후 2030년에 45% 비중을 차지하는 재생에너지의 주요 고객이기 때문에, 해당 재생에너지원의 60%가 DPPA(전력 직접구매 계약)를 통해 공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기존 PDP8에서 탄소 배출량 목표를 강화해 2030년 2억800만~2억2200만 톤으로 기존의 목표인 2억5000만 톤보다 대폭 낮췄다.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향후 30년간 인프라 및 발전 부문에 1조1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력 개발 자금 조달 방식은 EVN, FDI, 합작 투자, 채권 발행, 자산 담보 대출, DPPA, JETP(공정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 참여 등 다양한 형태로 추진될 전망이다.
시사점
베트남 정부의 PDP8 개정안 발표가 예정된 만큼, 한국 진출 기업의 에너지원별 사업 진출 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호찌민시 인근에서 베트남 태양광 지붕사업을 추진중인 한국 기업 N사에서는 “개정된 PDP8의 발표가 기대되며, 성 정부 및 파트너사와의 협의에서도 좋은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2030년까지 최소 211GW 규모의 발전 용량 목표가 설정된다면, 그만큼 전력 사업 수요도 확대 될 것이니 우리의 진출 기회가 더 커졌다고 본다”고 전했다. 베트남의 탄소감축 의지와 전력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반영한 이번 PDP8 개정안에 따라, 우리 기업의 신규 진입 기회가 기대된다.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부, 베트남 전력공사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개정된 제8차 국가 전력 개발 계획(PDP8 Revision) 발표 예정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베트남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8) 훑어보기
베트남 2023-06-09
-
2
베트남 최초 LNG 터미널 답사 및 재생에너지 관련 DPPA 세미나
베트남 2025-05-16
-
3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4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및 시장진출 기회
베트남 2024-02-26
-
5
베트남, 정부 조직 개편 발표... 공무원 20% 감축 및 부처 통합
베트남 2025-02-28
-
6
2024년 베트남 경제 동향 및 2025년 전망
베트남 2025-01-10
-
1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2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3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4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5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6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