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및 시장진출 기회
  • 트렌드
  • 베트남
  • 다낭무역관 TRAN VU KHANH THY
  • 2024-02-26
  • 출처 : KOTRA

전력소비 확대 및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 지속 성장

FDI 인센티브 연계 베트남 재생에너지 산업 분야 진출 유망

지난 2023년은 베트남 정부가 8 국가전력계획을 시행한  해였다. 8 국가전력계획을 통해 베트남 정부는 탄소 기반 화력 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원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있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에도 베트남 연간 5%를 상회하는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에너지 수요 또한 연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넷제로 전환 트렌드가 확산되는 가운데 주요 글로벌 기업의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베트남이 정부 정책을 바탕으로 전력원의 상당 부분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만한 점이다.


베트남 전력 시스템 재생에너지 규모


베트남전력공사(EVN Vietnam) 따르면, 2023년  기준 발전용량은 약 80,555㎿이며, 이는 2022 대비 2,800 증가한 것이다. 전통적인 발전원인 수력, 석탄화력발전과 가스화력발전은 각각 22,872(28.4%), 26,757(33.2%), 7,160(8.9%) 차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원(풍력, 태양광) 발전용량은 21,664 전체의 26.9% 차지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 석탄화력과 수력에 이어 3번째로 전력발전원이다최근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9 5,159  지나지 않았던 발전용량은 2023 4 가까이 확대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관련 프로젝트 투자 시행 부진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2023 베트남 전력원 비중>

(단위: %)

[자료: EVN Vietnam]


<2019 - 2023 재생에너지 용량>

(단위)

[자료: EVN Vietnam]


현지 전문가들은 현재 베트남의 전력수요 확대 추이를 고려하면, 2030년까지 발전부문에 연간 100 달러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베트남 정부는 에너지 부문 외국인 투자유치를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외국인 지분 100% 보유를 허용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 개발은행(Vietnam Development Bank)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자에게 15 동안 자본의 최대 70%까지 대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VPBank VietCapital Bank 등 주요 로컬 은행들도 우대 대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투자자는 관련 지방정부의 승인을 통해 토지 사용료 면제 또는 감면을 포함한 토지 인센티브도 받을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에 힘입어 현재 베트남은 전세계 개발도상국 중에서 재생에너지 관련 투자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 하나이다. 유엔무역개발기구(UNCTAD) 따르면, 2015-2022 동안 베트남은 재생에너지 부문에 1,068 달러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 유치하여 브라질에 이어 개발도상국 2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같은 동남아 지역의 인도네시아는 물론 인도, 멕시코 등을 넘어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이다. 최근 사례로 AD Green사는 타이빈(Thai Binh) 공장(현재 용량 500㎿, 3GW 목표) 대규모로 확장하고 있으며, 푸옌(Phu Yen)성은 싱가포르계 기업인 SP그룹이 태양광 발전소를 인수한 있다.


<2015-2022 신재생에너지 관련 가장 많은 FDI 유치한 개발도상국 순위>

(단위: US$ 억)

[자료: 유엔무역개발기구(UNCTAD)]


8 국가전력계획: 재생에너지 개발 우선


2023 5 15 베트남 총리는 ‘2050 비전 2021 - 2030 국가 전력 개발 계획 대한 결정 500/QĐ-TTg(전력 계획VIII) 승인하였다. 따라서 베트남은 탄소 배출 감소 및 COP 26에서 약속한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2030 이후에는 석탄화력발전소 신규 건설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제8차 국가전략계획: 2050 비전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 개발 목표>

재생에너지원

잠재력 개발 목표

풍력

베트남의 육상 풍력 전기 잠재력: 221,000

2030년까지 육상 풍력 발전 용량 목표: 21,880

전기와 신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해상 풍력( 600,000) 기술적 잠재력을 극대화

2030년까지 국내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해상 풍력 발전 용량은 약 6,000; 2050 목표는 70,000 - 91,500

-    2035년까지 해상 풍력 발전 용량은약 15,000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 2050년까지 240,000

태양광

베트남의 태양광 발전 잠재력: 963,000

-   지상: 837,400

-   수면: 77,400

-   옥상: 48,200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의 용량은 4,100 증가할 것으로 예상

2050년까지 용량은 168,594~189,294, 생산량은 2,521~2,915kWh 목표

바이오매스

베트남의 바이오매스 전기 잠재력 : 7,000

-   쓰레기 고형 폐기물에서 생산된 전기 잠재력: 1,800

2050년까지 6,015 비전, 2030년에 이들 전력원의 용량은 2,270 도달 목표

[자료: 베트남 정부사이트, 다낭무역관 종합]


구체적으로, 전력 생산과 관련된 재생에너지원 개발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2030년까지 전체 발전용량 대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30.9-39.2%까지, 2050년까지 67.5-71.5%까지 끌어올리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있다. 아울러, 전기 생산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 2400~ 2 5,400 수준으로, 2050년까지 2,700–3,100 톤 수준으로 줄여나갈 방침이다. 이와 같은 목표달성을 위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수있도록 스마트 전력망 시스템 구축될 계획이다.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개발 현황 잠재력


2023 베트남의 전력 발전 용량 8 550메가와트() 26.9% 2 1,664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생산되었고 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 수입량은 35,220이었다. 세부적으로는 태양광 25,702(67.8%) - 풍력 11,367(30%) - 바이오매스 853(2.2%) 순으로 활용되고 있다


<2023 베트남 재생에너지 부문별의 비중>

(단위: %)

[자료: EVN Vietnam, 다낭무역관 종합]


태양광 에너지


베트남의 중부와 남부지역은 지리적으로 낮은 위도에 위치하고 있어 일조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활용한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크다. 베트남의 일조량은 연간 최대1,500~2,000시간, 하루 4~5시간 가량으로 잠재적으로 100-120GW까지 발전 가능한 것으로 추산된다. 인도의 대표적인 산업별 리서치 기관인 모르도르 인텔리젼드(Mordor Intelligence) 따르면 베트남의 태양에너지 시장은 2023 18.4GW에서 2028 20.4GW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트남 지역별 태양 복사에너지 현황> 

(단위: 시간, kWh/m2/1

지역

연중 햇빛의 시간

태양 복사 강도

(kWh/m2/1)

평가

동북부

1,600 - 1,750

3,3 - 4,1

중간

서북부

1,750 - 1,800

4,1 - 4,9

중간

북중부

1,700 - 2,000

4,6 - 5,2

좋음

중앙 고원  남중부

2,000 - 2,500

4,9 - 5,7

아주 좋음

남부

2,200 - 2,500

4,3 - 4,9

아주 좋음

전국 평균

1,700 - 2,500

4,6

좋음

[자료: VIETNAM ENERGY ONLINE(매거진), 다낭무역관 종합]


풍력 에너지


베트남은 3,260km 이르는 해안선과 연안지역 섬이 다수 분포하고 있는 지형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평균 풍속이 5m/s 넘어 풍력에너지 발전에 유리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에서 풍력 발전소 건설에 적합하고 풍력 발전 잠재력이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중앙해, 특히 닌투안(Ninh Thuan), 빈투안(Binh Thuan), 푸이엔(Phu Yen), 꽝남(Quang Nam), 꽝응아이(Quang Ngai)

-  남해, 특히 바리아-뿡따우(Ba Ria - Vung Tau), 빈푸억(Binh Phuoc), 끼엔장(Kien Giang), 까마우(Ca Mau)

- 북해, 특히 꽝닌(Quang Ninh), 남딘(Nam Dinh), 타이빈(Thai Binh), 하이퐁(Hai Phong)


세계은행에 따르면 베트남 전체 면적의 39% 이상이 고도 65m 위치해 있으며, 이들 지역의 연평균 풍속이 6m/s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잠재적으로 512GW 해당하는 막대한 발전용량이다. 이에 최근 동안 풍력발전은 베트남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재생에너지원 하나이며, 2023 7월까지 베트남의 설치 풍력 발전 용량은 1,000 달한다.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풍력 발전용량을 12,00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베트남의 태양 복사에너지 풍속 분포도>

[자료: 세계은행]


바이오매스 에너지


베트남은 농업국가로서 풍부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바이오매스 에너지 개발에 성장이 기대된다. 현재 베트남은 꽝응아이(Quang Ngai) 융꾸엇(Dung Quat) 바이오매스 발전소, 롱안(Long An) 롱안(Long An) 바이오매스 발전소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매립지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운영하기 위해 소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바이오매스 공급원>

공급원

특징 잠재력

사용 목적

목재 산림 부산물

베트남의 주요 바이오매스 공급원

전체 잠재력의 40% (2,000 TOE) 차지

전기, , 바이오 연료 생산

농업 폐기물

, 사탕수수, 거름 농업 폐기물임

전체 잠재력의 30% (1,500TOE) 차지

전기, , 비료 생산

도시 폐기물

생활 폐기물, 산업 폐기물 도시 폐기물임

전체 발생량의 30%(1,500TOE) 차지

전기, , 비료 생산

[자료Intracom Group, 다낭무역관 종합]


시장진출 관련 유의사항 

 

베트남의 경제가 지속 성장하는 가운데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하기 위한 베트남 정부의 관련 투자 외국인투자유치 활성화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러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의 관련 프로젝트 참여 시 가지 유의해야 사항이 있다.


최근 재생에너지 관련 초기 투자비용이 과거에 비해 줄어들었으나, 전통 에너지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관련 장비의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실정이다. 풍력 발전의 경우 주요 장비인 풍력터빈의 가격 외에도 송전 시스템, 안전 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 풍력 프로젝트를 위한 보조 자재 장비, 그리고 전력 프로젝트의 건설 설치 비용이 높은 편이므로 관련 내용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 발전 프로젝트의 시행 참여 시, 중앙 지방정부의 토지이용 인프라 개발 계획과 연계추진 중요한 전략이 있다. 지역의 토지 이용 계획, 해양 계획, 환경 보호 계획 연관된 정책을 면밀히 파악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되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잠재적인 갈등과 프로젝트 지연을 야기할 있다. 게다가 베트남에는 현재 발전설비를 국가 전력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고전압 송전선이 부족한 상황으로, 풍력 발전의 경우 최대 전력을 생산할 없거나 용량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에는 전문 인력이 필요한데, 베트남에는 태양광 풍력 에너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치 운영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베트남의 복잡한 지형으로 인해 풍력 터빈, 특히 해상 풍력 발전 설비를 건설 설치하기 까다롭다. 이외 열대 몬순 기후로 폭풍, 홍수, 가뭄 자연재해 또한 고려해야 대상이다. 이러한 요건들을 염두하고 프로젝트를 운영할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베트남 환경경제협회 회장인 루우 덕 하이(Luu Duc Hai) 박사는 베트남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동남아 전체 재생에너지의 70%가량을 차지하며 역내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분명한 증거는 아세안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업에 대해 토지 임대세를 면제하고 감면하는 유일한 국가가 베트남이라는 점이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지연되었던 재생에너지 발전 분야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세부정책이 2023년을 기점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발표 및 시행되고 있다.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보다 높은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자료: 베트남전력공사(EVN Vietnam), 베트남 정부 사이트Intracom Group, VIETNAM ENERGY ONLINE, 주요 언론 자료,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및 시장진출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