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15억 인구 시장, 인도에 부는 '스마트' 바람
  • 트렌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한종원
  • 2024-05-21
  • 출처 : KOTRA

전년 대비 스마트워치 출하량 70% 성장

현지 트렌드를 반영한 가격 경쟁력 제고에 방점

시장 동향

 

착용할 수 있는 기기를 뜻하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는 무선이어폰, 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착용하여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글로벌 리서치사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인도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은 약 1억3000만 대를 상회하며 전년 대비 34%의 성장을 기록했다. 1분기에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1%라는 괄목할 만한 성장률을 보였다.

 

인도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생활 및 업무 패턴 변화 등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기기는 단순한 전자기기를 넘어서고 있다.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제품 가격대가 중저가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도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스마트워치와 무선이어폰을 중심으로 매년 2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3년 한 해 동안만 인도에 약 5300만 대의 스마트워치가 출하되는 등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반면 생체 지표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밴드(Fitness Tracker)의 경우 성장률이 오히려 약 65% 감소했는데, 이는 스마트워치와 달리 휴대폰 연동이 불가함에도 가격적인 측면에서 뚜렷한 이점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어폰, 헤드폰, 무선이어폰 등을 통틀어 일컫는 이어웨어(Ear-Wear)의 경우, 2023년 기준 약 8000만 대가 출하됐다. 웨어러블 기기를 기능 활용뿐만 아니라 패션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트렌드도 영향을 미친다.

 

<최근 3개년 인도 스마트워치 출하량>

(단위: 천 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c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1pixel, 세로 368pixel

[자료: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최근 3개년 인도 이어웨어(Ear-Wear) 출하량>

(단위: 천 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c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0pixel, 세로 369pixel

[자료: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제품 동향

 

인도 웨어러블 기기는 대부분 중저가에 분포되어 있다. 현지 기업들은 축제 시즌에 맞춰 신제품을 출시하며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기업들이 오프라인 소매점 확장에 주력하면서 온라인 대비 오프라인 주문 건수가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년 대비 오프라인 판매 성장률은 55%를 넘어섰다.

 

<인도 주요 유관 기업>

순위

회사명(로고)

가격대(달러)

국가

주요 제품

점유율(%, ’23)

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161pixel

boAt

5~84

인도

· 무선이어폰

· 스피커

· 사운드바

· 스마트워치

· 보조배터리

26

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2pixel, 세로 193pixel
Noise

12~72

인도

· 스마트워치

· 무선이어폰

12.1

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80pixel, 세로 373pixel

Fire-Boltt

9~84

인도

· 스마트워치

· 스마트밴드

· 헤드폰

· 무선이어폰

10.1

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4pixel, 세로 91pixel

Oppo

5~168

중국

· 스마트폰

· 스마트밴드

· 스마트워치

· 무선이어폰

7.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0pixel, 세로 428pixel

Oneplus

9~144

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7pixel, 세로 357pixel

Boult

12~48

인도

· 무선이어폰

· 넥밴드이어폰

· 스마트워치

· 헤드폰

· 스피커

6.9

[자료: 기업별 공식 홈페이지]

 

특히, 업계 우위를 차지하는 현지 기업 노이즈(Noise)는 전년 대비 성장률이 100%에 육박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인도 시장 내 스마트워치 브랜드는 125개에 달할 만큼 다양하다. 하지만, 그중 상위 5개 기업이 60% 이상을 점유하는 등 일부 기업에 편중되어 있으며, 소규모 브랜드들은 인수합병에 활발한 추세다.

 

<주요 신제품 동향>

제품명

기업명

특징 및 기능

금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2pixel, 세로 303pixel

Ring One

Muse Wearables

· 생체 정보 모니터링

· 수면 패턴 추적

· 비접촉 결제

263.7달러

(21,999루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0pixel, 세로 259pixel

JIO Glass

Reliance JIO

· 화상 회의, 교육, 영상 시청 등

증강 현실 기능

출시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300pixel

Luna Ring

Noise

· 손가락에서 70여 개의 생체 신호

측정하여 기본 생체 정보 제공

· 수면 패턴 측정

· 생체 신호 추적

239.73달러

(19,999루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6pixel, 세로 234pixel

W40 Earbuds

Boult

· ENC 노이즈 캔슬링

· 게임용 로우 레이턴시(Low Latency)

· 최대 48시간 배터리 지속

11.98달러

(999루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pixel, 세로 160pixel

Active T

Cultsport

· AI 음성 지원

· 블루투스 통화 기능 향상

· 최대 7일 배터리 지속

23.96달러

(1,999루피)

[자료: 기업별 공식 홈페이지]

 

수출입 현황

 

<연도별 인도 웨어러블 기기 수출 규모>

(단위: US$, %)

순위

교역국

수출액

증감률

(’23.8월 기준 전년 동기비)

~ ’22.8

~ ’23.8

 

세계

6,147,662,877

9,418,079,511

53.20

1

중국

2,652,884,708

3,135,889,578

18.21

2

아일랜드

345,204,649

1,921,828,663

456.72

3

홍콩

984,406,048

1,003,421,455

1.93

4

대만

436,060,383

960,430,946

120.25

5

싱가포르

257,965,219

443,959,000

72.10

6

베트남

489,774,116

442,272,585

-9.70

7

미국

302,599,198

438,038,518

44.76

8

말레이시아

163,253,833

184,347,721

12.92

9

한국

51,512,267

154,152,834

199.25

10

멕시코

73,000,572

146,749,063

101.0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2.12.]

 

대인도 웨어러블 기기 1위 수출 국가는 중국이다. 20238월을 기준으로 수출액은 940억 달러에 달한다. 한국의 대인도 수출 규모는 9위에 그쳤으나, 전년 대비 성장률은 세계 평균인 53.2%를 훨씬 능가하는 199.25%를 기록했다.

 

관세율

 

HS 코드를 85177990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는 통상 기본관세(BCD) 15%, 통합간접세(GST) 18%, 사회복지세(SWS) 등을 포함한 37.47%의 관세가 부과되지만, CEPA 협정 적용 시 관세가 면제되어 18%의 통합간접세(GST)만 부과된다피트니스 트래커(85176290)와 헤드폰 및 이어폰(851830) 또한 CEPA 협정 대상 품목이다. 미적용 시 기본관세 20%와 더불어 통합간접세, 사회복지세 등 43.96%의 관세가 부과된다.

 

관계자 인터뷰

 

현지 웨어러블 기기 업체의 대표 G씨는 인터뷰를 통해 특히 스마트워치 부문은 세 자릿 수의 성장을 앞두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웨어러블 기기 시장의 유망성을 강조했다. 또한, 인도 소비자들의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워치의 실용성 및 기능 외에도 디자인 측면에서의 신규 UI/UX 개발 및 현지화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시사점

 

코로나19로 인한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소비 패턴의 변화,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와 스마트폰 보급률 확대로 현지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활발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우리 기업의 대인도 웨어러블 기기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0% 가까이 대폭 증가할 만큼 뛰어난 기술력을 필두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과 같은 기존 웨어러블 기기의 인도 진출은 이미 인도 기업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어, 시장 신규 진입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수성을 지닌 ‘360도 넥밴드 카메라’, ‘골전도 이어폰’, ‘재활 및 근력 보조 등을 위한 착용형 로봇등과 같은 신규 분야 개발 수요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현지 소비자 성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도 필요하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전반적인 웨어러블 기기 평균가는 21달러를 웃도는데, 스마트워치의 경우 26.7달러로 전년 대비 35.5% 감소했다. 이는 가성비에 집중한 중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가 특히나 중요한 분야라는 점을 알 수 있다. 2022년 기준 출하 규모의 26%2천 루피(24달러) 이하의 제품군인 반면, 202354%로 확대되며 중저가 제품 수요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사인 Statist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인도 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70.95%이며 다른 국가에 비해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고, 인구 대국인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자료: Modor Intelligence, Statista,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Global Trade Atlas, Indian Trade Portal Economic Times, Business Insider, Times of India, Hindustan Times, Livemint 등 현지 언론 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15억 인구 시장, 인도에 부는 '스마트' 바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