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높아지는 곡물 수입 의존도, 이집트의 방안은?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윤수한
  • 2023-12-22
  • 출처 : KOTRA

이집트, 밀, 옥수수 등 주요 곡물 수입 의존도 높아

급격한 인구 증가로 곡물 소비량 증가세 가속

이집트 비전 2030 정책 일환 곡물 수입국 다변화, 농업 개발 등 추진

곡물 생산 및 소비 동향

 

이집트는 고온 건조한 기후, 연평균 30mm 내외의 낮은 강수량, 국토의 90% 이상이 사막 등의 기후 조건으로 농업이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수자원의 95% 이상을 나일강에 의존하고 있으며, 1억 이상의 인구로 식수 부족 현상이 지속되며 농업용수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집트 국토 면적(1,145,000㎦) 중 농경지는 34,600㎦로 국토의 약 4%밖에 되지 않는다. 기후 조건으로 인한 농업 미발달, 1억 이상 인구에 따른 높은 곡물 소비량으로 인해 곡물 소비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밀의 경우 전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 연간 약 2,000만 톤을 소비하고 있는데 자체 생산량은 최근 5년 동안 850-900만 톤 수준으로 매년 소비량의 50-6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의 경우에도 매년 소비량의 약 5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쌀의 경우에는 최근 5년 중 2019년과 2022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소비량을 자체 생산으로 조달하고 있다.

 

<2019-24년 이집트의 곡물 생산 및 소비 동향>

(단위: 천 톤,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e

2024f

소비량

생산량

소비량

생산량

소비량

생산량

소비량

생산량

소비량

생산량

소비량

생산량

20,100

8,450

20,300

8,770

20,500

8,900

20,500

9,000

20,694

9,792

2,0924

9,334

옥수수

16,200

6,800

16,900

6,400

16,400

6,400

17,000

7,440

14,850

7,499

15,423

7,740

4,200

2,800

4,300

4,300

4,300

4,000

4,050

2,900

4,101

3,864

4,152

4,057

[주: 2023년 추정치, 2024년 전망치]

[자료: Fitch and Solutions]

곡물 수급 현안

 

매년 약 1,200만 톤의 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이 중 러시아가 60%, 우크라이나가 20% 내외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우 사태 이후 우크라이나 밀 곡창 지대 피해, 흑해 곡물협정 중단 등으로 우크라이나산 밀 수입에 차질이 발생하자 러시아 의존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2023년 7월 흑해 곡물 협정이 중단되며 이후 러시아에 대한 밀 수입 의존도는 더욱 빠르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옥수수의 경우 밀과 다르게 우크라이나산 수입이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국가로부터의 수입액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3년 1-8월 기준으로 우크라이나로부터의 옥수수 수입은 118.7% 급증한 반면, 브라질로부터의 수입은 56.5%, 아르헨티나로부터의 수입은 41.2% 급감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국가로부터의 수입액이 급감한 이유는 이집트 외환보유고 부족 현상 심화로 달러 유출 방지를 위해 상대적으로 해상운임이 비싼 중남미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제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쌀의 경우에도 인도 의존도가 매우 높아 수급 차질 리스크가 높은 편이다. 2020-21년 동안 자체 생산량이 국내 소비를 충당했으나, 2022년 2월 러-우 사태 이후 외환보유고 급감 여파가 쌀 생산량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쌀 농업은 타 곡물보다 물과 전력 소비량이 많은데 달러 부족 현상 해소를 위해 이집트 정부가 자국 발전용 천연가스를 수출용으로 전환하며 쌀 농업용 전력 및 수자원 발전용 에너지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집트가 인도로부터의 쌀 수입 의존도가 지속 높아지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있으나, 이집트와 인도는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도도 양국 관계를 고려해 타 국가 대비 이집트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쌀을 공급하고 있다. 2023년 7월 인도 정부가 쌀 일부 품종의 수출 금지를 취했을 당시에도 이집트의 대인도 쌀 수입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곡물 수입 동향

 

이집트는 전 세계 최대 밀 수입국으로 연간 약 1,200만 톤을 수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 1-8월 이집트의 밀 수입액은 총 23억 8,0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러시아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전체의 81.5%를 차지했으며, 이외 우크라이나가 13.1%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밀 수입이 전체 수입의 94.6%를 차지하고 있어 두 국가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2022년 러-우 사태 이전 러시아로부터의 밀 수입 의존도는 60% 내외, 우크라이나가 20% 내외로 알려져 있었으나 러-우 사태 이후 러시아에 대한 밀 수입 의존도가 대폭 증가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곡창 지대 피해, 흑해곡물협정 중단 등으로 우크라이나산 밀 수입은 2022년 2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외 루마니아, 미국, 호주 등으로부터 밀을 수입하고 있으나 수입액은 높지 않다.

 

<2021-2023.8월 이집트의 밀(HS Code 1001) 수입액>

(단위: US$백만,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8

수입 점유율

(2023.8월 기준)

증감률

(‘22.8월/’23.8월)

1

러시아

1823.0

2128.4

1939.6

81.5

70.2

2

우크라이나

886.4

361.4

312.7

13.1

6.6

3

루마니아

532.5

705.2

75.8

3.2

-82.6

4

미국

2.7

26.1

20.4

0.9

>9,999

5

호주

134.5

51.1

16.5

0.7

-58.8

총계

3501.4

4215.2

2380.1

100

5.7

[자료: Global Trade Atlas(‘23.12.20 검색)]

 

옥수수의 경우 2022년 동안 29억 6,000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2023년 1-8월 기준으로 16억 4,9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수입액이 23.6% 감소했다. 2023년 1-8월 동안 1위 수입국은 우크라이나가 차지했으며,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8.7% 급증한 7억 54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 2위를 차지한 브라질은 전년 동기 대비 56.5% 급감한 4억 5,5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아르헨티나로부터의 수입액도 41.2% 급감한 3억 2,86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1-2023.6월 이집트의 옥수수(HS Code 1005) 수입액>

(단위: US$백만,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8

수입 점유율
(
2023.8월 기준)

증감률
(‘22.8월/’23.8월)

1

우크라이나

619.3

450.7

705.4

42.8

118.7

2

브라질

777.1

1531.6

455.1

27.6

-56.5

3

아르헨티나

1,068.4

736.2

328.6

19.9

-41.2

4

루마니아

174.7

167.5

108.6

6.6

-35.2

5

튀르키예

8.1

8.9

16.4

1.0

229.0

총계

2,848.1

2,960.0

1,649.0

100

-23.6

[자료: Global Trade Atlas(‘23.12.20 검색)]

 

2023년 1-8월 기준 이집트의 쌀 수입액은 1억 2,46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5.5% 급증했다. 이집트 경제위기로 인한 수자원 개발 비용 부담 증가로 물 소비량이 많은 쌀의 자체 생산보다 수입을 늘린 것이 수입액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쌀 수입 1위 국가는 인도이며,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3.1% 증가한 1억 160만 달러를 기록했다. 2위 중국은 1,270만 달러, 3위 태국은 440만 달러로 수입액이 크지 않다. 인도로부터의 쌀 수입 의존도가 높아 대인도 쌀 수입액 증감에 따라 이집트 전체 쌀 수입액 증감이 발생하는 구조이다.


<2021-2023.8월 이집트의 쌀(HS Code 1006) 수입액>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8

2023.8월 기준 수입 점유율

증감률(‘22.8월/’23.8월)

1

인도

56.8

91.7

101.6

81.6

102.2

2

중국

0

7.4

15.8

12.7

113.1

3

태국

4.8

5.8

5.4

4.4

197.5

4

파키스탄

0.3

1.0

1.0

0.9

13.8

5

베트남

0

0

0.4

0.3

>9,999

총계

62.2

106.1

124.6

100

105.5

[자료: Global Trade Atlas(‘23.12.20 검색)]

 

곡물 수급 안정을 위한 이집트 정부의 노력

 

UN은 이집트가 2025년까지 절대적 물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으며, UN에 따르면 이집트의 1인당 연간 물 공급량은 ’절대적 물 빈곤‘ 수준이다. 수자원의 95% 이상을 나일강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별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연간 200만 명 이상의 인구 증가는 물 부족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농업 발전 지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체 농업 생산을 통한 소비량 충족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밀, 옥수수 등), 쌀(인도) 등 곡물의 수입 의존도는 지속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집트 정부는 ’이집트 비전 2030‘의 일환으로 곡물 수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수입국 다변화를 통해 곡물 수급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밀의 경우 러시아의 의존도가 매우 높지만, 러-우 사태 종료 시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등 러시아 이외 제3국 수입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옥수수의 경우에도 달러화 부족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튀르키예 수입 의존도가 지속 높아지고 있지만, 달러 경색 현상 완화 시 중남미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꾸준히 늘려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으로는 약 40만 헥타르 규모의 북부 해안지역 매립을 통한 농작물 재배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북부 해안지역 매립을 통해 농지를 마련하고,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해 지중해로부터 수자원을 확보해 농업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최근에는 IMF의 경제개혁 프로그램 일환으로 국영 농업기업 지분 매각을 통해 달러 확보와 농업의 생산성 증대를 동시에 모색하고 있다. IMF의 이집트 차관지원 조건으로 주요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요구했으며, 이에 따라 농업 포함 에너지, 발전 등 주요 국영기업 지분을 매각할 계획이다. 농업의 경우 2023년 9월에 국영 농업기업 전체 지분의 83%를 매각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국영 농업기업 지분 매각과 더불어 외국과의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지난 11월에는 일본 Mitsui사가 농업 산업 개발을 위해 이집트 Wadi 그룹에 투자를 결정했으며, 12월에는 World Bank와 이집트 스마트 농업 발전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미국의 USAID(국제개발처)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3,630만 달러 규모의 이집트 농촌 농업사업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나일강 삼각주 지역의 농업 종사자들의 수출 경쟁력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곡물 관련 주요 기관

 

곡물 수급 관련 주요 기관으로는 이집트 공급망관리청(General Authority for Supply Commodities)과 식품안전청(National Food and Safety Authority)이 있다. 특히, 공급망관리청(GASC)은 이집트 곡물 포함 생필품 조달 입찰을 발주하는 등 국영 곡물 수입 기업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어 이집트 곡물 수급의 주요 기관으로 꼽힌다.

 

<이집트 곡물 관련 주요 기관 정보>

기관 로고

구분

세부 내용

EMB000009e850f9

기관명(국문)

· 이집트 공급망관리청(국영 곡물 수입 기업)

기관명(영문)

· General Authority for Supply Commodities(GASC)

주요 업무

· 곡물 포함 주요 생필품 조달 입찰 발주 등

홈페이지

· www.gasc.gov.eg

이메일

· gasc@msit.gov.eg

전화번호

· +20-2-2796-0766

EMB000009e850fa

기관명

· 이집트 식품안전청

기관명(영문)

· National Food and Safety Authority(NFSA)

주요 업무

· 식품 소비, 유통 과정 등의 위생 및 안전 관리

홈페이지

· www.nfsa.gov.eg

이메일

· info@nfsa.gov.eg

전화번호

· +20-2-2793-3497

[자료: 기관별 홈페이지]

 

시사점

 

이집트는 매년 약 200만 명씩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2000년 인구 7,137만에서 2020년 1억 명을 돌파했으며 2023년 기준 인구수는 1억 600만 명이다. 90년대 여성 1인당 출산율은 약 5.2명이었으며, 이후 감소하긴 했으나 2023년 기준으로 3.1명으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인구 증가가 국가 경쟁력 증대에 도움을 주지만, 기후 및 지리적 요인으로 인한 만성적인 수자원 부족, 낮은 곡물 자급률, 보조금에 의존하는 물가 안정 정책, 대외 환경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이집트의 경우 인구 증가는 국가 경제발전의 저해 요소이다. 2018년 빈곤율은 32.7%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2023년 기준 빈곤율은 27.3%로 전체 인구의 약 2,900만 명이 빈곤층에 해당한다. UN은 현재의 인구 증가세가 유지되면 2030년 이집트 인구가 1억 2,8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곡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막형 기후, 수자원 부족으로 인해 농업 발달이 어렵고, 최근 경제위기에 따른 정부 재정 부족으로 스마트팜 등 차세대 농업 개발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다만 한가지 긍정적인 부분은 이집트 정부가 식량 안보 강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집트 비전 2030 일환으로 농업 및 수자원 인프라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업 인프라 관련해서는 기존 농경지 대비 국토 면적에 1.5%에 해당하는 15억㎡ 규모의 농경지 확보, 도시개발 시 농지 침해율을 0% 달성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수자원 인프라 관련해서는 수자원 인프라 개선을 통한 물 이동망 손실률 5% 미만 달성, 정수장 손실률 10% 미만 달성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와 더불어 기존 러시아, 우크라이나, 인도 중심의 곡물 수입 국가를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호주 등으로 다변화할 계획이다. 특히, 이집트는 2024년부터 BRICS 정식 회원국이 되면서 기존 BRICS 및 신규 가입 6개국(사우디, UAE, 에티오피아, 이란, 아르헨티나, 이집트)과 곡물 등 국가 전략 품목 무역 협력 강화가 예상된다.

 

한국의 곡물 생산 단가, 지리적 차이로 인한 높은 해상운임 등으로 한국의 대이집트 곡물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고, 앞으로도 대이집트 곡물 직접 수출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농업 관련 글로벌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기업은 이집트 정부의 농업 개발 정책을 활용한 진출전략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농기구, 비료, 농산물 가공 및 포장기계 등 농업 생산성 증대와 관련된 제품뿐만 아니라 파종, 수확, 농지 개간 등 현지에서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는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자료: Fitch and Solutions, BMI, Global Trade Atlas, Statista, MacroTrends, GASC, SFSA, 현지언론(Ahram, Daily News Egypt),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높아지는 곡물 수입 의존도, 이집트의 방안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