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제조업 육성 위해 모바일제품 부품 수입관세 조정
  • 통상·규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허유진
  • 2023-03-28
  • 출처 : KOTRA

모바일 제품 포함 전자제품 부품관세 일부를 0~2%로 인하

제조업 육성 및 수출장려정책 지속으로 현지 생산 증가 전망

수입 모바일 완제품 관세 부과 동향


현재 이집트로 수입되는 모바일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은 약 30%이다. 신규 부과된 수입관세 자체로는 10%이나 부가가치세(14%), 개발세(5%), NTRA 수입세*(5%)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입산 모바일 완성제품에 부과되는 세율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주*: NTRA(National Telecommunications Regulations Authority) 수입세: 이집트 내 모바일 제품 운영 서비스 처리 명목으로 수입 모바일 제품 대상 5%의 세금 부과(’20.7.1부 도입)


모바일 제품 포함 전자제품 부품관세 일부를 2%로 인하 또는 면세


이집트 정부는 현재 완제품의 수입보다는 국내외 기업의 완제품 현지 직접 생산을 독려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으로 최근 모바일 제품에 들어가는 부속품들에 대한 관세율 인하를 대통령 시행령 2023년 제67호를 통해 결정하고 2023년 2월 28일에 의회에서 승인 및 승인 즉시 효력을 발하기 시작했다. 이는 2022년 6월 관세편람 개정(대통령령 No.218/2022) 이후로 처음 공식 발표된 관세율 조정 건이다. 이집트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이집트 의회는 모바일 제품의 부품 관세를 인하를 결정했다.


이집트 의회는 기존 법령인 대통령령 No.218/2022의 부품 관세를 개정한 대통령령 No.67/2023을 2023년 2월 28일 자로 승인했다. 이를 통해서 현지 모바일 제품 제조 육성을 위해 모바일에 포함되는 일부 부품의 수입관세율을 5~30%에서 2%로 인하하거나 관세 면제하기 시작했다. 기존에 이어폰에 30%, 배터리, 그리고 충전기와 모바일 카메라에 수입관세 5%를 부과했었으나 No. 67/2023에 의해 2%로 대폭 인하했으며, 수입관세 2%였던 모바일 스크린은 영세율로 개정했다.

 

<모바일제품 부품 수입관세율 조정 내역(2023.2.28. 발효)>

HS Code

제품 설명(영문명)

관세율(%)

3827.31

-- Containing substances of subheadings 2903.41 to 2903.48

5

85.24

-- Flat panel display modules, whether or not incorporating touch-sensitive screens

 

 

- Without drivers or controls circuits

 

8524.11

-- Of liquid crystals

면세

8524.12

--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OLED)

면세

8524.19

-- Other

면세

 

- Other

 

8524.91

-- Of liquid crystals

 

8524.9110

--- Electronic glass panels(open cell)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면세

8524.9120

--- Others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20

8524.9190

--- Others

2

8524.92

---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OLED)

 

8524.9210

--- Electronic glass panels(open cell)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면세

8524.9220

--- Others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20

8524.9290

--- Others

2

8524.99

-- Others

 

8524.9910

--- Electronic glass panels(open cell)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면세

8524.9920

--- Others for articles of heading No.85.28

20

8524.9990

--- Others

2

[자료: 대통령령 No. 67/2023(2023.2.28.)]


이집트 모바일 제품 시장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2년 이집트 모바일 판매 대수는 약 1396만1600대로 추산됐으며, 이는 2021년 판매량인 1474만7800대보다 5.3% 감소했다. 이집트는 모바일 시장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9.2%, 피처폰이 약 20.8%로 스마트폰 판매 비중이 압도적이며 수입 규제, 스마트폰 가격 상승과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스마트폰 판매량 감소를 야기한 것으로 분석된다. 모하메드 엘 하다드(Mohamed El-Haddad) 이집트 기자(Giza) 상공회의소 통신센터 및 모바일유통과장에 따르면 2022년의 모바일 판매가 감소했으며, 이는 수입규제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2022년 8월의 모바일폰 판매 금액은 2억1430만 이집트 파운드로 2억8260만 이집트 파운드를 기록한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의 판매 금액비중이 42.7%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는 Oppo 15.9%, Redmi 14%, Apple 11%, Realme 8.6%, Inflix 3.5% 순이다.

 

<최근 8년 이집트 모바일 판매시장 규모>

(단위: 천 대)

[자료: Euromonitor(2022.8.)(자료 확인일자: 2023.3.8.)]


<2022 이집트 모바일 브랜드별 판매금액 비중>

[자료: Division of Communication Centers and Mobile Dealers at the Giza Chamber of Commerce(2022.11.) (자료 확인일자: 2023.3.8.)]

 

이집트의 모바일 제품 수입 현황

 

IHS Markit 자료(원데이터: 이집트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1~10월 이집트의 모바일 제품(HS Code 851712) 수입액은 총 2억4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3.4% 감소했다고 한다. 수입 상위 5위국에 해당하는 국가로부터의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2022년 1~10월 이집트 모바일 제품 수입액 규모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174

-84.4

2

베트남

41

-83.0

3

인도

28

-72.1

4

미국

0.12

-66.3

5

한국

0.05

-96.6

 

총수입액

243

-83.4

주: HS 851712는 셀룰러통신망이나 그밖의 무선기기, HS 851713은 스마트폰으로, HS 851713의 경우 이집트 통계청 수치가 조회되지 않음.  

[자료: IHS Markit 자료(원데이터: 이집트 통계청) (자료 확인일자: 2023.3.8.)]


한국의 대이집트 모바일 수출 현황

 

2022년 무선통신기기 관련 수출금액은 9만6851달러로 전년대비 1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월 수출액은 7916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액 0달러를 기록한 전년 동월에 대비된다.

 

<최근 5년 한국의 대이집트 모바일 제품 수출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23.3.8. 확인), 전년 동기 금액규모가 0인 경우 증감률 산출 불가로 ‘-’로 표시]

 

현지 언론 동향

 

1) 2022년 수개월 동안 이집트의 모바일 제품 수입 약 90% 감소

 

카림 고네임(Karim Ghoneim) 카이로 상공회의소 디지털경제과장은 모바일 제품 수입이 감소한 이유는 신용장(L/C) 발급 의무와 외환위기로 인해 2022년 3월부터 수입이 제한됐기 때문으로 언급했다. 그는 현지 언론(Al-Masry Al-Youm Newspaper)을 통해 그는 Vivo와 삼성과 같은 일부 기업이 이집트에서 모바일 제품 생산을 착수했지만 시장 안정화에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제조공장의 생산 속도와 이집트 당국의 생산 요구 조건 부합 속도에 따라 시장의 안정화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했다. 카림 과장은 제품의 수요와 공급 균형에 시일이 필요함에 따라 시장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2) 현지 제조는 이집트 시장을 안정시킬 것

 

현지에서 생산된 모바일 제품은 이집트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모하메드 탈랏(Mohamed Talaat) 상공회의소 통신 및 모바일 부문 책임자가 언급했다. 현지 언론(Al-Masry Al-Youm Newspaper)을 통해 그는 과거에는 모바일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없었으나 현재는 10%가 수입관세율로 적용되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적 동향이 모바일 제품의 수입 감소와 판매량 감소로 이어져 이집트 모바일 제품 시장에 혼란을 초래했음을 강조했다.

 

한편, 모하메드 책임자는 모바일 제품의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달러화 가치 상승의 영향력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에 수입 제품의 판매가 과거만큼 많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언급했다. 다만, 이집트와 현지에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시장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진술했다. 삼성전자 등 모바일 제조사가 현지에서 모바일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모기업 자체도 제조사이기 때문에 수입품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고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어 제품에 만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모바일 제품의 국산화가 외환위기, 가격상승, 공급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바일 제품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사점

 

수입산 모바일 제품뿐만 아니라 이집트에서 기본적으로 부과되는 공산품 완제품의 관세율은 협정세율의 적용을 받지 않으면 이집트로 수출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도 있는 관세율이다. 이를테면 화장품은 45% 의류 완제품은 40~60%, 아이스크림 45%, 과일주스 60%, 라면류 30% 등이다. 한편, 이집트와 한국 간에 체결된 무역협정이 없기 때문에 관세 문턱은 높은 편이다. 그리고 현재는 수입제품에 부과되는 관세율 문제보다는 현지의 외환송금통제 등으로 인한 대금지급 지연, 선적 및 통관 지연 등의 수출애로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한편, 이집트에서는 완제품의 수입보다는 국내외로부터 부품 조달을 통한 현지생산 및 생산된 제품의 수출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노키아(Nokia) 및 SICO 등의 모바일제품 제조사가 이집트 내에서 자사브랜드 제품을 활발하게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키아의 경우 생산을 확장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집트의 첫 자국 모바일 제조사인 SICO는 전자제품을 현지 생산해서 프랑스, 르완다, 걸프국 등에 1만5000~2만 대를 수출하고 있다. SICO는 현재 탄자니아, 라이베리아, 나미비아 등 아프리카 국가로의 수출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들 국가들과는 GAFTA, EU-이집트 연합연정, AfCFTA 등 무역협정이 체결돼 있어서 향후에도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에서 수출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정부차원에서 수출보조금도 지급되는데, 이는 우리 진출기업에도 해당이 된다. 기업별로 적용되는 요율이 다른 바, 명시돼 있는 수출보조금 표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지 생산을 통해 전자제품의 수출을 희망하는 경우 아래의 이집트 산업부 산하 이집트 엔지니어링 수출협의회(EEC)으로의 문의를 권장한다.


EEC(Engineering Export Council of Egypt)

ㅇ 주소: Arkadia Towers, Tower B, 3rd Floor, Corniche El Nil, Cairo, Egypt

ㅇ 이메일: eec@eec-eg.org

ㅇ 연락처: +202 2575 6638/+202 2575 6648

ㅇ 홈페이지: www.eecegypt.org

 


자료: 이집트 재무부, Al-Masry Al-Youm Newspaper, 카이로 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IHS Markit, CAPMAS, Euromonitor, 기업 인터뷰 등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제조업 육성 위해 모바일제품 부품 수입관세 조정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