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2년 홍콩 경제무역 동향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김지승
  • 2023-03-10
  • 출처 : KOTRA

2022년 홍콩 경제, -3.5%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며 교역규모도 7.9% 감소

코로나 방역조치 해제와 경제 활성화 정책 등으로 2023년에는 회복세로 전환 기대

최근 홍콩 정부는 2022년 홍콩 경제 성장률을 -3.5%로 확정 발표했다. 교역규모도 전년대비 7.9% 감소했다. 한국의 對홍콩 수출도 26.2% 감소하며 무역흑자 규모도 전년대비 94억 달러 줄었다. 그러나 2023년 홍콩 경제는 점차 회복될 전망으로 중계무역과 글로벌 비즈니스 거점으로서 위상 회복이 기대된다.

 

2022년 홍콩 경제 실적

 

지난 2023년 2월 22일 홍콩 정부는 2023-2024 예산안과 함께 2022년 홍콩 경제 동향 통계치를 발표했다. 확정된 2022년 홍콩 경제 성장률은 -3.5%로, 2019년 -1.7%, 2020년 -6.5% 이은 최근 4년 내 세 번째 마이너스 성장이다.

 

2021년 6.4% 경제 성장률을 보였던 홍콩 경제는 코로나19 5차 대유행으로 내수 소비가 감소하며 2022년 1분기 -3.9%의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2분기에 상황이 다소 개선됐으나 2022년 3~4분기 대외 경제 환경 악화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연간 경제 성장률은 기존 정부 예상치인 -3.2%보다 낮은 -3.5%를 기록했다.

 

홍콩 정부는 2022년 홍콩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원인으로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른 수출 부진, 중국 본토와 홍콩 간 육로(트럭)를 이용한 물류 애로를 지적했다. 또한 코로나19 5차 대유행으로 인한 내수 및 금융 시장 부진도 역성장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2022년 홍콩 주요 경제지표>

(단위: US$억, %)

구분

2021

2022

GDP 총액

3,681

3,634

경제성장률

6.3

-3.5

물가상승률(CPI)

1.6

1.9

주: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US$ 1 = HK$ 7.8 적용

[자료: 홍콩무역발전국(HKTDC)]

 

반면 2022년 물가상승률(CPI)은 2021년 1.6%보다 높은 1.9%로 나타났다.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각했던 상황에서도 홍콩 달러가 미국 달러와 연계된 연계환율제도(Linked Exchange Rate System, US$ 1 = HK$ 7.5~7.85)를 운영하고 있어 홍콩은 완만한 물가상승률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2022년 홍콩의 대외무역

 

2022년 홍콩의 총 교역액은 1조 2,127억 달러를 기록했다. 상품 총수출과 총수입은 각각 전년 대비 8.7%와 7.2% 감소했다. 총수출과 총수입을 합한 총교역액은 2021년에는 전년대비 25.3%로 반등했으나, 2022년 다시 전년대비 7.9% 감소했다.

 

수출 부진에 대해 홍콩 정부는 글로벌 금리 인상으로 인한 세계 경기 위축과 코로나 방역 정책에 따른 홍콩-중국 본토 간 육상 이동 제한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참고로 2022년 전체 수출 중 재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8.6%에 달하는 등 홍콩은 대표적인 중계무역 거점 기능을 하고 있다.

 

<홍콩 교역액 및 증감률 변화 추이>

(단위: US$억, %)

구분

2020

2021

2022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수출

5,035

-1.5

6,360

26.3

5,809

-8.7

자체수출

61

-0.6

96

57.1

80

-16.7

재수출

4,974

-1.5

6,264

25.9

5,729

-8.5

총수입

5,474

-3.3

6,805

24.3

6,317

-7.2

총교역

10,509

-2.5

13,165

25.3

12,127

-7.9

주: US$ 1 = HK$ 7.8 적용

[자료: 홍콩무역발전국(HKTDC)]

 

월별 추이를 분석하면 2021년 내내 두 자리 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22년 1월부터 급격하게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2022년 하반기부터는 수출입 모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 홍콩 수출입 증가율 변화 추이 >

(단위: %)

 

2021

2022.1.

2022.4.

2022.7.

2022.9.

2022.11..

2022.12.

홍콩 수출

+26.3

+18.4

+1.1

-8.9

-9.1

-24.1

-28.9

홍콩 수입

+24.3

+9.6

+2.1

-9.9

-7.8

-20.3

-23.5

[자료: 홍콩통계청]

 

재수출의 비중이 높은 만큼, 2022년 홍콩의 교역부진은 물류량 감소로 이어졌다.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홍콩 항만 화물량(Port Cargo)은 전년 대비 10.1% 감소한 1억9,210만 톤을 기록했다. 특히 2022년 4분기에 홍콩 항만 화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럭을 이용한 육운 화물량 또한 전년 대비 53.9%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으로 인해 홍콩-중국 본토간 육로 운송제 제한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운송수단 별 화물량>

(단위: 천 톤, %)

구분

2019

2020

2021

2022

해운

263,315 (1.8)

249,286(-5.3)

213,731(-14.3)

192,104(-10.1)

육운

20,404() (-5.6)

19,099(-6.4)

19,813(3.7)

9,139(-53.9)

항공

4,704(-6.3)

4,420()(-6.0)

4,987(12.8)

4,170(-16.4)

주: 괄호 안 숫자는 전년대비 증감률

[자료: 홍콩통계청]

 

2022년의 경우 운송 수단 별 수출입 금액 기준으로 보면 전년대비 수출과 수입 모두 항공 운송과 해상 운송의 비중은 증가했으며, 육상 운송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입 모두 항공 운송 비중이 전년 대비 높아지면서 육상 운송 애로 해소를 위한 항공 물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운송수단 별 수출입 비중(금액 기준)>

(단위: %)

 구분

육운

항공

해운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홍콩 수출

49.8

42.3

35.5

41.3

12.1

12.7

홍콩 수입

38.6

30.6

48.6

54.6

10.7

12.6

[자료: 홍콩통계청]

 

2022년 홍콩의 상위 10대 교역국 및 품목

 

홍콩의 전체 교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은 중국 본토로서 금액 기준 2022년 전체 수출의 56%, 수입의 42%를 차지했다. 10대 수출 대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수출의 82%, 수입의 87%를 차지했다.

 

수출의 경우 전년대비 중국 본토와 일본으로의 수출은 각각 12.9%와 13.8% 감소했다. 반면, 인도, 베트남, 대만으로의 수출은 각각 29%, 8.9%, 7.2%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의 경우 전년 대비 중국 본토, 한국, 일본으로의 수입이 각각 14.6%, 10.7%, 10.4%로 감소했다. 반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22.3%, 7.4%, 6.1% 증가하는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교역 규모가 감소하는 가운데에도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홍콩의 10대 수출입 대상국>

(단위: US$백만, %)

순위

수출

수입

국가

금액

비중

증감

국가

금액

비중

증감

1

중국 본토

329,584

56.7

-12.9

중국 본토

266,367

42.2

-14.6

2

미국

37,526

6.5

-5.5

대만

75,311

11.9

7.3

3

인도

22,009

3.8

29.0

싱가포르

51,094

8.1

-3.7

4

대만

19,765

3.4

7.2

한국

37,150

5.9

-10.7

5

베트남

14,413

2.5

8.9

일본

31,123

4.9

-10.4

6

일본

13,139

2.3

-13.8

미국

26,840

4.2

1.3

7

UAE

12,176

2.1

35.3

말레이시아

22,679

3.6

6.1

8

싱가포르

10,630

1.8

18.6

베트남

18,444

2.9

22.3

9

한국

10,440

1.8

9.2

필리핀

12,071

1.9

7.4

10

네덜란드

10,189

1.8

0.1

태국

12,008

1.9

-8.9

주: US$ 1 = HK$ 7.8 적용

[자료: 홍콩통계청]

 

품목별로 살펴보면, 10대 수출과 수입 품목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홍콩은 기본적으로 재수출 중심의 무역 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령, 전체 수출과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전자집적회로(HS 8542)로서 전체 수출의 35%, 수입의 33%를 차지했다.

 

<2022년 홍콩의 10대 수출입 품목>

(단위: US$백만, %)

순위

수출

수입

품목(HS코드)

금액

비중

품목(HS코드)

금액

비중

1

전자집적회로(8542)

214,226

35.0

전자집적회로(8542)

222,480

33.3

2

전화기(8517)

55,268

9.0

전화기(8517)

59,621

8.9

3

금(7108)

30,146

4.9

금(7108)

38,002

5.7

4

기계 부분품(8473)

29,998

4.9

기계 부분품(8473)

25,355

3.8

5

자동자료처리기계(8471)

27,186

4.4

자동자료처리기계(8471)

23,834

3.6

6

반도체디바이스(8541)

17,867

2.9

반도체디바이스(8541)

18,941

2.8

7

다이아몬드(7102)

2.1

2.3

신변장식용품(7113)

18,825

2.8

8

평판디스플레이모듈(8524)

1.8

1.9

다이아몬드(7102)

15,716

2.3

9

인쇄회로(8534)

1.8

1.7

터보제트(8411)

13,141

2.0

10

터보제트(8411)

1.8

1.7

평판디스플레이모듈(8524)

11,040

1.7

[자료: Global Trade Atlas]

 

10대 수출 품목 대부분이 전년 대비 수출액이 감소했으며, 특히 전체 수출의 약 45%를 차지하는 전화기, 자동자료처리기계, 기계 부분품의 수출이 각각 27.9%, 14.6%, 13%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10대 수입 품목 중 금, 터보제트의 수입액이 각각 30.5%와 9.7% 증가했으며, 전화기는 2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한국과 홍콩 간의 교역 동향

 

2022년 한국과 홍콩 간의 총 교역 규모는 25.6% 감소한 295.3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對홍콩 수출은 276.5억 달러로서 전년 대비 26.2% 감소했으며, 수입은 18.8억 달러로 16.5%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257.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며, 전년대비 23.5% 감소한 수준이다. 참고로 지난 5개년 평균 한국의 對홍콩 무역 흑자 규모는 약 320억 달러였다.   

 

<2022년 한국과 홍콩 간 수출입 동향>

(단위: US$억, %)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수 출

459.9 (17.6)

319.1 (-30.6)

306.5 (-3.9)

374.6 (22.2)

276.5 (-26.2)

수 입

19.9 (6.3)

17.8 (-10.9)

15.4 (-13.4)

22.4 (45.9)

18.8 (-16.5)

총교역

479.9

336.9

321.9

397.1

295.3

수 지

440.0

301.3

291.1

352.2

257.8


주: 괄호 안의 수치는 전년 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무역협회]

 

참고로 전년대비 수출 감소 폭은 2022년 한국의 20대 수출 대상국 중 수출 감소 폭이 가장 컸으며, 한국의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5.8%에서 2022년 4%로 하락했다. 2023년 3월 1일 현재 對홍콩 수출은 2022년 2월부터 12개월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 주: 2022년 한국의 20대 수출 대상국 중 중국(-4.4%), 홍콩(-26.2%), 독일(-9.4%) 등 3개국만 수출액이 감소

 

품목별로는 2022년 한국의 對홍콩 10대 수출 품목인 석유제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전년 대비 수출이 감소했다. 특히 對홍콩 수출의 70%를 차지하는 반도체 품목은 전년 대비 수출이 27% 감소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며, 홍콩 내수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화장품과 같은 품목도 전년보다 수출 성장률이 둔화되었다.

 

<2022년 한국의 對홍콩 10대 수출입 품목>

(단위: US$백만, %)

순위

수출

수입

품목(MTI코드)

금액

증감률

품목(MTI코드)

금액

증감률

1

반도체(831)

19,413

-27.0

반도체(831)

1,133.8

25.6

2

컴퓨터(813)

1,824

-3.1

컴퓨터(813)

112.8

-13.1

3

석유제품(133)

894

13.8

어류(041)

111.9

249.6

4

화장품, 비누(227)

395

-31.7

동제품(622)

62.1

36.5

5

합성수지(214)

260

-53.4

기구부품(834))

39.4

11.9

6

유리제품(243)

256

-32.4

그림(921)

27.9

16.3

7

기구부품(834)

256

-22.5

무선통신기기(812)

27.1

-47.5

8

석유화학원료(269)

251

-6.7

보석(961)

24.2

17.2

9

광학기기(715)

187

-43.3

알루미늄(621)

23.0

-15.7

10

무선통신기기(812)

162

-61.8

계측제어분석기(815)

19.2

-24.4

주: 괄호안은 MTI 3단위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시사점

 

홍콩통계청에 따르면 홍콩 경제는 2021년 기준 전체 GDP의 93.4%를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중심의 경제로서, 제조업은 1%에 불과하다. 무역과 물류, 금융, 전문서비스, 관광 등 4대 서비스 부문이 경제의 주요 축을 구성하는 경제산업 구조를 보이고 있어 코로나 방역정책 등 대외 경제변화에 따라 경제성장률 변동성이 큰 편이다. 2019년 -1.7%, 2020년 -6.5%, 2021년 +6.3%, 2022년 -3.5% 등 경제성장률 변화가 매년 큰 것에서 알수 있다. 

 

최근 홍콩 정부가 발표한 2023/2024 회계연도 예산안에 따르면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재정정책 등이 주요 과제로 포함되어 있다. 홍콩 정부는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 본토 경제의 회복, 관광산업의 활성화 등에 따른 내수 소비 활성화 등으로 2023년 경제 성장률은 플러스로 전환하여 3.5~5.5% 사이로 전망했다. 블룸버그(Bloomberg)도 2023년 3월 기준 올해 홍콩 경제 성장률을 2.7%로 보고있다.

 

2022년 말부터 코로나 방역 정책이 완화되어 왔고 2023년 3월 1일부로 실내외 마스크 의무화가 폐지되는 등 해외에서 홍콩을 방문하는 방문객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내수 회복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정부는 최근 ‘헬로우 홍콩(Hello, Hong Kong)’ 캠페인 시행하기 시작했다. 2023년 3월부터 지역별로 시행 시기의 차이는 있으나 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료 항공권 등을 배포하는 것이 골자이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국제 전시회 참가를 위해 방문하는 해외 방문자들도 최근 급증하고 있다. 홍콩무역발전국(HKTDC)에 따르면 `21년 기준 홍콩 전체 재수출 시장의 약 40%는 아세안, 중동, 유럽 등의 중국 외의 지역들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홍콩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전시회와 컨퍼런스 참여를 통해 수출 시장 다변화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방역 정책 기간 해외로 빠져나간 우수인재를 다시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도 시행 중이다. 또한 2023/24 회계연도 예산안에는 1인당 최대 HK$ 5,000의 전자소비 바우처 지급,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계획과 신흥시장 투자 유치를 위한 대규모 펀드 조성 등 경제 활성화 정책을 포함하고 있어 홍콩 경제가 얼마나 빨리 활력을 되찾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 홍콩통계청, 홍콩무역발전국(HKTDC), Global Trade Atlas, 한국무역협회,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2년 홍콩 경제무역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