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스니커즈(운동화)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우은정
  • 2022-05-31
  • 출처 : KOTRA

작년 한국산 기타 신발류 대미 수출, 전년 대비 약 39% 증가

신발 시장의 캐주얼화(Casualization) 트렌드와 함께 스니커즈 인기 지속 전망

상품명 및 HS Code

 

스니커즈(Sneakers)란 일반 운동화의 일종으로, 운동 시뿐만 아니라 장소와 관계없이 일상생활에서도 편하게 신을 수 있는 바닥이 고무 재질로 된 운동화 신발류를 통칭한다. 스니커즈는 크게 ‘바닥은 고무·플라스틱·가죽·합성 가죽으로, 갑피는 직물·섬유 재료로 만든 신발류(Footwear with outer soles of rubber, plastics, leather or composition leather and uppers of textile materials)’로 정의된 HS Code 제6404호에 속하며, 세부적으로는 제6404호 하위의 ‘기타(Other)’ 품목인 6404.19로 분류된다.

 

<다양한 스니커즈의 예>

 

[자료: Pixabay(https://pixabay.com/en/)]

 

시장동향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IBIS World의 미국 신발류 생산 시장 보고서(Shoe & Footwear Manufacturing in the US, 2021년 11월 발간)에 따르면, 2020년 말 해당 시장의 규모는 약 15억34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6% 감소했다. 2021년 말까지는 약 16억9400만 달러 규모로의 소폭 성장이 예상되며, 2022년에는 약 18억 달러까지 성장해 점차 규모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까지 지난 5년간 수입 시장과의 경쟁 과다,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 등으로 매출 감소를 겪었으나, 향후 5년 동안은 연평균 약 2.1% 성장하며 2026년까지 약 19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2013~2026년 미국 신발류 생산 시장 규모의 변화 추이>

(단위: US$ 십억)

 

: 2020년 이후의 수치는 예상치

[자료: IBIS World(Shoe & Footwear Manufacturing in the US, 2021년 11월 발간)]

 

IBIS Worl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국 시장의 전체 신발류 수요 중 약 96%가 수입 제품으로 채워져, 미국 신발 시장의 수입 의존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노동 집약적인 신발 생산 시장의 특성 때문으로, 향후에도 노동 경쟁력이 높은 국가들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높게 유지될 전망이다. 그러나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약화가 점차 해소되고 소비자의 아웃도어 활동 역시 증가하면서 미국 신발 생산 시장의 전반적인 규모는 예전의 수준으로 회복되며 꾸준히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IBIS World는 예측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Euromonitor Passport의 미국 신발 시장 보고서(Footwear in the US, 2022년 1월 발간)에 의하면, 2021년 소비자의 업무 및 사교 활동이 부쩍 증가하며 스니커즈와 같은 캐주얼 슈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았고 지금까지 이어져 온 애슬레저 트렌드는 단순히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미국 시장에서 견고한 표준(Norm)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견된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1년 미국의 스니커즈 포함 기타 신발류 수입액은 전년 대비 46.5% 증가한 약 49억7279만 달러로 집계됐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과 베트남이며 1위 수입국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49.4% 증가한 약 28억9801만 달러 규모다. 1위와 2위 수입국인 중국과 베트남산 제품은 미국 전체 기타 신발류 수입 시장의 대부분인 약 81%를 차지한다. 2021년에는 특히 이탈리아와 독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년 대비 각각 125.5% 및 426.2% 급증해 눈길을 끈다.

 

<최근 3년간 미국의 기타 신발류 수입동향(HS Code 6404.19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연도별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9년

2020년

2021년

2019년

2020년

2021년

`21/`20

-

전체

4,505.14

3,395.16

4,972.97

100.0

100.0

100.0

46.5

1

중국

2,964.25

1,939.83

2,898.01

65.8

57.1

58.3

49.4

2

베트남

961.14

889.92

1,135.41

21.3

26.2

22.8

27.6

3

이탈리아

138.71

153.66

346.58

3.1

4.5

7.0

125.5

4

인도네시아

118.30

117.80

173.38

2.6

3.5

3.5

47.2

5

캄보디아

103.00

98.17

131.97

2.3

2.9

2.7

34.4

6

한국

38.82

26.33

36.54

0.9

0.8

0.7

38.8

7

독일

3.47

5.22

27.48

0.1

0.2

0.6

426.2

8

도미니카공화국

24.20

14.91

27.37

0.5

0.4

0.6

83.6

9

스페인

16.14

15.54

26.09

0.4

0.5

0.5

67.9

10

미얀마

12.69

28.00

24.08

0.3

0.8

0.5

-14.0

[자료: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2022.05.26.)]

 

작년 한국의 기타 신발류 대미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38.8% 증가한 약 3654만 달러로, 수입국 중 6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산 제품의 미국 전체 기타 신발류 수입시장 내 비중은 1% 미만으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해당 시장의 특성상 향후 수입액 성장 전망이 밝다.

 

경쟁동향

 

Euromonitor Passport에 의하면, 스니커즈를 포함한 미국 신발 시장의 주요 경쟁 브랜드는 Nike, Adidas, Sketchers, Vans 등으로, 스니커즈와 운동화 제품 브랜드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 상위 4개 브랜드는 전체 시장의 1/3인 약 33%를 점유하고 있다.

 

시장 내 메이저 경쟁 기업을 살펴보면, 주요 상위권 브랜드를 보유한 신발 제조 및 판매 기업들이 주를 이룬다. 종합 스포츠 브랜드 Nike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스니커즈 브랜드인 Converse를 소유한 Nike Inc.가 시장 내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며, 그 외로 Adidas America Inc.와 Vans 브랜드를 보유한 VF Corp가 함께 상위권을 구성 중이다. 이 3개 기업의 전체 시장 점유율은 약 33%이다. 한편, 개별 상표의 소규모 기업이 시장의 36.8%를 차지하고 있다.

 

유통구조

 

미국에서 스니커즈를 포함한 신발류는 전통적으로 매장을 기반으로 한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대부분 유통되어 왔다. Euromonitor에 따르면 신발류는 2021년 기준으로 매장 기반 소매업계를 통해 약 65%가 유통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의류 및 슈즈 전문 소매점과 레저 및 스포츠용품 소매점을 통해 가장 많이 유통된다. 그러나 최근 5년간 매장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이커머스와 같은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한 판매가 급격히 증가 중으로, 이커머스를 통한 신발 유통은 약 34%에 달한다. 온라인 쇼핑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러한 이커머스를 통한 유통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율 및 인증·수입규제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6404.19는 하위 품목에 따라 적게는 7.5%에서부터 많게는 37.5%까지의 일반 세율이 적용되지만, 한국산 제품의 경우 1개 품목(6404.19.20, 9.3%)을 제외하고 모두 한미 FTA로 인한 관세 혜택에 따라 무관세가 적용된다. 한미 FTA 상의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미국 세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등의 필요 서류를 갖춰야 함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원산지 증명서 및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의 관련 서류는 통관 후에도 통관일로부터 5년간 보관해야 한다. 미국 세관에서는 한미 FTA를 포함한 무역 협정에 따른 원산지의 사후 검증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추세이기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HS Code 6404.19의 하위 품목별 세율>

상세 HS Code

일반 세율

한미 FTA 혜택 세율

6404.19.15

10.5%

무관세

6404.19.20

37.5%

9.3%

6404.19.25

7.5%

무관세

6404.19.30

12.5%

무관세

6404.19.36

7.5%

무관세

6404.19.37

12.5%

무관세

6404.19.39

37.5%

무관세

6404.19.42

7.5%

무관세

6404.19.47

12.5%

무관세

6404.19.49

37.5%

무관세

6404.19.52

7.5%

무관세

6404.19.57

12.5%

무관세

6404.19.59

48%

무관세

6404.19.61

12.5%

무관세

6404.19.69

37.5%

무관세

6404.19.72

7.5%

무관세

6404.19.77

12.5%

무관세

6404.19.79

켤레당 90¢ + 37.5%

무관세

6404.19.82

7.5%

무관세

6404.19.87

12.5%

무관세

6404.19.89

켤레당 90¢ + 20%

무관세

6404.19.90

9%

무관세

[자료: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https://hts.usitc.gov/?query=640419)]

 

미국으로 신발 수출 시 필수로 요구되는 인증은 별도로 없는 것으로 확인되나,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이하 CPSC)의 안전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CPSC에서는 미국에서 생산, 판매 및 유통되는 모든 소비재를 소비자 안전 법안에 따라 규제하고 있으며, 특히 유아 및 어린이의 접근이 가능한 모든 제품의 안전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2008년 8월에 개정된 소비자 제품 안전 개선법안(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은 2008년 11월 12일 이후에 생산된 모든 수입 소비자 제품에 대해 안전성 테스트 증빙을 미리 갖추고 제품 통관 시 미국 세관이 증빙을 요구할 경우 의무적으로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캘리포니아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에 ‘Proposition 65’에서 지정하는 유해 독성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돼 있거나 발생하는지 사전에 검토해 독성물질이 검출될 경우 OEHHA의 규정에 따라 경고문을 부착해야 한다.

 

시사점

 

2020년 등장해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한때 스니커즈를 포함한 운동화 및 신발류의 미국 내 매출은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점차 엔데믹(Endemic)으로 향하는 만큼 직장 및 학교로의 복귀, 아웃도어 활동이나 국내·해외여행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소비자의 생활방식이 다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스니커즈와 같은 편한 신발에 대한 수요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Euromonitor는 미국 신발 시장에서 ‘캐주얼화(Casualization)’를 핵심 트렌드로 꼽았다. 애슬레저 트렌드가 미국 패션 및 슈즈 업계의 표준 규범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에 맞게 가벼운 운동이나 일상생활에서 모두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스니커즈에 대한 수요와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에는 슈즈 업계, 특히 스니커즈 브랜드의 유명인 및 타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이 매우 활발하다. 이처럼 독특함과 희소성이라는 특징을 지닌 컬레버레이션 스니커즈 제품은 특별함과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 소비자를 필두로 꾸준한 사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러한 트렌드를 적절히 파악하고 참고할 필요가 있다.

 

스니커즈가 해당하는 HS Code 6404.19의 모든 하위 품목들은 미국의 무역 통상법 301조에 따른 대중 무역 제재 4차 A 및 4차 B 리스트에 포함된다. 4차 A 리스트 포함 품목*의 경우 2020년 2월부터 해당 중국산 제품에 7.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4차 B 리스트 포함 중국산 품목**에는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지만 발효 시기는 미정이다. 관련 업계의 우리 기업들은 미국으로의 해당 품목 수출 경쟁 시 이를 전략적으로 참고할 수 있겠다.

 * 6404.19.15, 6404.19.25, 6404.19.39, 6404.19.79, 6404.19.82, 6404.19.89, 6404.19.90

 ** 4차 A 리스트 포함 7개 하위 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하위 품목



자료: IBIS World, Euromonitor,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관세법령정보포털(CLIP), CPSC, OEHHA, Sandler, Travis & Rosenberg, P.A., Pixabay,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스니커즈(운동화)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