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1/4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에 대한 현지 반응
  • 경제·무역
  • 미국
  • 워싱턴무역관 이정민
  • 2022-05-10
  • 출처 : KOTRA

예상 밖 1분기 미국 GDP 마이너스 성장 기록(연율 -1.4%)

무역적자 급증, 기업 재고투자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

개인소비, 기업 투자 호조세로 불황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

연준의 통화긴축 기조 속에 미국 경제 펀더멘털에 의문 제기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4월 28일(목) 올해 1분기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 분기 대비 0.4%(연율 기준 -1.4%)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4분기 성장률 1.7%(연율 6.9%)에서 급락한 수치이다. 이로써 미국 경제는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1, 2분기 이후 최초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게 됐다. 발표 직전 다수 경제 전문가들은 1% 수준의 완만한 GDP 성장을 예측한 바 있으나, 예상 밖의 성장 역행 소식에 언론들은 앞다투어 그에 대한 원인 분석과 전망을 내 놓았다.


<미국 실질 GDP 성장률: 전 분기 대비 변화(연율)>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4.28.)]


안정적 소비와 투자에 힙입어 조만간 성장세 전환 전망 우세 

 

GDP 구성 항목별로 살펴봤을 때 △ 민간 재고 감소 △ 무역적자 확대 △ 정부 지출 축소가 이번 경기 후퇴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미국 GDP 비중의 약 70%를 차지하는 개인 소비지출과 함께 기업 투자가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어 다음 분기 GDP는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은    2.7%() 고, 그에 따라 소비지출의 실질 GDP 기여도(Contributions in real GDP)는 전분기 1.76%에서 1.83%로 상승했다. 1분기 중 품        0.35%   , 의류·신발, 가솔린 등 비내구제 소비의 기여도는 -0.38% .    가       . , 1       4.3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해 비내구재 소비 부진을 상쇄했다. 의료, 주거·유틸리티, 외식 서비스, 여가, 교통 등 전 분야에 걸쳐 서비스 소비의 GDP 기여도 상승이 두드러졌다.


민간 투자는 작년 4분기 성장률 36.7%에서 올해 1분기 2.3%로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민간기업의 정보통신·산업장비 투자와 소프트웨어·R&D 등 지재권 투자의 GDP 기여도는 각각 0.79%, 0.40%를 기록해 플러스로 작용했다. 다만, 1분기 민간기업의 재고 투자(Private inventories)가 크게 감소해 해당 부문의 GDP 기여도가 -0.84%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소비 진작을 기대했던 도소매 기업들이 지난 분기 재고량을 높게 가져갔고 이번 분기 중 자동차 등 빠른 재고 소진 및 공급망 혼란의 영향으로 재고가 일시적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1분기 GDP 성장률 둔화의 가능 큰 원인으로 무역적자 급증이 지목된다. 전 분기 대비 1분기 수출은 5.9% 감소했고 반대로 수입은 17.7% 빠르게 증가했다. 종합적으로 1분기 중 급증한 무역적자가 전체 GDP 계정에 부정적인 영향(-3.20%)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코로나19 관련 정부 재정지원 축소에 따라 연방 및 주·지방 정부 지출 축소가 GDP 성장률 하락의 또 다른 요인이 됐다. 지난 분기 연방정부의 국방 지출은 8.5% 감소했고 비국방 지출도 2.2% 감소해 연방정부 지출의 GDP 기여도는 -0.39%를 기록했다. 


<2022년 1분기 미국 GDP 항목별 기여도(%)>

[자료: Wall Street Journal(4.29.)]


GDP 역성장, 경제보다 정치적으로 해석될 가능성

 

높은 고용에 따른 안정적인 소비 증가 추세를 고려했을 때, 일각에서 제기되는 경제 불황(Recession) 돌입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1분기 대폭 증가한 상품수입은 여전히 국내 수요가 견고하다는 증거이고 기업 재고 감소는 기저효과와 공급망 혼란에 따른 단기적 현상에 불과하다는 해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펀더멘털은 견조하고 따라서 현재까지 불황에 대한 우려는 섣부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불황 여부를 결정하는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통상 2분기 연속으로 GDP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을 때 경제가 불황(Recession)에 돌입했다고 판단한다. 웰스파고(Wells Fargo) 등 다수의 금융기관 분석가들은 내년까지 미국 경제가 불황에 돌입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 본다.  

 

한편, 언론은 이번 GDP 마이너스 성장이 경제보다는 정치적으로 가지는 함의에 주목했다. 공급망 혼란, 물가인상, 경제성장 지체로 이어진 현재 상황이 11월 치러질 미국 의회 중간선거에서 바이든 정부와 집권여당인 민주당에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근 갤럽 여론조사(4.1.~4.19. 실시)에 따르면, 미국인 중 약 80%가 현재 경제 상황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76%는 향후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갤럽이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경제신뢰지수(4월)는 -39로 코로나19 발발 초기 2020년 4월 수준(-33)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경제신뢰지수(2020~2022)>

 [자료: Gallup]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마이너스 성장은 급격한 재고 감소 등 기술적 요인에 따른 것일뿐 장기 추세로 보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상하원 다수당 지위 탈환을 노리고 있는 공화당은 이번 GDP 실적을 바이든 경제정책 실책을 부각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공화당 소속 케빈 브래디(Kavin Brady) 하원의원은 “인플레이션 가속화, 고조되는 경제 불황 리스크는 곧 현 정부 정책 실패의 결과물이다”라며 공세를 폈다.


미국 경제 펀더멘털 과연 견조한가?

 

3월 소비자 물가가 40년래 가장 높은 8.5%를 기록하고 실업률도 3.6%의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5월 3~4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FOMC)에서 기준 리 0.5%p 인상이 결정됐다. 연준이 정책 지표로 관리해야 하는 '물가'와 '고용'의 관점에서 볼때, 현재 금리 인상은 하등 이상할 것이 없어 보인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의 급속한 통화긴축을 무리없이 소화해 낼 만큼의 미국 경제 펀더멘털이 탄탄한지에 의문을 제기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의 경제평론가 그레그 입(Greg Ip)은 고공행진 중인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금리인상 조치로 완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입은 “연준이 통화정책으로 수요(Demand)를 통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는 공급(Supply)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공급문제는 단순히 공급의 물리적 부족이 아닌 △ 지정학 갈등 △ 보호무역 정책 △ 자연재해 등에서 비롯된 바, 금리 인상이 물가를 잡는 특효가 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1분기 양호했던 민간 소비가 과연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분기 실적에는 우크라이나 사태, 유류 및 식품 가격 인상 등 요인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으며 향후 2~3분기 동안 본격적인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실적 저하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현재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한 낮은 실업률의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에 의문을 제기한다. 현재 양호한 고용실적이 팬데믹 이후 급격한 경기 회복에 따른 '후행 효과'(lagging effect)이지, 경제 성장 지속을 예고하는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준의 '빅스텝'(0.5%p 기준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실패하고 오히려 고용시장 악화에 따른 경제 성장 지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스러운 전망이 나온다. 

 


자료: BEA 발표, Politico Pro, Wall Street Journal, New York Times, Bloomberg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1/4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에 대한 현지 반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