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마스크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승호
  • 2021-10-08
  • 출처 : KOTRA

- 일본의 마스크 총 수입은 감소중이나 한국산 마스크 수입은 증가 -

- 한류 활용 및 기능성 추가하여 부가가치화 필요 -

 

 

 

제품 기본정보

 

ㅇ품목명 : 마스크 (HS 6307.90)

일본의 마스크 관련 HS Code20211월부터 HS 6307.90-022(N95 마스크) HS 6307.90-023(그외 부직포 마스크) HS 6307.90-029(마스크 외 부직포류 기타)로 분류되며, KF94(보건용) 마스크도 일반적으로 에 분류된다.

 

일본 마스크 시장 동향

 

일본은 코로나 이전부터 일반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높은 국가이다. 특히 환절기에 꽃가루 및 비말 방지를 위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마스크 수요는 급증하였으며, 기존 중국 의존도가 높은 부직포 수급으로 인해 공급부족현상이 상반기 중 계속되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응, 국내 마스크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자국 마스크 등 보건용품 관련 기업의 리쇼어링 지원책(보조금 지원), 생산설비 보조금 등의 정책을 추진하여 2021년 현재 국내 수급상황은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2020년도(2020420213) 국내 마스크 생산량은 3,526만장으로, 2019년도(2019420203) 1,483만장 대비 137.7% 국내 생산이 증가했다.

 

일본의 마스크 국내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단위: 만 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1c023e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6pixel, 세로 289pixel

자료: 일본 위생재료공업연합회

 

한편, 최근에는 일본 TV, SNS 등을 통해 한국 KF94 마스크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마스크 자체의 비말차단 기능 뿐만 아니라 립스틱이 묻지 않는 특징 때문에 한류 마스크라는 표현으로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부직포형 마스크 이외에도 여름용 천 마스크 등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보급되고 있다.

 

마스크 수입 동향

 

일본의 마스크 수입규모는 2020년 기준 5,519억 2,500만 엔 규모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급격히 증가했다(285.6% 증가). 하지만 국내 생산 확대 및 세계적 마스크 수급 안정에 따라 전년도와 같은 마스크 수요 급증은 나타자고 있지 않다. 20216월 수입 누적액은 1,204억 1,000만 엔으로, 2020년 대비는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2019년 동기 대비 132% 정도의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 마스크 관련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의 마스크 시장은 국내 수급 안정화에 따라 출하 및 수입이 동반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며, 최근에는 단가가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시장 진입을 강화하고 있다.”KOTRA 도쿄무역관과의 면담에서 언급한 바 있다(협회명 비공개).

 

지역별로는 중국의 의존도가 매우 높아 2020년 기준 약 89.1%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수입액 4916억 3,000만 엔). 2위 수입상대국은 베트남(2020년 수입액 244억 900만 엔)으로, 노동집약적 성향이 강한 제품 특성상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과 베트남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020년 대 한국 수입액은 125억 2,600만 엔으로, 3위 수입상대국이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의 마스크 수입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최근 일본 내의 한류마스크 인기 상승에 따라 수입이 증가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는 대미국 수입이 높은 편으로(2020년 기준 24억 7,700만 엔), 이는 미국산 의료용 마스크의 수입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일본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원(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인증 규격인 N95에 대한 별도 관세코드를 지정하여 수입을 관리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일본의 국가별 마스크 수입액(HS 6307.90)

(단위: 백만 엔, %)

구분

2018

2019

2020

2021.6

증감률

(2021.6월기준,
전년동기 대비)

총계

139,434.0

143,138.0

551,925.0

120,410.0

-65.3

중국

109,300.0

109,813.0

491,630.0

96,502.0

-69.9

베트남

9,569.0

10,223.0

24,409.0

7,406.0

-40.4

한국

3,390.0

3,857.0

12,526.0

4,584.0

33.1

미국

2,721.0

3,728.0

2,477.0

1,370.0

-7.7

대만

3,149.0

3,697.0

4,599.0

2,481.0

19.3

인도네시아

2,632.0

2,309.0

2,605.0

1,210.0

1.2

캄보디아

1,528.0

1,662.0

1,278.0

814.0

9.1

태국

1,396.0

1,404.0

2,403.0

1,018.0

20.2

필리핀

603.0

810.0

3,294.0

1,314.0

75.2

멕시코

865.0

721.0

773.0

449.0

-4.0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2021.9.2. 조회)

 

경쟁동향

 

일본 마스크시장은 기존 일본 위생용품업체의 꽃가루, 미세먼지 등 대응 제품과 함께, 아이리스오야마, 샤프 등 기존 마스크 생산이 없었던 타업종에서의 시장진입이 눈에 띈다. 기존 일본기업 마스크의 경우 편의점, 드럭스토어(약국) 등 다양한 소매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타업종에서 시장에 진입한 기업의 경우는 자사 홈페이지나 EC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 외에도 유니클로 등의 의류업체 또한 자사 기능성 천을 활용한 마스크를 발매, 판매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KN95 마스크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EC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중국산의 경우 KN95를 명기하는 제품도 있으나, 한국의 KN94인 것처럼 표기하여 '한류 마스크', 'KF94 동일규격' 등의 표현을 통해 한류 수요에 편승하려는 움직임 또한 관측되고 있다.

 

한국제품의 경우 슈퍼마켓, 드럭스토어, EC(라쿠텐, 아마존, Qoo10)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일본 내 유통중인 주요 마스크

구분

제품 설명

일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00000001001898286_1020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0pixel, 세로 410pixel

제품명 : 초입체 마스크

제조사명 : 유니참

소매가 : 17~46/

특징 : PM2.5 방지, 귀가 편안한 형태로 제작된 것이 특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hero_pc.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0pixel, 세로 537pixel

제품명 : 에어리즘 마스크

제조사명 : 유니클로

소매가 : 330/

특징 : 기능성 천 마스크(부직포 내장), 세탁 가능

중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중국.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4pixel, 세로 385pixel

제품명 : KN95 부직포 마스크

소매가 : 94 ~ 105 /

특징 : 일부 KN95 마스크가 KF94와 유사규격임을 활용하는 경우 존재

한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1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7pixel, 세로 64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2222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5pixel, 세로 615pixel

제품명 : KF94 마스크 (브랜드, 제품 다양)

소매가 : 115 ~ 200 /

특징 : 중국산 대비 가격경쟁력 열위이나, 한류 마스크 등으로 판매 호조

자료: 라쿠텐, 아마존 및 각 사 홈페이지 참조 KOTRA 도쿄무역관 작성

 

유통구조

 

일본에서 마스크는 일반 잡화로 분류된다(산업용, 의료용 제외). 잡화의 경우 별도 수입규제나 인증절차 없이 수출이 가능하며, 잡화의 특성상 약국, 슈퍼마켓, 편의점 등 다양한 소매점에서 유통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본의 EC 플랫폼이 성장하여 라쿠텐, 아마존, Qoo10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슈퍼마켓, 약국 등의 소매점 납품을 위해서는 해당 소매점에 납품을 하고 있는 전문상사를 경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C 플랫폼의 경우 현지 사무실이 없더라도 직접 입점이 가능한 플랫폼이 존재하며, 그 외에는 벤더사를 경유해 입점이 가능하다.


관세 및 인증정보


ㅇ 관세

HS CODE

WTO 협정세율

특혜관세

6307.90-029(부직포마스크)

4.7%

0%

6307.90-010(거즈 마스크)

6.5%

0%

 

ㅇ 규제 및 인증정보

- (의약품의료기기등법) 한국의 KF94 마스크와 달리 마스크는 일본에서 잡화로 분류되어 제조, 생산시 별도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

- (일본공업규격, JIS) 일본 경제산업성은 코로나 사태 이후 일반용 마스크에 대한 국가 규격(임의규격)을 도입하였다(2021616). 수출시 별도 인증 취득이 필요한 규격은 아니다.

* 규격 관련 참고 해외시장뉴스 : , 마스크 대상 새로운 JIS 인증 제정 예고

 

시사점

 

일본에서 마스크는 국내생산 강화 및 수급안정화로 인해 전반적인 수입은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가 종식되기 전까지는 마스크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다른 지역의 수입이 감소한 반면 한국산 KF94 마스크의 수입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 기업에게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저가격 마스크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최근 '한류 마스크' 등의 이미지를 적극 활용해야 하며, 필터링 이외의 기능성을 추가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패키지의 현지화가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한국기업의 마스크 판매를 보면, 일본어 표기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본 소비자가 선뜻 구매하기 어려울 수 있다.

 

KF94의 일본 유통량 중 80%는 인터넷 판매(EC 플랫폼)이다(수입상사 J사 인터뷰 의견). 하지만 수입상사에 따라서는 드럭스토어 등의 납품처를 가진 경우도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시장 진출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일본에 신규지정된 JIS 인증을 획득한다면 일본인의 신뢰도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자료: 일본 후생노동성, 경제산업성, 재무성, 일본위생재료공업연합회, 한국 무역협회 및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체자료 참조, KOTRA 도쿄무역관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마스크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