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팜오일 시장 동향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박지호
  • 2020-12-15
  • 출처 : KOTRA

- 말레이시아 팜오일 산업,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주춤했지만 지속적인 수요 증가 기대돼 -

- 대한민국, 2020년 상반기 말레이시아산 팜오일 수입 규모 77백만 달러, 전년도 동기 대비 54.3% 증가 - 




상품명 HS Code

 

  상품명 : 팜오일(팜유와 그 분획물)

   Hs Code : 1511

 

시장동향

 

  ㅇ 말레이시아 팜오일위원회(MPOB; Malaysian Palm Oil Board)에 따르면 2020년 말레이시아 팜오일 산업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출 감소 및 가격 하락 등 침체를 겪었으나, 경제 활동이 재개되면서 점차 회복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난 6, 단기 경제회복계획에 따라 7월부터 12월까지 팜오일 일부 제품의 수출 관세를 철폐함


  ㅇ 말레이시아의 팜오일 재배 면적은 2019590 ha으로 전년도에 비해 0.9% 증가함

    - 사라왁주는 말레이시아 전체 재배 면적의 26.9%159ha를 보유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사바주가 26.2% 비중인 154ha를 보유하고 있음. 또한 말레이시아 반도의 팜오일 재배 면적은 277ha로 전체 면적의 46.9%를 차지하고 있음

 

수출입동향

 

말레이시아 팜오일 수출입액(HS Code 1511)

(단위: 백만 USD)

구분

2017

2018

2019

 2019 상반기

2020 상반기

수출액

9,713.22

8,700.43

8,598.47

4,405.53

4,118.75

수입액

400.75

453.10

549.56

246.64

243.1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0년 상반기 말레이시아 팜오일의 총 교역액은 약 4,362백만 달러로 전년도 동기 대비 6.2% 감소함. 수출액은 6.5% 감소한 4,118백만 달러, 수입액은 1.4% 감소한 243백만 달러를 기록함

 

국가별 수출액 (HS Code 1511)

(단위: 백만 USD, %)

순위

국가

수출액

점유율

증감률

2019

2019 상반기

2020

상반기

2019

2019

상반기

2020

상반기

2020 상반기/

2019 상반기

1

중국

896.54

337.76

517.85

10.43

7.67

12.57

53.32

2

네덜란드

415.65

208.82

358.72

4.83

4.74

8.71

71.78

3

파키스탄

527.34

246.47

307.76

6.13

5.59

7.47

24.87

4

필리핀

333.10

169.53

220.57

3.87

3.85

5.36

30.11

5

인도

2,101.38

1,233.79

198.13

24.44

28.01

4.81

-83.94

6

터키

299.62

168.31

169.58

3.48

3.82

4.12

0.76

7

베트남

298.01

134.50

136.09

3.47

3.05

3.30

1.18

8

방글라데시

65.47

14.22

124.76

0.76

0.32

3.03

777.04

9

사우디아라비아

70.17

32.60

123.11

0.82

0.74

2.99

277.60

10

미국

190.38

118.24

119.93

2.21

2.68

2.91

1.43

19

대한민국

104.48

49.72

76.71

1.22

1.13

1.86

54.28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는 2020 상반기에 중국으로 5 1790 달러 규모의 팜오일을 수출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3.3% 증가한 수치임. 중국은 2023년까지 말레이시아산 팜오일 170만톤을 수입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한 있음

 

  ㅇ 2020 상반기 對네덜란드 수출은 71.8% 증가한 3 5872 달러, 對파키스탄 수출은 24,9% 증가한 3 3,789 달러를 기록함

 

  ㅇ 말레이시아 팜오일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인도는 2020 1 말레이시아 팜오일 수입을 금지한 바 있음. 이후 5월에 수입을 재개했으나 당시 규제로 인해 말레이시아의 2020 상반기 對인도 수출액은 전년도 동기 대비 83.9% 감소한 1 9813 달러를 기록함

 

   한편, 올해 상반기 對대한민국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4.3% 증가한 7,670 달러를 기록함

 

국가별 수입액 (HS Code 1511)

(단위: 백만 USD,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9

2019

상반기

2020

상반기

2019

2019

상반기

2020

상반기

2020 상반기/

2019 상반기

1

인도네시아

504.51

221.68

213.04

91.80

89.88

87.61

-3.90

2

파푸아뉴기니

13.73

5.00

18.55

2.50

2.03

7.63

270.93

3

싱가포르

4.45

1.50

5.87

0.81

0.61

2.41

291.81

4

필리핀

10.42

10.07

3.90

1.90

4.08

1.61

-61.24

5

캄보디아

12.97

5.52

1.37

2.36

2.24

0.56

-75.11

6

에콰도르

0.00

0.00

0.21

0.00

0.00

0.09

0.00

7

네덜란드

0.00

0.00

0.18

0.00

0.00

0.07

3715.92

8

벨기에

0.00

0.00

0.04

0.00

0.00

0.02

0.00

9

태국

0.96

0.96

0.00

0.00

0.39

0.00

0.00

10

케냐

2.45

1.89

0.00

0.45

0.77

0.00

0.00

자료 : Global Trade Atlas

 

   ㅇ 올해 상반기 말레이시아의 인도네시아산 팜오일 수입액은 소폭 감소했으나, 87.61%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ㅇ 팜오일 수입시장 점유율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는 파푸아뉴기니와 싱가포르산의 수입량의 경우, 2019년 상반기에 비해 올해 상반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해 각각 270.93%, 29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

 

경쟁동향

 

  ㅇ 말레이시아는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2위의 팜오일 생산국이며, 주요 업체로는 Sime Darby Plantation, IOI Corporation, KL Kepong, Genting Plantations, FGV Holdings 등이 있음

말레이시아 주요 팜오일 기업

순위

회사명

규모 (단위:10억 링깃)

1

Sime Darby Plantation Berhad

37.52

2

IOI Corporation Berhad

28.97

3

Kuala Lumpur Kepong Berhad

26.41

4

Genting Plantation Berhad

9.49

5

Batu Kawan Berhad

6.84

6

FGV Holdings Berhad

5.55

7

United Plantations Berhad

5.43

8

Sarawak Oil Palms Berhad

2.34

9

TSH Resources Berhad

2.13

10

IJM Plantation Berhad

2.08

자료 : Bursa Malaysia, Bloomberg

 

유통구조

 

  ㅇ 팜오일의 유통구조는 아래와 같음

 

Oil Palm in Malaysia – MPOB-UKM ENDOWMENT CHAIR

자료 :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UKM)

 

  ㅇ 말레이시아 팜오일 산업은 전세계 160여개국에 공급되고 있는 수출 지향적인 산업임


  ㅇ 팜오일 산업의 유통구조는 생산자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음

    - 생산자는 대규모 기업형 생산자(Estates)와 독립형 소규모 생산자(Independent smallholders), 정부 지원을 받는 소규모 생산자(Producers in land development Schemes) 등으로 구분됨

    - Sime Darby Plantation과 같은 대규모 기업형 생산자(Estates)는 기업 소유의 착유소(Mills)와 정제 공장에서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는 반면, 소규모 생산자의 경우 정부 기관(FELDA, RISDA)의 지원을 받거나 중개인을 거쳐 착유 및 정제를 진행함

 

관세율, 인증/등록

 

   ㅇ 관세

    - 팜오일(HS Code 1511) Customs Duties Order 2017에 의거하여 수입관세 5%, 수출관세 5%가 부과됨. 하지만 한-아세안 FTA 적용시 수입관세도 0%가 부과됨

    - 판매세(SST)Sales Tax(Goods Exempted from Tax) Order 2018에 의거하여 면제됨

 

  ㅇ 인증/등록

    - 말레이시아 팜오일 위원회(MPOB ;The Malaysian Palm Oil Board) (허가) 규정 2005에 따라 팜오일 관련 면허가 필요한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은 먼저 MPOB로부터 면허를 취득해야 함.  허가를 받아야하는 활동은 아래와 같음.

     

    · 팜오일 야자재 식재료 생산

    · 팜오일 야자재 식재료, 열매, 팜오일, 야자 나무, 야자 지방산 또는 팜오일 화학제품 판매 또는 운송

    · 팜오일 열매, 팜오일, 열매 또는 야자 지방산 구매 저장 

    · 팜오일 공장 건설, 팜오일 공정

    · 팜오일 제품을 위한 벌크 시설 건설

    · 팜오일 야자재 식재료, 열매, 팜오일, 야자 나무, 야자 지방산 또는 팜오일 화학제품에 대한 실험 또는 조사

    · 팜오일 야자재 식재료, 열매, 팜오일, 야자 나무, 야자 지방산 또는 팜오일 화학제품의 수출입

  

   - 모든 신청서는 제시된 조건을 충족해야 승인을 받을 수 있으며, 면허 신청은  MyLesen MPOB (https://e-lesen.mpob.gov.my/)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함.

 

전망 및 시사점


  ㅇ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말레이시아 팜오일 산업도 타격을 받았지만, 세계 각국의 경제 활동이 정상화되면서 팜오일에 대한 전세계적인 수요 또한 증가할 것이라는 현지 전문가에 의견이 있음

    - 말레이시아 팜오일 위원회(MPOB) Dr. Ahmad Parveez Ghulam Kadir 위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각국의 봉쇄정책이 완화되고 경제 활동이 정상화되면서 팜오일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말레이시아 팜오일협의회(MPOC)는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비누와 같은 개인 위생 및 세정 제품에 대한 구매가 증가함에 따라 팜오일 수요도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

 


자료: Ministry of Health Malaysia, Global Trade Atlas, Malaysian Palm Oil Board (MPOB), Malaysian Palm Oil Council (MPOC), Fitch Solutions Research, Royal Malaysian Customs, Bursa Malaysia, Sime Darby Plantation Bhd,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The Star 등 현지 언론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팜오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