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 30주년에 살펴본 구동독지역 유망산업과 투자환경(1)
- 투자진출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김승현
- 2020-11-06
- 출처 : KOTRA
-
- 동서독간 경제 격차 여전하지만 구동독지역 괄목할만한 성장 거둬 -
- 최근 미국 테슬라, 중국 CATL 등 전기차 분야 글로벌 기업의 대형 투자 잇달아 -
독일은 2020년 10월 3일(토) 동서독 간 통일 30주년을 맞이했다.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약 1년 후인 1990년 10월 3일 0시를 기해 통일이 공식 선언되었다. 이로써 동독 독일민주공화국(DDR)의 수도 동베를린은 같은 해 9월 미국∙영국∙프랑스의 분할 통치로부터 서독 독일연방공화국(BRD)에 완전히 반환된 서베를린과 다시 하나가 되었고, 동독의 나머지 지역은 서독에 5개 연방주* 형태로 편입되었다.* 브란덴부르크주(Brandenburg), 작센주(Sachsen), 작센-안할트주(Sachsen-Anhalt), 튀링엔주(Thüringen) 및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Mecklenburg-Vorpommern)로 현재 독일은 총 16개 연방주로 구성됨.
** 베를린은 도시인 동시에 1개 연방주를 구성함.
통일 후 만 30년이 지난 지금 동서독간 경제적 격차는 여전하지만 구동독지역(이하 동독)의 경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2019년 글로벌 전기차 시대를 선도하는 테슬라가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지역에 투자를 결정하는 등 최근 들어 주목할만한 대형 투자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동서독간 경제 격차를 살펴보면서 동독 지역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의 투자진출 기회를 살펴보자.
구동독지역, 여전한 경제 격차 속에서도 괄목할만한 경제성장 이뤄
① 연간 GDP
독일의 2019년 GDP는 3조 4,358억 유로를 기록했다. 이 중 베를린을 포함한 동독 지역은 5,297억 유로로 독일 전체 GDP의 약 15.4%, 구서독지역(이하 서독)은 약 84.6%를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동서로 나뉘었던 수도 베를린을 제외할 시 순수 동독지역 5개주의 GDP는 3,764억 유로로 독일 전체 GDP의 약 11% 수준으로 하락한다. 동서독간 독일 전체 인구 점유율을 단순 고려하더라도 동독 지역의 경제가 서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주 : 동독 지역의 GDP와 인구는 베를린을 제외한 순수 동독 지역 기준
자료 : 독일 연방통계청(DESTATIS), Statista
베를린 포함한 동독의 지역별 GDP를 살펴보더라도 이러한 경제격차를 확인할 수 있다. 2019년 기준 독일의 16개 연방주 중 수도 베를린이 6위, 작센주가 8위로 중상위권을 기록하였고 브란덴부르크주, 튀링엔주, 작센-안할트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는 나란히 10위~14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독일 연방주별 GDP 현황(2019)
(단위 : 억 유로)
주 : 베를린, 함부르크 및 브레멘은 도시인 동시에 주로써 독일의 16개 연방주 구성
자료 : 독일 연방통계청(DESTATIS), Statista
② 1인당 GDP
하지만 동독 지역 또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였는데, 1인당 GDP의 변화가 이를 잘 나타낸다. 통일 다음해인 1991년 베를린을 제외한 순수 동독 지역의 1인당 GDP는 서독의 약 32% 수준이었으나 2019에는 약 69% 수준까지 따라잡았으며, 베를린을 포함 시 동독 지역의 1인당 연간 GDP는 서독의 약 75% 수준까지 올라왔다.
동서독간 1인당 GDP 변화 추이(1991년/2019년)
(단위 : 유로)
자료 : 독일통일연례보고서(2020)
③ 경제성장률
이러한 동독 지역 경제성장의 기틀은 통일 초기에 마련되었다. 베를린을 제외한 순수 동독 지역 5개주는 통일 초기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이후 경제 격차가 조금씩 줄어들면서 2000년대부터는 동서독지역간 경제성장률도 점차 수렴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동서독간 연간 GDP 성장률 추이(1994~2018)
(단위 : %)
주 : 구동독지역의 경제성장률은 베를린을 제외한 순수 동독 지역 기준
자료 : 독일통일연례보고서(2020), Statista
④ 실업률
특히, 동독 지역은 통일 초기 경제구조 전환 과정에서 대량실업 문제를 겪는데 1994년 14.8%였던 동독 지역의 실업률은 2005년 18.7%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후 동독 지역의 실업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2019년에는 통일 이후 실업률 집계 이래 역대 최저치인 6.4%를 기록하였다. 무엇보다도 한 때 2배 이상 벌어졌던 서독과의 격차가 2019년 기준 1.7%p 차이로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다만, 2020년 코로나19 위기로 동독 지역의 실업률이 다시 상승하고 있어 최초의 실업률 5%대 진입은 어려울 전망이다.
동서독의 실업률 추이(1994~2020)
주 : 2020년은 1월부터 9월까지 실업률의 평균치로 산출
자료 : 독일정치연구센터(BPB), Statista
⑤ 기타 주요지표
이처럼 동서독간의 경제 격차가 통일 이래 지속적으로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풀어야 할과제가 많다. 독일 3대 주가지수 DAX*, MDAX** 및 SDAX***를 구성하는 상장기업 중 동독 지역에 본사를 둔 기업은 서독에 비해 매우 적다. 베를린과 튀링엔을 제외한 브란데부르크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작센주 및 작센-안할트주에는 2020년 2월 기준 전무한 상태이다.
*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기준 상위 30대 기업의 종합주가지수
** DAX지수 구성 기업 30개사를 제외한 상위 60개사의 종합주가지수
*** DAX와 MDAX 구성 기업 90개사를 제외한 상위 70개 기업의 종합주가지수
연방주별 독일 3대 주가지수 상장기업수 현황(2020.2)
(단위 : 개)
주 : 독일 3대 지수 구성기업 중 각 연방주에 본사를 둔 기업수
자료 : Statista
서독 대비 동독 지역의 기타 경제지표 상대적 격차(2019)
(단위 : %)
주: 서독을 100으로 설정하여 동독의 상대적 수준을 측정, 베를린은 미포함
자료: 쾰른경제연구소 소식지(IWD), Statista
주요 기업의 본사가 서독 지역에 집중된 상황에서 동독 지역 내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R&D 인력도 서독의 44% 수준에 불과하다. 독일 정부는 많은 개선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경제 곳곳에 숨은 동서독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동독지역 재건 특임관(Beauftragter der Bundesregierung für die Neuen Bundesländer)` 제도를 두고 매년 그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 비록 2016년 중국 메이디그룹(Midea)의 독일 로봇기업 쿠카(Kuka) 인수 후 외국기업의 자국 기술 선도기업 인수에 대한 독일 내 경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독일 기업과의 상생 협력, 특히 동독 지역 발전과 연결되는 투자 프로젝트는 여전히 큰 환영을 받고 있다. 2편에서는 최근 테슬라, CATL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잇따르는 시점에서 경제변천사를 통해 동독 지역 유망산업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의 투자기회를 엿보자.
자료 : 독일연방통계청(DESTATIS), 독일경제에너지부(BMWi), 독일통일연례보고서(2020), 독일정치연구센터(BPB), 쾰른경제연구소 소식지(IWD),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중부독일방송(MDR), 북독일방송(NDR), Statista 및 KOTRA 함부르크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썸네일 출처 : 독일내무부(BMI)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통일 30주년에 살펴본 구동독지역 유망산업과 투자환경(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통일 30주년에 살펴본 구동독지역 유망산업과 투자환경(2)
독일 2020-11-18
-
2
중소기업 울리는 신종 이메일 해킹
독일 2020-05-28
-
3
독일 스타트업, 코로나19 뚫고 어디까지 왔나
독일 2021-04-19
-
4
2022년 독일 산업을 예측한다
독일 2022-02-03
-
5
북독일 경제산업 및 기업 톺아보기(2) - 구동독 지역
독일 2024-05-28
-
6
2022년 바이에른주 경제 동향 및 시사점
독일 2022-08-04
-
1
2025년 독일 철강산업 정보
독일 2025-04-01
-
2
2024년 독일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독일 2024-12-20
-
3
2024년 독일 반도체 산업 정보
독일 2024-12-11
-
4
2024년 독일 IT 산업 정보
독일 2024-08-14
-
5
2024 독일 항공 우주 산업 정보
독일 2024-07-14
-
6
2021 독일 수소산업 정보
독일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