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필리핀 프랜차이즈 시장동향
  • 트렌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강지숙
  • 2019-07-15
  • 출처 : KOTRA

- 경제성장 및 소비지출 증가로 인해 급속 성장 -

- 필리핀 시장조사를 통한 젊은 층 취향 저격이 핵심 -




필리핀 프랜차이즈 시장동향

 

  ㅇ 필리핀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시장

    - 필리핀 뉴스통신 보도에 따르면 높은 경제성장률로 인한 소비지출 증가에 힘입어 필리핀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2019년에 25%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쇼핑몰, 음식, 서비스 등에 대한 수요가 프랜차이즈 성장의 원동력

    - 새로운 브랜드 및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필리핀인들의 한국 브랜드 선호도 상승


  ㅇ 필리핀 중산층 및 대중시장에 초점을 두고 있는 프랜차이즈 기업들

    - 프랜차이즈 산업은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세부(Cebu), 라구나(Laguna), Iloilo(일로일로), 바콜로드(Bacolod), 다바오(Davao) 등 주요 지역에서 활성화됨.

    - 필리핀인들은 특히 먹는 것을 좋아함. 하루 약 4~5회의 식사시간을 가짐. 이러한 필리핀 식문화 특성으로 인해 일반 식당에서부터 고급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체인점, 소형 푸드코트(프랜차이즈 형)에 이르기까지 수천 개의 브랜드를 자랑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임.

    -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중산층 비율이 24%에서 26%로 늘어나 2015년도부터는 저소득층보다 높은 분포율을 가짐. 필리핀 평균 임금 고려 시 중산층 이상이 구매력을 가진 사람들 주 소비층이며, 경제발전으로 인해 중산층 인구와 프랜차이즈 산업 함께 성장 전망

 

2015년 기준 소득 기준 인구 분포도


자료: 필리핀 개발연구소(Philippine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PIDS) 및 필리핀 통계청(PSA)


□ 프랜차이즈 주요 기업


  ㅇ 다양한 분야에서 프랜차이즈 기업 두각을 드러냄. 

    - 음식점 하나당 하루 평균 785명의 손님이 방문하는 것으로 집계되며, 이러한 통계는 외국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필리핀 진출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함. 한국을 비롯한 일본, 미국, 유럽 브랜드들이 필리핀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이 활발함.

    - 외국계 식품 프랜차이즈 브랜드 진출이 기업가의 입장에서 시도하기 쉬운 사업임. 세계적으로 유명한 식품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통한다면 요식업 시장을 공략하기 쉽기 때문임. 단, 필리핀 사람들의 소비성향상 고가의 메뉴보다는 저가 위주의 소비 패턴을 보이므로 관련 업계 진출 시 참고할 필요 있음.


필리핀 내 외국계 프랜차이즈 기업 목록

기업 이미지

기업명/유형

특징


맥도날드/패스트푸드

 - 필리핀 내 600개 이상의 지점을 두고 있으며 24시간 운영됨.

 -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해 저렴한 Mc Savers Meal 메뉴를 개발


세븐일레븐/편의점, 유통

 - 1984년 퀘존(Quezon)시에 진출을 기반으로 필리핀 내 1200개 이상 매장 분포

 - Crunch meal(치킨), Big bite(핫도그) 등을 매장에서 저렴한 가격에 판매해 현지인들에게 인기


KFC/패스트푸드

 - 1967년 필리핀 진출, 필리핀 내 250개 이상 매장 분포

 - 파티나 행사를 좋아하는 현지인들 특성에 맞게 Bucket Meal(6~8인용 세트메뉴), Party Package(파티 패키지) 등 판매 


스타벅스/식음료

 - 1997년 필리핀 진출 이후 350여 개 이상 매장 분포

 - 아메리카노 톨사이즈 기준 한 잔에 130페소(약 3000원)로 한국에 비해 대체로 메뉴가 저렴한 편


유니클로/패션, 유통

 - 2012년 필리핀 진출 이후 57개 이상 매장 분포

 -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내 대형 쇼핑몰인 SM, Robinson(로빈손), 그린벨트(Greenbelt) 등에 입점


애니타임 피트니스/피트니스

 - 산업 특성상 대도시 위주 분포하며, 24시간 운영이 특징

 - 90개 이상의 분점 분포

 - 12개월 기준 월 2500페소(약 6만 원) 정도로 현지인들에게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마카티나 보니파시오 등 대도시에 회원 다수 보유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정리


필리핀 내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브랜드/구분

특징

탐탐 

  - 한국 커피전문점 브랜드

  - 세부, 바콜로드, 두마게티, 보라카이, 메트로마닐라 등에 총 8개의 매장 운영 중

카페베네 

  - 2012년 마닐라에 처음 열었으며, 5개의 매장 보유

  - 한국의 음료인 미숫가루와 빙수를 팔고 있으며, 커스텀 음료도 판매 중

뚜레쥬르 

  - 2011년 필리핀에 진출했으며, 퀘존 지역에 처음으로 문을 연 한국 프랜차이즈임.

공차 

  - 2011년 SM Mall of Asia에 처음 진출한 공차는 현재 필리핀 전역의 몰에 총 105개 매장 보유

  - 대만과 홍콩의 밀크티 브랜드가 넘쳐나는 필리핀 시장에서 한국산 밀크티 브랜드로 꾸준한 인기 

더페이스샵 

  - Suyen Corporation이 2006년에 필리핀에 도입

  - 마닐라, 바기오, 세부, 팜팡가, 다바오, 카가얀 등 필리핀 전역의 몰에 입점

에뛰드하우스 

  - 2009년 필리핀에 첫 진출

교촌

  - 2013년에 필리핀에 진출해 건강한 치킨을 판매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시장 공략

  - 한류 열풍으로 필리핀 사람들은 한국의 치맥 문화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조리법과 양념으로 인기몰이 

불고기브라더스 / 음식

  - 불고기브라더스의 첫 해외 진출국이 필리핀이었으며 Bistro Group과 진출

  - 메트로 마닐라와 다바오에 총 5개 매장이 있으며, 불고기를 비롯한 한국 음식을 판매 중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정리

 

□ 관련 법규 및 규제


  ㅇ 현재 필리핀에서는 특별히 프랜차이즈를 다루는 법이 없지만 프랜차이즈 협정은 계약으로 간주돼 필리핀 민법을 따라야 함.

    - 프랜차이즈 계약은 기술이전협정(Technology Transfer Agreement, TTA)으로 분류되며, 지적 재산권 코드(Intellectual Property Code, IPC)의 관련 조항이 적용됨.

    - 기술이전협정은 다음을 포함함:

      · 체계적 지식의 이전, 공정의 적용 또는 관리 계약을 포함한 서비스의 제공

      ·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권이 있는 경우 (대량 시장을 위해 개발된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제외)

 

  ㅇ 프랜차이즈 계약 시 규제사항

    - 지적재산권법(IPC): 위에서 언급한 프랜차이즈 계약을 포함한 기술이전협정 금지

    - 민법(Civil Code): 민법에는 계약 및 인간관계에 관한 일반법이 포함돼 있으며, 프랜차이즈 계약은 보통 계약으로 간주, 민법 일반 조항의 적용을 받음.

    - 회사법(Corporation Code): 필리핀에 사업을 등록하기 위한 요건을 규정하며 무역이나 사업을 하기 위해선 외국 법인이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필리핀 내 거래 면허를 신청해야 함. 따라서, 필리핀에서 프랜차이즈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랜차이즈 법인을 설립하거나 기존 현지 법인과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이 있음.


  ㅇ 외국인 투자 제한

    - 소매 무역 자유화법(Retail Trade and Liberalization Act)에 의거해 외국 법인은 소매업 법인 소유가 금지됨.

    - 외국인 투자 네거티브 리스트(Foreign Investment Negative List, FINL) 및 외국인 투자법(Foreign Investments Act, FIA)은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가능 분야 및 규모에 대한 금지사항 규정

    - 현재 외국인 투자자는 250만 달러 이상의 납입자본 보유 시 100%의 지분을 가진 법인 설립이 가능하며 모기업은 최소 2억 달러의 순자산을 보유해야 함.

    - 고가 제품 전문 기업은 납입자본이 기업당 25만 달러에 달하고 자사 주식 재고 총 비용의 최소 10%가 필리핀에서 생산되며, 모기업 순자산 보유액이 최소 5000만 달러 이상일 시 외국인 투자자가 전적으로 소유 가능

 

  ㅇ 세금

    - 필리핀에 거주하는 외국인 및 외국 법인은 필리핀에서 거둔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하는데 항목별 과세율은 다음과 같음. 


필리핀 기업 과세율

항목

과세율

법인소득세(Corporate Income Tax)

30%

지역운영본부세(Regional Operating Headquarters Tax)

10%

지점송금세(Branch Remittance Tax)

15%

로열티 소득세(Royalty Income Tax)

30%

로열티 과실소득세(Passive Income through Royalties)

20% final withholding tax

자료: 필리핀 국세청(BIR)    

 

□ 유통채널
  

  ㅇ 쇼핑몰 위주의 진출 형태

    - 프랜차이즈 기업은 현지 쇼핑몰이나 아울렛 등 대형 유통 시장 입점을 통해 진출하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접근성, 편의성, 교통 등 여러 부문에서 혜택이 있으며 필리핀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곳이기 때문

 

  ㅇ 온라인 쇼핑몰

    - 필리핀 내 주요 온라인 쇼핑몰로 라자다(Lazada)와 쇼피(Shopee)를 꼽을 수 있으며, 한국의 쿠팡과 비슷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임.

    - 필리핀 내 온라인 유통 점유율 확보를 위해 배송비 면제 이벤트 등을 펼치며 서로 출혈 경쟁 중에 있음.

 

필리핀 쇼핑몰 입점 프랜차이즈 브랜드

자료: 구글,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체 촬영


□ 인터뷰: 필리핀 화장품학회(Philippine Society of Cosmetic Science) 회원


Q) 필리핀 사람들이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화장품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A) 한국 화장품이 ‘깨끗하고 하얀’ 피부로 젊어 보이고 싶은 필리핀 고객들에게 인기가 많기 때문. 많은 필리핀 사람들은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제품에 비해 한국 제품을 선호함. 한국 화장품은 품질도 좋고 효능도 뛰어나 고급 제품으로 필리핀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있으며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도 큰 매력을 느낌.

필리핀 유명 연예인과 유투버 등이 한국 화장품 브랜드 리뷰를 하는데 그중 필리핀에 아직 출시되지 않은 제품들도 있어 필리핀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함. 간혹, 출시되지 않은 제품 구매를 위해 해외 직구를 하거나 직접 해외로 나가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음. 
   

□ 시사점


  ㅇ 다양한 한류 콘텐츠와 브랜드 등을 이미 겪어본 필리핀인들은 새로운 한국 브랜드 출시에 우호적임. 또한 필리핀 현지 소비자들은 필리핀 유명 유투버, Vlog,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 제품을 접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은 믿을 수 있고 퀄리티가 좋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


  ㅇ 필리핀 현지 진출한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이니스프리, 페이스샵, 네이처리퍼블릭, 더 샘 등 화장품 브랜드뿐만 아니라 삼겹살라맛(Samgyupsalamat), 로맨틱 바보이(Romantic Baboy) 등 삼겹살 무제한(Unlimited Samgyupsal) 제공 전략을 펼치고 있는 외식업계이며 특히 이들 식당들은 현지인들의 식습관과 무제한 제공을 좋아하는 문화를 파악해 성공을 거둔 사례임.


  ㅇ 프랜차이즈에 관한 법률의 부재로 필리핀 시장 진출 시 충분한 사전조사 및 주의를 기울여야 함.



자료: 필리핀 개발연구소(Philippine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PIDS) 및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필리핀 국세청(BIR), 구글,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프랜차이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