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에 따른 가스터빈 시장 변화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9-05-28
  • 출처 : KOTRA

- 2024년까지 35MW급 가스터빈은 100% 현지화 -

- 메이저 기업들의 러시아 진출 경쟁은 치열, 미국산 가스터빈 수입은 급감 -


 

 

 가스터빈(Gas Turbine): 고온고압 연소 가스로 터빈을 가동시키는 회전형 열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이루어져 있음. 압축기로 공기를 압축 후 압축 공기를 연소실로 이끌어 연료를 분산 연소시키는 원리

 

□ 러시아 화력발전소 설비 교체사업 개요

 

  ㅇ 러시아는 지역발전소와 열병합발전소로 나뉘는데 모두 증기 사이클 발전기와 가스-증기 사이클 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음.

    - 일반적으로 가스-증기 사이클 발전기를 가스터빈-증기터빈 복합 사이클 발전기로 정의하며 최근부터 러시아는 화력발전소에도 사용하기 시작함.

    - 현재 러시아 내 44개 대형 복합 사이클 발전기가 8개 지역발전소와 22개 열병합발전소에 장착돼 있음.

      · 대형 복합 사이클 발전기 장착 발전소·재 지역: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치, 첼랴빈스크, 칼리닌그라드, 튜멘, 이바노바, 크라스노다르, 노브고로드, 볼로그다, 체레포벳츠 등

 

모스크바 내 복합 사이클 발전기 장착 발전소 현황

Thermal Power Plant

교체 계획 복합 사이클 발전기 

(Combined Cycle Power)

용량

27번 열병합발전소(TETS #27)

2

450MW

 21번 열병합발전소(TETS #21)

1

450MW

16번 열병합발전소(TETS #16)

1

420MW

20번 열병합발전소(TETS #16)

1

420MW

26번 열병합발전소(TETS #26)

1

420MW

12번 열병합발전소(TETS #12)

1

220MW

Mezhdunarodnaya 화력발전소(TPP)

2

121MW

27번 열병합발전소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수집


  ㅇ 2019 4, 러시아연방 산업통상부는 2015년에 도입된 수입대체화 프로그램 일환, 화력발전소 설비 교체 계획을 구체적으로 발표

    - 화력발전소 설비 교체 대상은 가스터빈(35MW 이상), 가스터빈 부품, 고온수 및 저압 증기(중앙난방) 보일러 등임.

      · 교체 대상 가스터빈 부품: 고열 가스 파이프, 연소 캔(Combustion cans)

 

  ㅇ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에 따른 발전기(가스터빈) 교체는 공공조달로 수행됨.

    - 일반적으로 러시아 프로젝트 수행 패턴은 발주처(Odering party)에 의해 프로젝트 정보가 공개되며 주 계약자(prime contractor) 선정을 거쳐 EPC, 설계 디자인사(Sub-contractors)가 선정됨.

      · 공공조달 정보 공개 사이트: www.b2b-center.ru

    - 주 계약자 선정에 앞서 러시아는 관행적으로 공급자 후보군의 선행 등록(Preliminary registration)을 통해 후보 기업들의 재정상태, 보유 기술, 경쟁력 등을 파악함.

    - 주 계약자 선정 기준은 공급가, 납품 기간, 경쟁력, 기술 규정 준수여부, 경력 등이며 기술 규정 준수에 대한 추천도 중요하게 참작됨.

 

러시아 프로젝트 수행 패턴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편집

 

보스토치나야(Vostochnaya) 열병합발전소 설비 조달 사례

 ㅇ 블라디보스토크에 소재하는 보스토치나야 열병합발전소는 2018년부터 운영된 신규 화력발전소이며, RAO Power Systems of the East JSC(RusHydro 그룹 계열사) 소유

 ㅇ 하바롭스크주에 소재하는 Energoremont CJSC가 주계약자로 선정됐고 설계는 해당 계약자 소유 Siberian Power R&D 센터에서 수행

  - 공급 설비: 가스터빈 3(GE LM6000 PF Sprint), 폐열 회수 보일러(러시아산) 3, 픽 워터 히터 보일러(러시아-독일 합작사 생산) 3, 증기 보일러 2(러시아산)

 

□ 러시아 가스터빈 시장현황

 

  ㅇ 러시아 가스터빈 시장 규모는 연 100~150대 수준

    - 러시아의 가스터빈 수입은 연간 200대를 상회하고 현지 생산은 50대 이상

      · 러시아 가스터빈 시장 규모는 현지 생산력과 수입량에서 수출량은 제외한 규모

    - 러시아 현지 생산량은 지난 3년간 지속 감소 추세이나 수입량은 2016년 이후 증가 추세

 

2019년 1월 기준 러시아 유형별 발전량 및 비중

(단위: 대수, %)


2015

2016

2017

2018

  러시아 현지생산

83

70

56

N/A

   - 증감률

N/A

-15.7

-20.0

N/A

   - 연평균 용량(MW)

15.4

15.7

14.3

N/A

  수입량

225

165

211

253

   - 증감률

2.7

-26.7

27.9

19.9

  전체 시장

149

95

102

N/A

   - 증감률

N/A

-36.2

7.4

N/A

: 1) 러시아 현지생산량은 Turbo-jet Turbo-prop 엔진을 제외한 것

2) 수입량 HS Code는 8411 82 기준

자료: 러시아 연방통계청, GTA


  ㅇ 2018년 말 기준 러시아 전체 화력발전소에 가동되는 가스터빈 대수는 303(16.2GW)인 것으로 파악

    - 러시아 연방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현지 생산 가스터빈은 공공재화(방위 산업 지대,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곳)로 사용되며 용량이 큰 수입산 가스터빈은 화력발전소에 공급되고 있음.

    - 최근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화력발전소 현대화 프로그램에 의해 80대 이상의 가스터빈(11GW 규모)이 시장에 공급될 것이라고 밝힘.

 

  ㅇ 러시아 정부는 발전소 가스터빈 현지 생산력 저하에 따라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

    - 러시아 정부의 가스터빈 수입대체화 방안에 적극 참여 중인 기업은 InterRAO, Power Machines OJSC, Gazprom Energoholdings LLC.

 

러시아 정부의 가스터빈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 계획

품목

HS Code

추진 기간

2018

수입 의존도

2024년(계획) 

수입 의존도

가스터빈(35MW 이상급)

 · turbo-jet, turbo-prop 타입 제외

841182 8009

2019~2024

100%

30%

가스터빈 부품

 · 고열 가스 파이프, 연소 캔(Combustion cans)

841199 0092

2019~2024

80%

20%

자료: 2019416일 발표 'Import Substitution Plan for Power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and the Cable Industry’(https://legalacts.ru/doc/prikaz-minpromtorga-rossii-ot-16042019-n-1327-ob-utverzhdenii/)


러시아 정부의 가스터빈 수입대체화 계획 참여 기업 현황

기업명

주요 내용

Inter RAO

 - 201810, Inter사는 GE와 합작해서 설립한 Gas Turbines JV사를 통해United Engine-Making Corporation 25% 지분을 매입 

 - Inter사는 GE로부터 200MW 이하 가스터빈 제작 라이선스(고열 연소 캔, 터빈 날개 제자 기술 포함) 25000만 달러로 취득 추진 중

Power Machines OJSC

 - 201810, Power Machines사는 파트너사인 Siemens Gas Turbine Technologies LLC(현지법인)와 함께 러시아 가스터빈 현지화(Localization) 관련 Siemens 본사와 협업 추진 계획 수립

 - Siemens 2022-2024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 프로그램 일환인 현지화 사업 수행에 적극적인 참여 의사 밝힘. 

 - United Engine-Making Corporation 설비 매입에 관심도가 높음.

Gazprom Energoholdings LLC

 - 러시아 최대 가스개발사인 Gazprom 계열사로 80개 발전소(전력생산 규모: 39GW, 71,200 Gcal/h, 러시아 생산 전력의 17% 비중)를 보유한 러시아 최대 발전소 운영사

 - 20194, Denis Fyodorov 회장은 정부지원 없이 Siemens Gas Turnbines Technologies LLC 지분 50%을 매입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

 - Fyodorov 회장에 따르면,번 지분 매입이 성사되면 연간 10대 이상의 가스터빈 생산이 가능해짐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수집

 

□ 러시아  가스터빈 수입현황

 

  ㅇ 5,000kW 이하 가스터빈 수입 규모는 2018년 기준 4752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35.25% 증가

    - 주요 수입국은 우크라이나, 미국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수입은 증가하고 있으나 미국 수입은 감소 중

    - 캐나다, 프랑스, 영국으로부터 최근 신규 수입하고 있다는 게 특이사항임.

 

러시아의 5,000kW 이하 가스터빈 수입현황(HS코드 8411 81 0009)

(단위: 천 달러, %)

 

수입국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8/2017


총 계

19,394.8

35,141.3

47,526.98

100

100

100

35.25

1

우크라이나

15,091.5

12,655.5

19,172.3

77.81

36.01

40.34

51.49

2

캐나다

0

0

11,591.5

0.00

0.00

24.39

0.00

3

프랑스

0

0

7,577.4

0.00

0.00

15.94

0.00

4

미국

3,605.5

16,993.6

5,530.4

18.59

48.36

11.64

- 67.46

5

체코

0

3,947.9

1,352.9

0.00

11.23

2.85

- 65.73

6

영국

0

0

1,189.0

0.00

0.00

2.50

0.00

7

독일

0

0

653.4

0.00

0.00

1.37

0.00

8

소말리아

7.2

9.4

245.6

0.04

0.03

0.52

2506.80

9

일본

602.7

41.3

67.5

3.11

0.12

0.14

63.66

10

수단

27.0

59.97

54.1

0.14

0.17

0.11

- 9.72

20

한국

3.0

0

0

0.02

0.00

0.00

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5,000kW 초과 가스터빈 수입 규모는 2018년 기준 8674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15.13% 감소

    - 전통적으로 대용량 가스터빈은 미국과 우크라이나로부터 수입하고 있었으나 우크라이나 수입은 크게 증가한 반면 미국 수입은 감소추세

    - 5,000kW 이하 가스터빈 수입과 유사하게 최근 캐나다, 프랑스로부터 신규 또는 수입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러시아의 5,000kW 초과 가스터빈 수입 현황(HS코드 8411 82)

(단위: 천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8/2017

 

총계

62,314.1

102,207.9

86,741.1

100

100

100

- 15.13

1

미국

37,593.4

54,547.1

34,612.4

60.33

53.37

39.90

- 36.55

2

우크라이나

5,637.4

17,695.9

27,516.9

9.05

17.31

31.72

55.50

3

캐나다

13,277.3

0

14,775.4

21.31

0.00

17.03

0.00

4

프랑스

0

0

6,311.9

0.00

0.00

7.28

0.00

5

영국

4,819.99

16,139.9

2,452.3

7.73

15.79

2.83

- 84.81

6

카자흐스탄

985.8

750.0

942.4

1.58

0.73

1.09

25.66

7

이란

0

0

129.1

0.00

0.00

0.15

0.00

8

벨라루스

0.2

4.1

0.7

0.00

0.00

0.00

- 82.07

9

불가리아

0

211.8

0

0.00

0.21

0.00

- 100.00

10

이탈리아

0

12859.2

0

0.00

12.58

0.00

- 10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 현지 기관 반응

 

  ㅇ Kommersant Daily Yury Alexandrovich 기자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의 가스터빈 수입대체화 지원은 예전보다 지원이 확대될 것이며 이와 관련 세계 메이져급 기업들의 러시아 진출도 치열해 질 것으로 보임.

    - Kommersant Daily 기사에 따르면 2008-2015년 러시아 Power Supply Contract 프로그램에 의해 GE Siemens는 러시아 시장에 이미 100개 이상의 가스터빈을 공급한 바 있음.

 

□ 유용정보

 

HS 코드별 가스터빈 러시아 수입관세

HS 코드

관세

8411 81 000 9

7.5%/1

8411 82 200 1

0%

8411 82 200 8

5%1

8411 82 600 1

0 %

8411 82 600 8

3%/1

8411 82 800 1

5%/1

8411 82 800 9

10%/1

 

□ 시사점

 

  ㅇ 러시아 가스터빈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로 35MW급 가스터빈의 현지 생산성이 크게 증가할 것이며 관련 현지기업들의 외국계 기업 기술협력 수요도 커질 것임.

    -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 프로그램으로 Siemens, GE 등은 이미 현지 기업들과 기술협력 및 합작회사 설립을 통해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 사업에 적극 참여 중

    - Gazprom 계열사와 Inter RAO, Power Machines사들의 Siemens, GE 등과의 합작사 설립 및 현지제조사업 확대 행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상황임.

 

  ㅇ 미국 경제 제재 영향으로 러시아의 미국 가스터빈 수입은 줄고 있고 미국산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의 수입 확대를 공략해볼 만한 상황

    - 러시아 정부의 가스터빈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 노력은 미국 경제제재와 연관성이 크며, 2024년까지의 수입대체화 계획 달성 전까지는 우크라이나, 유럽 등으로 수입선을 변경해 시장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보임.

    - 2018년 기준 미국산 가스터빈 수입은 급격히 감소(5,000km 이하: 67.46% 감소, 5,000kW 초과: 36.55% 감소)한 바 있음.

 


자료: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https://minenergo.go.ru), 러시아 연방 산업통상부,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 러시아 현지화 및 수입 대체화 관련 보고서(https://legalacts.ru/doc/prikaz-minpromtorga-rossii-ot-16042019-n-1327-ob-utverzhdenii/, ), 화력발전소 현대화 보고서(http://kom.so-ups.ru/Generic/Form_A.aspx?FormMode=View&RecordId=959923C0-ABB2-4EF2-92D8-3C7C33B71D48&EntityId=Documents), 현지뉴스(https://energybase.ru/news/industry/geh-gotov-zanatsa-lokalizaciej-gazovyh-turbin-pri-polucenii-50-v-sp-siemens-2-2019-04-09, www.themoscowtimes.com/business/article/siemens-to-supply-turbines-for-yamal-lng-power-plant/483358.html#ixzz2ZkN4be56, https://www.kommersant.ru),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정보 수집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에 따른 가스터빈 시장 변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