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_건설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말레이시아
  • 최용안
  • 2018-12-20
  • 출처 : KOTRA

건설/인프라/플랜트 건설


산업 개요


  ㅇ 산업연혁


말레이시아는 1957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한 이래 농촌개발 및 주거시설 공급, 인프라 투자를 시작으로 건설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ㅇ 시장규모


말레이시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인 제10차 말레이시아 플랜(2011~2015) 기간 중 연평균 11.5% 성장했다. BMI 시장분석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건설시장은 2015년 10.7%에서 2017년 6.6%, 2021년 5.3%가 될 전망이다. 또한,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개발위원회(CIDB) 분석에 따르면, 2017년 말레이시아 건설산업은 현재 진행 중인 대형프로젝트들의 영향으로 8%의 성장을 기록하며 1,700억 링깃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한다. 


  ㅇ 산업단지


GeorgetownNorthern Corridor Economic Region (NCER); Johor Bahru Iskandar Malaysia, Kuantan East Coast Economic Region (ECER); Kuching Sarawak Corridor of Renewable Energy (SCORE); Kota Kinabalu Sabah Development Corridor (SDC) 등이 주요 산업단지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산업단지를 비롯하여 말레이시아 전역에 건설 프로젝트들이 다수 추진되고 있다.


  ㅇ 건설 프로젝트 현황


2016년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규모는 1,664억 링깃으로, 2015년 1,400억 링깃에 비해 8.2% 성장했으나 건설 프로젝트 수는 2015년 7,455개에서 2016년 6,305개로 감소한 상황이다. 2016년 건설 프로젝트 중 29.1%에 해당하는 485억 링깃 규모의 프로젝트가 공공부문이었고, 나머지 70.9%는 민간부문 프로젝트로 집계됐다. 대표적인 공공 프로젝트로는 국영석유 PETRONAS의 쁭어랑(Pengarang) 지역 종합 석유화학단지(RAPID), 수도권인 끌랑밸리(Klang Valley) 지역 MRT 2호선, 그리고 보르네오 섬 북부 주를 연결하는 범 보르네오고속도로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이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과 더불어 제조업 성장과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시장 동향


  ㅇ 주요 기업


말레이시아의 주요 건설사들은 국부펀드인 Khazanah Nasional에서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 많다.

 

말레이시아 주요 건설사 매출액

 

기업명

매출액(백만 링깃)

YTL Corporation Berhad

15,377

UEM Group Berhad

9,647

IJM Corporation Berhad

5,128

Gamuda Berhad

2,121

Muhibbah Engineering Berhad

1,604

자료원: RAM Credit Info, 기업 연례보고서 (2016 매출액 기준)

 

  ㅇ 경쟁동향

 

말레이시아 내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 만큼 많은 국내외 건설사들이 경쟁하고 있다. 고급 기술이 필요한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우리나라 기업이 수주한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기업들도 대체로 경쟁력을 갖추고 대부분의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갖추고 있어 인도나 중동 등의 지역에서 프로젝트를 수주하기도 한다.

 

  ㅇ 기술동향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등의 기술을 설계, 디자인, 건설, 관리 등 전 과정에 도입하는 등 건설 기술 고도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시장 전망

 

  ㅇ 정책동향

 

11차 말레이시아 플랜(2016~2020)에서는 건설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목표로 하고 이쓰며 이를 위하여 2015년 별도로 Construction Industry Transformation Program(CITP)를 발표했다. CITP에는 IBS(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s) 도입, 친환경 기술 장려, 국제 경쟁력 제고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ㅇ 리스크

 

정부조달 프로젝트의 경우 내국기업을 우선시 하기 때문에 외국기업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경우가 많다

 

  ㅇ 수급 전망


말레이시아 건설시장에서 교통 분야 인프라 시장은 가장 성장성이 높은 분야이며, 전력 플랜트 시장도 공급 확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예상돼 전망이 밝은 편이다. 2017년 예산안에서도 전년 대비 460억 링깃(약 108억 달러의 인프라 예산 감소가 예정돼 있었지만, 실제로는 추경 등으로 확장될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이다. 특히 교통 인프라가 2017년 9.2%로 성장하면서 전체 인프라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5년간 7.9%의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철도 부은 말싱 고속철과 동부 해안철도 등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끼고 2021년까지 연 8.3%의 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인다. 그 밖에 도로 교량 부문도 철도시장과 마찬가지로 견고한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2021년까지 연 8%대 성장을 이룩할 전망이다. 다만 사무용 빌딩 건축 시장은 그동안 과잉개발 우려가 있던 상황이어서, 추가적인 성장 계기가 없는 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말레이시아 건설산업 성장 전망

 


2015

2016

2017F

2018F

2019F

건설산업 규모(10억 링깃)

55.3

60.7

66.3

71.7

77.3

건설산업 규모(10억 달러)

15.7

14.1

15.4

16.7

18

건설산업 성장률, % y-o-y

10.6

7.8

6..4

5.8

5.7

건설산업 GDP 비중, % of GDP

4.8

4.9

5.0

5.0

5.1

자료원: BMI Research (2017. 4)

 

진출 전략

 

  ㅇ 유망분야

 

철도 등 대중교통, 초고속 인터넷망, 주택 건설 등의 분야에 정부투자가 계속 이어지면서 유망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ㅇ 진출 시 유의사항

 

CIDB는 건설규모별 등급을 정하여 건설면허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발급면허가 지정한 범위 내의 프로젝트만 참여가 가능하다. 또한 외국기업의 경우 프로젝트별 건설 면허를 내주고 있으며, 정부조달 프로젝트 시 내국기업으로만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ㅇ 산업규제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ment Board(CIDB) Act 1994에 의거 CIDB가 벤더등록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건설면허 신청 시 Category(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Building Construction, Mechanical & Electrical), Specialization( 카테고리별 전문분야 선택), Grade(공사규모에 따라 G1부터 G7까지 발급)를 선택하여 신청해야 한다.

 

  ㅇ 현지 유망 전시회

 

말레이시아의 2018년 건설산업 대표 마케팅 행사로는 International Construction Week 2018, One Build 2018 등이 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_건설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