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톈진무역관
  • 2018-10-19
  • 출처 : KOTRA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 성장 속 해외 브랜드 수입 규모 폭발적 증가 -

- 건강·청정·안전 이미지 확보하고 한국적 특색 가미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ㅇ HS CODE: 1901.10(영유아·어린이용 조제 식료품)

 

HS CODE

품명

1901.10.10

조제분유/우유 분말(配方奶粉/Powdered formulas)

1901.10.90

기타(其他/Other)


선정 사유


  ㅇ 유아용 식품 안전에 민감한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프리미엄 제품 기반 해외 브랜드 유아용 식품 수요 확대 추세

 

  ㅇ 좋은 재료와 영양, 제품 디자인 등 경쟁력 갖춘 한국 유아용 식품 소싱 관련 현지 바이어 문의 지속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은 WTO 가입 이후 시장 개방에 의한 치열한 경쟁, 규모의 경제 시작, 출생인구 안정, 소비자 소비 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2000년대 초반 20% 이상의 급성장세를 보임.

    - 최근 3년간 평균 8.5% 성장하였고, 올해 역시 약 10%의 성장이 예상되며 시장규모도 1,8227,660만 위안을 달성할 전망임.

    - 2022년까지 7%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시장규모는 2,5105,570만 위안 달성 전망

 

유아용 식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ㅇ 시장동향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은 건조 유아용 식품, 조리(Prepared) 유아용 식품, 기타 유아용 식품, 분유 시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분유(89%)를 제외한 기타 유아용 식품 시장은 전체 시장의 약 11% 수준임.

    - 건조 및 조리(prepared) 유아용 식품 시장 규모는 분유 시장에 비해 작지만 최근 10년간 15% 이상의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전첨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이 발표한 <<영유아 분유산업 시장수요 및 투자계획 분석 보고(婴幼儿奶粉行业市场需求与投资规划分析报告)>>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의 영유아 건강 및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분유 등 영유아 식품 전반에 대한 인식이 보조 식품에서 주요 식품으로 전환되는 중임.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별 분포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톈진무역관 재정리

 

    - 2008년 멜라닌 분유 사건 이후 중국산 분유가 신뢰도를 어느 정도 회복했지만, 여전히 유아용 식품 안전에 대한 불안심리가 남아 있어 해외 브랜드의 소비 비중 높음.

    * 멜라닌 분유 사건: 중국 분유 기업이 단백질 함량 기준치를 맞추기 위해 멜라닌을 분유에 넣은 사실이 적발된 사건

    - 2016년 시행된 두 자녀 정책에 따른 유아 인구 증가 예측도 중국 유아식품 시장 성장 전망을 밝게 하고 있음.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 중국 유아용 식품 수입 규모는 중국 소비자들이 비교적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외국산 프리미엄 제품 선호 등의 이유로 매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조제분유/우유분말(HS CODE 19011010)의 경우 연평균 약 38%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분유 외에도 유아용 전용 식품에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타 유아용 식품(HS CODE 19011090)의 시장 규모는 최근 3년간 연평균 84.7% 성장률을 보임.

    - 2018년도 1분기 조제분유(HS CODE 19011010)는 전년 동기 대비 16.5%, 기타(HS CODE 19011090)84%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감.


중국 유아용 식품(조제분유) 최근 3년간 수입 규모(HS CODE 19011010)

연도

수입액(US$ 백만)

증감률(%)

2017

3,981

32.3

2016

3,010

21.8

2015

2,471

59.6

: 수입 금액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중국 기타 유아용 식품 최근 3년간 수입 규모(HS CODE 19011090)

연도

수입액(US$ 백만)

증감률(%)

2017

92

47.3

2016

62

32.9

2015

47

173.9

: 수입 금액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ㅇ 조제분유/우유분말(HS CODE 19011010)

    - 여전히 남아 있는 자국산 불신, 프리미엄 제품 선호, 소비여력 증가 등 복합적인 이유로 프리미엄 브랜드를 보유한 국가와 청정 이미지를 보유한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최근 3년 상위 10개국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많은 국가가 연평균 성장률 50% 이상의 고성장을 보이고 있음.

    - 상위 10개국에 위치한 많은 국가들이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 규모의 성장과 맞물려 2014, 2015년에 수입률이 급성장(독일 407.6%, 호주 186%, 네덜란드 93.8% ) .

    - 뉴질랜드는 최근 3년간 27%, 72.2%, 104.6%의 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데, 청정 국가의 이미지, 선진 제조 기술 보유, 엄격한 식품 관리, 높은 수준의 동물 건강관리 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분유로 평가받고 있음.

  

중국 유아용 식품(조제분유)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19011010)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15

증감률

2016

증감률

2017

증감률

수입 액 합계

1

네덜란드

811

93.8

1023

26

1,160

13.4

2,994

2

아일랜드

408

48

563

37.9

650

15.4

1,621

3

뉴질랜드

195

26.8

333

70.7

689

106.7

1,217

4

독일

297

407.6

328

10.4

415

26.5

1,040

5

프랑스

132

-18.9

134

1.7

404

202

670

6

호주

150

186

163

8.1

192

18.4

505

7

덴마크

96

-14.2

145

51.5

221

52.5

462

8

한국

87

28.8

99

13.7

61

-38.9

247

9

싱가포르

140

-10.5

53

-62.4

26

-49.8

219

10

스위스

40

15.1

69

71.7

94

35.8

203

: 수입 금액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톈진무역관 재정리

 

  ㅇ 기타 유아용 식품(HS CODE 19011090)

    - 소득수준 상승과 아이에게 더 좋은 제품을 먹이고 싶어 하는 현 부모 세대의 심리가 유아용 전용 식품에 대한 관심을 키우며 기타 유아용 식품의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음.

    - 미국의 ‘HEINZ’ 브랜드는 5700여 종의 다양한 상품을 앞세워 기타 유아용 식품 시장에서 타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어 수입 규모 또한 타 국가에 비해 압도적임.


중국 기타 유아용 식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19011090)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15

증감률

2016

증감률

2017

증감률

수입 액 합계

1

미국

29.24

203.7

35.08

20

56.08

59.8

120.4

2

독일

4.67

147.7

7.68

64.6

11.61

51.2

23.96

3

네덜란드

0.62

1939.3

0.54

-12.6

8.33

1429.6

9.49

4

아일랜드

2.54

26.4

2.28

-10.3

2.51

10.1

7.33

5

대만

3.14

351.7

1.38

-55.9

1.69

21.8

6.21

6

호주

0.48

0

4.21

775.9

1.21

-71.3

5.9

7

크로아티아

0.34

155

1.71

405.4

2.21

29.5

4.26

8

오스트리아

0.32

0

0.81

156.3

2.89

257.6

4.02

9

싱가포르

0.21

0

1.03

394.9

1.57

51.7

2.81

10

스위스

1.26

0

0.35

-72

0.77

118.1

2.38

11

이탈리아

0.25

6,550.9

0.44

76.7

0.78

90

1.47

12

한국

0.17

1563

0.67

302

0.03

-95.4

0.87

: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톈진무역관 재정리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조제분유/우유분말(HS CODE 19011010)

    - 한국은 2003년부터 한류 열풍과 한국산 제품의 신뢰도 상승과 함께 프리미엄 이미지 강조 및 고가격 정책으로 초고속 성장세(2006년 제외, -2%)를 꾸준히 유지하였으나 2017년 약 40% 감소하였으며 20181분기 역시 56.3%를 기록함. 이는 한중 통상 갈등 영향과 중국 주요 수입국들의 중국 시장 진출 가속화가 겹친 결과로 해석됨.

 

중국 유아용 식품(조제분유) 대한 수입규모(HS CODE 19011010)

연도

수입액(US$ 백만)

증감률(%)

2017

61

-38.9

2016

99

13.7

2015

87

29.1

2014

68

27.9

2013

53

69.4

2012

31

46.3

2011

21

127.3

: 수입 금액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톈진무역관 재정리

  

  ㅇ 기타 유아용 식품(HS CODE 1901.10-90)

    - 대 한국 기타 유아용 식품 수입 규모는 미미하지만 간식용 유아용 식품이 주로 수입되고 있음. 중국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으로 시장 전망이 밝음.

    * 톈진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 식품 및 유아용 식품 바이어, 유통상들의 한국 유아용 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음.

 

중국 기타 유아용 식품 대한 수입규모(HS CODE 19011090) 

연도

수입액(US$ 백만)

증감률(%)

2017

0.03

-95.4

2016

0.67

302

2015

0.17

1,563

2014

0.01

0

: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 반올림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톈진무역관 재정리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주요 경쟁 브랜드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 주요 브랜드는 분유 업체가 대다수


중국 유아용 식품 10대 브랜드  

브랜드

국가

브랜드 소개

 

飞鹤(firmus)

중국

- 1962년 설립되어 중국 영유아 체질에 맞는 분유를 연구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 점유율 1

 

启赋(illuma)

아일랜드

- 세계 첨단 영양학, 소아과, 생물 전문가 등의 수십 년의 연구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이고 있음.

- 启赋 시리즈로 유아의 개월 수의 맞는 분유 제품 출시함.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 점유율 2

 
  Aptamil爱他美

독일

- 1921년 설립된 독일 Milupa 그룹 계열의 브랜드

- Aptamil 시리즈로 유아의 개월 수의 맞는 분유를 선보이고 있음.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3

 

惠氏S-26

미국

- 1961년 설립되어 제약, 바이오, 식품 등 다방면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고, 현재 세계 500대 기업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4

 

Nutrilon牛栏

네덜란드

- 1896년 네덜란드에서 분유 개발을 시작으로 유아 관련 제품에 전념한 기업, 많은 유럽 국가들에서 판매율 높음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5

 

friso美素

네덜란드

-1871년 설립돼 14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유제품 회사로 인기 영유아 분유 브랜드로 성장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6

 

亨氏(Heinz)

미국

- 1869년 미국에 설립되어 세계 최대 영양 식품 생산 업체로 성장하였고 5700여 종의 제품 보유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7

 

合生元(BIOSTIME)

중국

- 1999년 설립되어 2002년부터 프랑스 Lallemand 그룹과 손을 잡고 Montaigu 분유 회사와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함.

- 분유 외에도 다양한 산모용, 유아용 기능성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8

yili 伊利

중국

- 내몽고 지역에 1993년 설립돼 중국 최대 규모의 유제품 기업으로 성장함.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9

   junlebao 君乐宝

중국

 

- 1995년 설립돼 하북성(河北省) 최대의 유제품 가공기업으로 성장함.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10

자료원: Euromonitor, 바이두, 톈진무역관 자료 종합 

 

  ㅇ 경쟁 동향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는 중국 로컬 브랜드지만, 복수의 프리미엄 외국 브랜드가 시장점유율 상위권에 자리하고 있고 1위를 제외한 중국 로컬 브랜드는 약세임.

    -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의 점유율이 10%가 되지 않고, 브랜드 간 시장점유율의 격차가 크지 않음. 또한 40%의 기타 브랜드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중국 유아용 식품시장 경쟁은 매우 치열함.


중국 유아용 식품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유통구조

 

  ㅇ 주요 유통구조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의 유통구조는 크게 유아용 식품 전문점, 온라인 유통, 슈퍼마켓, 하이퍼 마켓 4가지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음.

    - 유아용 식품은 소비자가 직접 보고 구매를 하는 경향이 강해 식품 전문점에서 구매하는 비중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국 온라인 유통 시장 성장에 따라 온라인 시장 내 유아용 식품 시장도 점차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 미국 분유 제조사 미드존슨(Mead Johnson)20186월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징동(京东)과 손잡고 징동(京东)의 물류 공급망, 온라인 마케팅 등을 적극 활용할 계획임.

 

중국 주요 유통 채널 분포

전문점(Other Foods Non-Grocery Specialists) 

온라인 유통

(internet retailing)

슈퍼마켓(supermarket)

하이퍼마켓(hypermarket)

42.2%

23%

20.4%

10.9%

자료원: Euromonitor, 톈진무역관 재정리

  

관세율

 

  ㅇ 관세율

    - 조제분유/우유분말(HS CODE 19011010)

    * 기본세율: 40%, 잠정세율 5%(한국산 및 최대 수입국 네덜란드 등 해당)

    * 최혜국 세율: 15%

    * 한중 FTA 미양허 품목

    * 한국 기업은 잠정세율 활용 수출하는 것이 유리

    - 기타(HS CODE 19011090)

    * 유아용으로 준비, 조제된 기타 식품 등이 기타에 해당

    * 기본세율: 40%, 잠정세율: 2%(한국산 해당, 최대 수입국 미국의 기타 유아용 식품에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2018년 8월부터 10% 추가 관세 부과)

    * 최혜국 세율: 15%

    * 한중 FTA 미양허 품목

    * 한국 기업은 잠정세율 활용 수출하는 것이 유리


인증 및 수입규제

 

  ㅇ 인증 및 규정

    - 인증의 경우 기존에는 원산지증명서와 위생증명서로만 수출이 가능했지만 2016년부터 영유아 조제분유 제품배합 등록관리법(婴幼儿配方乳粉配方注册管理办法)’에 따라 국가시장관리감독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国家食品药品监督管理总局)에 제품 등록 후 인증을 받아야 함.

    - ‘요구 증서 혹은 재료 합격 증명서 미비’, ‘검역 허가 미획득’, ‘라벨 및 포장 불합격등의 사유로 통관이 거부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아래 규정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

    * 수입 및 수출식품의 상품 표시에 관한 일반 조치(General Administration of Import and Export Food Labelling)와 수입 및 수출 화장품 관련 감독 및 검사에 관한 일반 조치(General Administration of Supervision and Inspection of Import and Export Cosmetics)

    * 식품 영향 라벨링에 대한 행정법령 및 식품 영양 라벨링의 정의와 적용 범위 영양표시 등의 규정

    * 상품에 대한 과도한 포장을 제한하는 법령

    * 식품 및 화장품의 과도 포장 제한 요건

    * 건강식품의 우수제조관리기준

    * 특이 식이요법을 위한 선포장 식품의 라벨링에 관한 국립식품안전표준

 

  ㅇ 기타 수입규제

    -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20188월부터 미국산 조제분유(HS CODE 19011010)25%, 기타 유아용 식품(HS CODE 19011090)에는 10%의 추가 관세가 각각 부과되고 있음.

 

시사점

 

  ○ 유아용 식품 시장 지속성장 가능성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은 매년 고성장 중이고 올해 이후에도 매년 7%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22,5105,570만 위안 달성할 전망임.

    -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에서 분유 시장이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지만, 기타 유아용 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최근 3년간 15%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 있음.

 

  ○ 뉴질랜드 중국 유아용 식품시장 성공 진출사례 참고 필요

    - 뉴질랜드산 조제분유(HS CODE 1901.10-10)는 자국의 청정 국가의 이미지 활용, 엄격한 식품 관리, 높은 수준의 동물 건강관리 등의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식품이라는 이미지 구축에 성공함.

    - 한국 기업들도 경쟁이 과열되는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한국의 고유 특색을 가미하고, 무엇보다 우수한 원재료와 엄격한 생산 관리를 통해 건강, 청정, 안전 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 톈진 소재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

    - 일반 식품 기업, 유아용 전문 식품기업, 유통상 등 많은 중국 기업이 한국의 좋은 재료와 영양, 제품 디자인 등 경쟁력 갖춘 한국 유아용 식품 제품에 대한 소싱 문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 복수의 톈진 소재 바이어들은 유아용 식품은 건강 및 안전이 기본이고 거기에 더해 미각적인 부분을 갖출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이다. 시장에 기본적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어느정도 신뢰감과 선호도가 깔려 있기 때문에 유아식품 분야에서도 한국제품이 선전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라고 하면서 "최근 유기농 유아용 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유기농 제품에도 관심이 많다.”라고 언급함.


 

자료원: Euromonitor, 한국무역협회(KITA), Global Trade Alert, Trade NAVI, 관세청, 중국해관, 현지 언론, 바이두, 바이어 인터뷰 등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유아용 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