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미국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이성은
  • 2017-09-25
  • 출처 : KOTRA

- 미국 화장품 제조 시장규모 490억 달러 -

- 한국 화장품, 입소문을 타고 시장의 주류로 편입 중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화장품(HS Code 3304)

 

□ 선정 사유


  ㅇ 한국의 화장품은 미국 내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온라인, 일반 매장을 막론하고 시장 진출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 Sephora, Ulta 등의 전문 화장품 매장에서는 물론이고 Costco 등 창고형 매장이나 타겟(Target) 등 일반 슈퍼마켓에서도 한국 화장품의 판매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또한 Sephora, Ulta 등은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K-뷰티 코너를 따로 마련 


  ㅇ 한국의 2016년 화장품 수출규모는 3억1685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66% 상승했고, 2017년 상반기 대미 화장품 수출규모는 1억9911만 달러.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


□ 미국 화장품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미국 화장품 제조시장 규모는 490억 달러 규모 

    - 미국의 화장품 제조산업은 향후 5년간 연 0.5% 성장해 2022년에는 500억 달러 규모 전망

    - 화장품의 제품별 규모로는 스킨케어 제품 28.9%, 헤어 관련 제품 22.3%, 색조 제품 17.3%, 향수 10.6%로 나뉨.


품목별 시장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2017년 5월)

 

  ㅇ 제조업체 분포

    - 인구밀도가 높고 패션에 민감한 대도시가 밀집한 캘리포니아 지역에 생산업체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 주요 소비시장과의 근접한 거리로 인해 수송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

    - 캘리포니아 이외에도 뉴저지, 뉴욕, 플로리다 텍사스 등지에 분포하고 있음.

 

화장품 제조업체 분포도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2017년 5월)

 

□ 미국 화장품 수입동향

 

  ㅇ 미국의 2016년 화장품 수입 규모는 45억507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08% 증가

    -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프랑스, 캐나다 등임. 수입규모는 중국의 경우 2016년 전년 대비 31.78% 증가한 8억8327만 달러, 프랑스는 전년 대비 2.00% 증가한 7억7130만 달러 규모


  ㅇ 2016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3억1685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66% 증가했음.

    - 2017 상반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1억9911만 달러로 8.77%의 점유율을 보였음.

 

미국 화장품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명

금액

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7 

상반기

2014

2015

2016

2017

상반기


전체

3,788,655

3,949,085

4,505,072

2,271,403

100

100

100

100

14.08

1

중국

600,021

670,265

883,270

451,517

15.84

16.97

19.61

19.88

31.78

2

프랑스

688,634

756,200

771,303

412,020

18.18

19.15

17.12

18.14

2.00

3

캐나다

622,205

645,732

678,238

323,137

16.42

16.35

15.05

14.23

5.03

4

이탈리아

286,534

316,946

418,318

211,289

7.56

8.03

9.29

9.30

31.98

5

한국

127,162

217,531

316,859

199,115

3.36

5.51

7.03

8.77

45.66

6

영국

255,544

231,801

269,223

116,731

6.74

5.87

5.98

5.14

16.14

7

독일

179,917

192,760

203,133

95,593

4.75

4.88

4.51

4.21

5.38

8

일본

118,891

119,350

137,789

75,726

3.14

3.02

3.06

3.58

15.45

9

멕시코

132,616

134,188

187,486

81,209

3.50

3.40

4.16

3.33

39.72

10

벨기에

107,588

121,532

126,581

60,145

2.84

3.08

2.81

2.65

4.15

자료원: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2017)

 

□ 한국의 대미 수출 현황


  ㅇ 2017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기초화장, 메이크업, 어린이용 기타 제품류가 전체 화장품 수출 규모의 71.44% 점유를 정유

    - 매니큐어, 페디큐어용 제품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전년 대비 높은 수출액 증가율을 보임.

    - 2016년 매니큐어, 페디큐어용 제품류는 전년대비 39.16% 수출 감소를 보였으나, 2017년 상반기의 수출액이 이미 2016년 전체 수출액의 66%를 상회한 수준임.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

품목명(HS Code)

금액

점유율

증감률

'16/'15

2014

2015

2016

2017

상반기

2014

2015

2016

2017

상반기

화장품(3304)

127,162

217,531

316,859

199,115

100

100

100

100

45.66

기초화장, 메이크업, 어린이용, 기타 제품류(330499)

77,109

126,870

197,158

142,240

60.64

58.32

62.22

71.44

55.40

눈화장용 제품류(330420)

35,843

66,615

82,559

37,875

28.19

30.62

26.06

19.02

23.93

파우다 제품류(330491)

4,586

6,686

17,386

8,120

3.61

3.07

5.49

4.08

160.03

입술화장용 제품류(330410)

3,610

9,805

15,159

7,828

2.84

4.51

4.78

3.93

54.60

매니큐어, 페디큐어용

제품류(330430)

6,012

7,554

4,595

3,050

4.73

3.47

1.45

1.53

-39.16

자료원: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주요 업체는 Estee Lauder Inc.(13.4%), L’Oreal USA Inc.(6.5%)이며 그 외 군소업체가 시장에 분산돼 있음.

    - Estee Lauder Inc.는 프리미엄 화장품시장의 선두 주자이며 브랜드로는 Estee Lauder, Clinique, Origins, Aveda, MAC, Bumble and bumble이 있음. L’Oreal USA Inc.는 L'Oreal, Garnier, Maybelline, Lancome, Kiehl's, Ralph Lauren(fragrance), Urban Decay 등의 브랜드가 있음.

    - 그 외 업체로는 Mary Kay Inc.(4.9%), Coty Inc.(4.8%), Unilever(4.1%), Revlon Inc.(3.8%) 등. 이 중 Mary Kay Inc.는 일반 화장품 전문점이나 유통을 통해 판매가 되지 않고, 회사와 계약을 맺은 독립적인 뷰티컨설턴트(Beauty Consultant)를 통해서만 소비자에게 판매를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

 

업체별 시장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IBIS World(2017년 5월)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관세율: 무관세


  ㅇ 수입 규제: 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은 특별히 없음.


  ㅇ 인증

    -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는 의약품으로 간주되므로 반드시 미 식품의약청(FDA)에 제조업체 등록을 하고 의약품에 대한 허가절차를 통과해야 함.

    - 일반 화장품의 경우 FDA의 자율등록(Voluntary Cosmetics Registration)을 권고. 등록은 FDA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음.

 

진출전략 및 시사점


  ㅇ 한국 화장품은 이미 전문 화장품 매장을 비롯해 일반 소매상, 대형 유통마트 등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음. 

    - 미국 최대 온라인스토어인 Amazon의 경우 Amazon을 통해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가 가능하므르 소규모 업체의 진출이 용이

    - CVS, Walgreens와 같은 드럭스토어(Drugstore)들은 한국 제품을 매장에서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적극적으로 품목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으므로 드럭스토어를 타깃으로 삼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


드럭스토어에 입점한 한국 화장품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달라스 무역관 직접 촬영


  ㅇ 한 바이어에 따르면 현재 K-뷰티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무서운 성장세에 있으나, 이와 함께 대만 및 중국 화장품 업체들도 유사한 제품군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므로 가격경쟁력 외에도 해당 제품만의 특장점을 내세운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고 함. 실제로도 한국 마스크팩의 인기로 인해 대만·홍콩산 마스크팩 제품을 매장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됨. 미국 시장에는 거의 전무했던 마스크팩의 인기로 미국 중저가 브랜드인 Garnier도 TV 광고를 통해 마스크팩 제품을 선전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Garnier의 마스크팩 광고

external_image

자료원: Youtube 캡쳐


  ㅇ 패키징의 중요성

    -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디자인의 패키징이 중요

    - 부피를 너무 차지하지 않고, 매장에서의 효율적인 진열을 고려한 패키징은 실제 리테일러들의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임.

 

한국 화장품 코너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달라스 무역관 직접 촬영


  ㅇ 유기농, 친환경적,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Cruelty Free, Not tested on animals)에 대한 수요 증가 중

    - 유기농 화장품 승인은 미 USDA 주관이며, FDA와는 별개

    - Physicians Committee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설문 참가자의 61%는 동물 테스트는 금지돼야 한다고 대답했으며, 동물 테스트를 대체할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은 설문 참가자의 78%를 차지함.

    - 'Not Tested on animals', 'Not animal tested', 'Cruelty free' 등의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제품에 대한 표시는 특정한 인증이 있는 것은 아니고,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표기


유기농 인증 및 동물 실험을 하지 않았다는 표시

external_image

자료원: USDA, Yesstyle


    - 많은 동물애호 단체들은 특히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기업의 리스트를 배포해 소비자들의 제품선택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기업의 리스트

external_image

자료원: Peta.org


    - 유기농, Cruelty-Free 등의 제품라인이 미국 진출에 유리할 수 있음.


  ㅇ KOTRA 현지 무역관의 관련 행사를 통해 미국시장 진출 도모

    - 지난 7월 KOTRA 달라스 무역관이 추진한 월마트 파워벤더 데이 행사에서도 벤더들은 한국 화장품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현재 적극적으로 제품을 모색 중임.

    - 또한 KOTRA 달라스 무역관에서는 9월 중순에 열릴 HEB·Central Market 파트너링 상담회를 주선 준비 중. HEB·Central Market 역시 한국 화장품에 관심을 보여 현재 제품 발굴 중

 


자료원: IBIS World,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USDA, Peta.org, Yesstyle, FDA, Youtube,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미국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