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신에너지 승용차 현주소(3) 전기차 배터리 산업현황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7-06-19
  • 출처 : KOTRA

-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규제 강화로 인해 성장세 주춤 -

- BYDCATL2강 구도 형성 -

 

 

 

- 이 보고서는 21세기경제보도와 현지 컨설팅업체 WAYS에서 공동 발표한 '2016년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

- 신에너지 자동차는 버스, 승용차, 물류차, 상용차 등으로 구분. 보고서는 시장 소비상황을 알아보고자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신에너지 승용차 데이터를 사용

- 1편은 중국 신에너지승용차 시장 개황 및 관련 정책, 2편은 중국 신에너지 승용차시장의 소비자 선호도, 3편은 전기차 배터리산업 등을 다룸

 

□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경쟁력의 관건요소는 배터리

 

  ㅇ 수입차와 토종차의 격차는 주행거리에 달려 있으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 품질에 의해 좌우됨.

    - 테슬라, BMW 등 글로벌 업체들은 삼원계 배터리를 착용, 연속 주행거리가 토종차보다 월등하게 높음.

    · 테슬라 일부 차종의 연속 주행거리는 600㎞인데 반해 중국 로컬 브랜드는 그 1/10 수준인 60

    - 연속 주행거리 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자랑하는 차종(테슬라, BMW)은 그 판매량도 일부 토종차의 3배 수준

    - BYD를 비롯한 토종차들은 주로 인산철 리튬 배터리를 장착했으나 최근 삼원계 장착을 확대하고 있음.

 

중외 신에너지 승용차 배터리 착용상황

브랜드

차종

배터리

생산업체

유형

2017년 1분기

판매량

배터리 유형

연속 주행거리

()

테슬라

MODEL X

외자

BEV

2,957

18560삼원계

417/489/542

베이징자동차

EC 시리즈

토종

BEV

2,445

인산철리튬

156

테슬라

MODEL S

외자

BEV

1,835

18560삼원계

400/408/480/

557/613/632

BMW

X5

외자/토종

PHEV

1,682

삼원계

31

BYD

()

토종

BEV/PHEV

1,590

인산철리튬

(100은 삼원계)

300/350/70/100

룽웨이(榮威)

eRX5

토종

PHEV

1,547

삼원계

60

룽웨이(榮威)

E550

토종

PHEV

1,267

인산철리튬

60

BYD

E5

토종

BEV

1,179

인산철리튬

305

중타이(衆泰)

E200

토종

BEV

1,082

삼원계

155

베이징자동차

EU 시리즈

토종

BEV

1,010

삼원계

260

자료원: 21세기경제보도 & WAYS 컨설팅

 

□ 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동향

 

  ㅇ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전기차 배터리 산업도 고속성장을 이어왔음.

    - 보조금 정책 시행으로 2014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시장이 603%의 폭발적인 성장을 하면서 전기차 배터리 산업도 2014368.4%의 성장률을 실현

    - 그러나 2016년 들어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인증기준이 대대적으로 강화돼 배터리 산업의 성장률도 100% 이하로 급감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배터리 생산현황


자료원: 21세기경제보도 & WAYS 컨설팅

 

  ㅇ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현재 BYDCATL(寧德時代) 2톱 구도를 형성

    - 1위를 차지한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는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인 BYD, 지난해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연간 전기차 배터리(승용, 상용, 버스 합계) 출하량 세계 1위를 기록

    · 2016BYD 출하량은 전년대비 152% 성장한 7.35Gwh로 집계

    - BMW의 납품사 CATL6.72Gwh의 출하량으로 그 뒤를 바짝 추격 중임. CATL은 배터리 생산능력을 2020년까지 50GWh까지 늘린다는 전략

    - 3위인 워터마(沃特)CATL(2)의 절반도 못미친 상황, 4위인 구어쉬엔가오커(軒高科)의 출하량도 1.86GWh에 그쳤음. 5위 이하는 연간 출하량이 1GWh 미만

 

2016년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 출하량

자료원: 21세기경제보도 & WAYS 컨설팅

 

  ㅇ 중국 전기차 배터리는 인산철 리튬이 64% 비중을 차지

    - 글로벌 기업들이 주로 개발·생산 중인 삼원계가 30% 이상의 점유율로 그 뒤를 잇고 있음.

    - 중국 시장에서 BYD가 리튬인산철계 분야에서 절대 강자인 데 반해 삼원계는 CATL1위를 차지

 

2016년 중국 전기차 배터리산업 상품 구성


자료원: 21세기경제보도 & WAYS 컨설팅

 

□ 중국 전기차 배터리 규제

 

  ㅇ BYDCATL 등 토종업체가 중국 시장에서 절대 강자로 부상한 데는 중국 정부의 규제강화조치가 주요 원인

    - 중국은 20153월 전기차배터리 규범인증안을 제정·발표하고 같은 해 51일부로 시행했음. 이에 따라 해당 규범인증을 통과하지 않은 배터리 생산업체의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방침

    - 이는 BYD, CATL(寧德時代), 궈슈엔가오커(軒高科) 등 로컬 대기업이 신속하게 시장을 점유하는데 기회를 제공

    · 당국은 2015 6월과 12, 20164월과 6월, 총 4차례에 걸쳐 인증을 통과한 기업리스트 발표

 

전기차 배터리 규범인증을 통과한 기업리스트 발표 상황

발표시기

201510

201512

20164

20166

기업 수

10개사

7개사

8개사

32개사

자료원: 중국 공신부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시장이 안정적인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전기차 배터리 산업 역시 지속적인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 특히 BYD, CATL(寧德時代), 궈슈엔가오커(軒高科) 등 대기업이 고속성장기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

    - 2016년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및 판매량은 각각 51만7000, 50만7000대로 전년 대비 각각 51.7%, 53% 증가해 2년 연속 글로벌 1위를 차지

 

  ㅇ 중국은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 난입을 막고자 규제를 강화하고 인증 조건을 강화하는 추세

    - 2016년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의 생산 능력에 대한 요구를 대폭 상향조정한 전기차 배터리 규범 인증 수정안을 발표했음.

    · 이에 대해 중국 업계는 특정기업 육성 및 지원이라며 강하게 반발

    - '신 전기차 배터리 인증조건'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중국 정부의 인증기준 강화, 자국 산업 보호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임.

 

  ㅇ 중국 로컬 기업과의 제휴, 협력을 적극 시도해 새로운 협력관계 구축에 나서야 함.

    - 중국 파트너와 협력해 중국 정부의 자국화전략에 대응하고 토종업체의 유통채널, 네트워크 등을 적극 이용토록 해야 함.

 

 

자료원: 중국 공업정보화부,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 WAYS 컨설팅사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신에너지 승용차 현주소(3) 전기차 배터리 산업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