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의 온라인 교육시장이 직면한 도전과 과제
  • 트렌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7-02-15
  • 출처 : KOTRA

- 2021년 온라인교육 사용자 2억 명 돌파 전망 -

- 웨어러블, VR, AR 등 하드웨어의 발전에 맞는 새로운 교육 방식 개발 박차 –

 

 


□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 현황

 

  ㅇ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 발전 과정

    - 현재 중국 온라인 교육 산업은 빅데이터를 이용한 고객분석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교육 제공을 추구

    - 1선 도시 위주에서 2, 3선 도시로의 확대 추세에 있음.

 

  ㅇ 시장 규모

    - 2010년부터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 규모와 이용자 수는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안정적으로 성장함.

    - 2010년 시장 규모는 491억 1,000만 위안에서 꾸준히 증가해, 2015년에는 1,000억 위안을 돌파한 1,171억 위안을 기록함.

    - 2015년 기준 중국 온라인교육 이용자는 약 7,227만 명으로 전체 네티즌의 16%를 차지함.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온라인 교육 공급 플랫폼 종류

 

  ㅇ 공급 방식에 따라 B2C, O2O, C2C, MOOC, OCWC 등으로 나뉨.


 


  ㅇ B2C 모델은 가장 전형적인 모델로 전통적인 원격교육, 인터넷 교육의 주요 형식인 자영형 플랫폼과 개방플랫폼으로 나뉨.

    - 개방플랫폼의 경우, 기존의 거대 인터넷 기업이 다수의 가입자 수를 이용해 강사 추천이나 자체 매체를 활용해 교육자료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타오바오의 타오바오통쉐(淘宝同学), 웨이신의 웨이커왕(微科网) 등이 있음.

 

  ㅇ O2O 교육 플랫폼은 이용자들이 자신의 특기를 살려 교사가 될 수도, 학생이 될 수도 있는 플랫폼

    - 전통적인 교육과정보다 악기연주, 요리 등 취미 관련 내용의 강의가 많음.

    - 대표적인 기업으로 '제9학당(第九课堂)'이 있는데, 학비 49위안 이상의 강의부터 19%의 수수료를 취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도모하고 있으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존재해 실제적인 수익 창출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C2C 모델은 화상대화 기술에서 발전돼 온라인 교육으로 확대된 것으로, 학생이 원하는 강의가 없을 경우 신청을 하면 이용자들이 직접 과정을 개설함.

    - C2C 모델의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인 구글의 Helpouts에는 요리, 가전제품 수리, 요가,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강좌가 개설돼 있음.

    - 공급자에게 강의료를 책정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하고 구글은 20%의 수수료를 취하는 형식

 

  ㅇ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모델은 유명 대학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한 강의를 녹화해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형식으로, 학비를 내고 정규 과정을 등록하면 대학의 학위를 인정받을 수 있음.

    - 최근에는 MOOC에서 수여하는 학위가 고등교육기관 수여 학위 체계의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음.


  ㅇ OCWC(Open Course Ware Consortium)은 개방수업연맹으로 주로 비영리조직의 CSR 차원에서 직원교육에 사용된 모델

    - 교사, 학생, 학부모를 연결시키는 플랫폼인 이치쭤예왕(一起做也网, 함께 숙제합시다)도 등장. 이는 학교에서 수업의 연장선으로 활용해 학생의 학습효율을 높이고, 학부모가 자녀의 학습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중국의 1만여 개의 초등학교에서 이치쭤예왕을 사용 중이며, 사용자는 2,300만 명을 넘어섰음.

    - 기타 문제은행이나 실시간 답변 플랫폼, 학습 플랫폼 등 새로운 형태의 교육 플랫폼이 계속 등장하고 있음.

 

  ㅇ 강의의 종류에 따라 K12, 고등교육, 조기교육, 직업교육, 어학, 고시, 취미 등으로 세분화됨.

    - 2015년 기준, K12 교육과 조기교육 분야의 강의가 각각 29%, 15%로 전체 온라인교육시장 분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표준화가 쉬운 직업교육과 고시 분야의 강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취미 관련 과정이 매우 큰 인기를 끌며 증가 추세에 있음.

    - K12란 유치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는 기초 교육을 말함.

 

  ㅇ 대표 플랫폼



□ 중국 온라인 교육 업계의 당면 과제

 

  ㅇ 저작권 문제

    - 불법 해적판 인터넷 강의가 판매가의 절반도 되지 않는 저렴한 가격에 유통되고 있어 플랫폼의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취약한 수익구조

    - 플랫폼의 '돈 태우기(烧钱)' 경쟁으로 시장은 활성화돼 있으나 각각의 플랫폼의 수익구조가 탄탄하지 않아 온라인교육 산업의 장기적인 약점으로 작용

    - 2015년 중국의 온라인교육 기업 9,500여 개 중 400여 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기업은 5%에 불과했고 결손상태에 있는 기업은 7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중국 온라인교육 기업 수익 발생 현황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교육 분야는 재소비율이 낮은 분야로, 브랜드 가치를 만들기 쉽지 않음.

    - 인터넷 강의의 경우, 스타 강사의 보유 여부에 따라 플랫폼의 가치가 매겨지기 때문에 높은 비용으로 스타 강사를 스카우트해야 하며, 이 때문에 플랫폼의 이윤 폭이 매우 낮음.

    - 보통 인터넷 스타강사의 연 수입은 10만 위안 이상으로 집계되며, 100만 위안 이상인 강사도 있음.

 

  ㅇ 가격의 불균등

    - 온라인교육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의 1%의 응답자가 온라인교육에 월 1,000위안 이상 지출할 수 있다고 응답한 반면, 실제 온라인교육에서는 전체의 76.8%가 500위안 이내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온라인교육 소비자 월 지출 금액 설문조사

자료원: 지연컨설팅(智研咨询)

 

□ 해결 방안

 

  ㅇ 정부 차원의 지적재산권 보호 작업

    - 2011년 중국 최초의 인터넷 강의 저작권 침해 소송 판결에서 불법 유통업자에게 징역 1년, 집행유예 1년, 6만 위안의 벌금 선고

    - 2015년 기준 2,118건의 인터넷 판권 관련 민사소송이 진행됐고 450만 위안의 벌금이 부과됐으며 113개 홈페이지가 폐쇄되는 등 처벌의 수위를 더욱 강화하고 엄격히 관리하고 있음.

    - 온라인 동영상 유통 플랫폼 16개 기업에 대해 국가판권국(国际版权局)에서 지적재산권 보호 차원의 검사가 이루어짐.

 

  ㅇ 강의 품질의 표준화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만족 사항을 개선하고 개인의 학습방법에 알맞은 추천강의를 제공

    - 표준화가 비교적 용이한 고시 준비, 직업교육 분야의 강의 품질 표준화에 투자해 모든 강의가 동일한 품질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

 

  ㅇ 수익구조 개선

    - 우수한 교수진을 유치하려는 노력 외에 강의 유통망 개선 노력으로 이윤폭을 늘림.

    - 취미 분야에서 보다 친근하고 다양한 강의를 개설해 강사 인건비 절감

 

  ㅇ 독특한 학습환경 제공

    -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AR, VR 등을 활용해 새로운 학습 경험을 제공해 경쟁우위 확보

    - 모바일 강의를 파편화해 짧은 시간으로도 언제 어디서든 학습할 수 있도록 함.

 

□ 시사점

 

  ㅇ 2017년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 규모는 1,600억 위안, 2021년에는 2,83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보임.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 규모 전망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 2021년에는 온라인교육 사용자가 2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

    - 스마트폰과 4G 인터넷의 보급으로 온라인 교육형 앱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보임.

    - 이전 온라인교육 시장의 주요 상품이었던 K12, 직업교육, 어학 분야 외에 기타 세분화된 영역이 활성화될 전망

 

  ㅇ 현재 활성화된 온라인교육 시장에 비해 건강한 수익구조를 보유한 기업은 소수이므로, 투자금이 회수될 수도 있음.

    - 국내에서도 온라인 영어교육, 스타강사 등의 온라인교육이 활성화된 바, 우수한 강사진과 실력으로 중국 온라인교육 시장에 진출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지연컨설팅(智研咨询), 웬티쿠 홈페이지(猿题库网站)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온라인 교육시장이 직면한 도전과 과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