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캐나다 대형 식품체인, HACCP 인증 제품 선호
  • 통상·규제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오진영
  • 2014-09-04
  • 출처 : KOTRA

 

캐나다 대형 식품체인, HACCP 인증 제품 선호

 

 

 

□ HACCP(해썹)이란?

 

 ○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은 식품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되고 권고되는 수단으로, 위해 발생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위생 관리 시스템임.

  - HACCP는 국제적으로 과학적 기반을 갖춘 시스템으로서 인정받고 있음.

  - HACCP의 주목적은 제조, 가공, 유통 전 단계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함임.

  - 1993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CODEX)에서는 국제 식품 안전을 위해 각국에 HACCP를 도입하는 방안을 권고했으며, 이후 세계 각국은 자국실정에 맞게 도입함.

 

 ○ 캐나다에서는 캐나다식품검역청(Canada Food Inspection Agency: CFIA)이 식품안전 강화프로그램(Food Safety Enhancement Program)을 두어 HACCP 준수 여부를 관리하고 있음.

  - HACCP은 임의 규정으로 캐나다 식품업체는 스스로의 필요에 따라 제도를 시행하며 CFIA는 기업의 HACCP 제도가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HACCP 적용모델을 개발, 제시해 업체의 HACCP 시행 내용을 평가, 지원함.

  - HACCP를 적용한 식품가공업체는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 더 높은 수준으로 일관되게 보증할 수 있게 됨.

  - 단, 육류 및 가금류, 어류에 대해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HACCP를 의무화하고 있음.

 

□ 현지 바이어, HACCP 선호

 

 ○ 현지 바이어 T 사는 HACCP 인증을 보유한 국내업체와의 상담을 희망하고, 없는 업체와의 상담은 무의미하다고 언급

  - 동 사는 공장을 보유한 제조사와의 직접 계약을 선호함.

  - 수입식품이 동 사에 납품되기 위해서는 HACCP 인증이 필수라 함.

 

 ○ 식품 유통업체 O 사는 최근 아시아 식품 수입 시 통관절차가 까다롭고 세밀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하며 수월한 통관을 위해서는 HACCP 인증이 요구된다 함.

  - HACCP에 해당되는 주요 한국 식품으로 (고추장, 된장) 장류, 소스류, (면류, 파전, 호떡 등) 냉동식품, (김, 말린 과일 등) 스낵류, 참기름 들기름 등 식용유 등이 있음.

 

 ○ 냉동 수산물을 유통 중인 S 사에 의하면 수산물 관련, 해외 제조사는 HACCP를 반드시 보유해야 한다고 하며, 수입 전 제품공정도 등을 캐나다 식품검역청에 제출해야 한다고 언급

 

 ○ 식품 유통체인 M 사는 현지 주요 식품 체인점의 공급업체가 되기 위한 일반적인 조건으로 HACCP 안전기준 준수와 라벨링 준수 등이 있다고 함.

 

 ○ 식품 유통업체 A 사 담당자는 다수의 현지 바이어가 HACCP 인증을 취득한 제조업체라면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업체라고 판단한다 함.

 

□ 시사점

 

 ○ 대캐나다 식품 수출 시 식품 및 의약품법(Food and Drugs Act, Consumer Packaging and Labeling Act)에 따라 식품 내용물과 포장, 검역조건 등 다양한 사항이 충족돼야 함.

  - 캐나다 식품검역청에서 고려하는 주요 사항으로 수출식품의 제조시설과 환경도 포함돼 있어 HACCP 인증은 식품업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

 

 ○ 다수의 바이어가 한국식품 수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의 식품안전 관련 요구가 증가 추세에 있음에 따라 HACCP 인증 보유 시 수입 결정에 도움이 된다고 언급

  - 강제 적용 제품은 아니나 최근 다수의 식품 대형유통망 업체에서 수입 식품 관련 HACCP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임.

 

 ○ 우리나라는 1995년 식품위생법 제32조의 2에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에 대한 법적근거를 신설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www.mfds.go.kr)에서 HACCP 관련 정책을 추진 중임.

  - 우리나라는 적용대상의 위생수준과 개선 필요성 등에 따라 자율적용 또는 의무적용을 각각 추진 중임.

   * 의무적용대상품목: 어육가공품, 냉동수산품, 냉동식품,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 식품

 

 ○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식품 안전정책이 강화되고, 앞으로 국제통상 간 HACCP 적용 요구는 늘어날 전망

  - 국내 식품 산업의 안정성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식품안전정책 및 HACCP 제도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HACCP 획득은 한국 기업의 전반적인 식품 안정성 수준 및 대외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캐나다식품검역청, 식품의약품안전청, 바이어 인터뷰, KOTRA 밴쿠버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대형 식품체인, HACCP 인증 제품 선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