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꾸준히 늘고 있는 일본의 대만 투자, 우리 기업에 빨간불
  • 투자진출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박지현
  • 2015-09-01
  • 출처 : KOTRA

 

꾸준히 늘고 있는 일본의 대만 투자, 우리 기업에 빨간불

- 2015년 1분기 對대만 투자액 41% 증가 -

- 일본-대만 합작기업 중국 진출 가시화 -

 

 

 

□ 대만, 일본 기업 투자 부쩍 늘어

 

 ○ 2015년 1분기 기준, 일본의 대대만 투자 금액기준 41.3%, 건수기준 9.8% 증가

  - 주요 투자 업종으로 전력설비 제조업, 도소매업, 전자부품 제조업, 화학제품 제조업으로 조사됨.

  - 일본의 글로벌 투자는 2013년 하반기를 시작으로 대중국 투자는 감소한 반면, 대만을 비롯한 동남아시역 지역에 대한 투자는 활발하게 이루어짐.

  - 특히 대만은 2011년 12월 16일 ‘대일산업합작추진사무소(台日産業合作推動辦公室, TJPO)’를 설립해 투자활동의 발판을 마련함.

 

 ○ 일본의 대대만 투자 건수는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

  - 2014년에 투자 건수가 소폭 감소한 반면, 투자금액은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

 

대만 내 일본 기업 투자 변화 추세

자료원: 대일산업합작추진사무소.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 일본은 왜 대만으로 향하는가

 

  일본과 대만, 서로가 필요해 찾게된 경제 동반자

  - 일본은 최근 저출산 고령화문제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와 내수시장 성장 부진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돌파구로 해외진출을 통한 시장 확보를 계획함.

  - 또한 대만은 2013년 이후 저조한 경제성장률과 수출 감소로 경제침체가 지속돼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 정책을 실시함.

  - 이에 따라 양국(대-일)의 이해 관계가 맞물려 일본의 대만 투자는 원활하게 진행돼 옴.

  - 또한 대만은 일본의 ‘제2의 내수시장’으로 불릴 만큼 오래 전부터 일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이미 다수의 일본 기업이 대만 소비자에게 친숙한 편임.

 

 ○ 일본, 생산거점의 대만행

  - 일본은 311 대지진 후 원전가동이 중단돼 에너지공급에 어려움을 겪음.

  - 일본의 이러한 에너지공급 부족문제가 전 세계 경제에 미친 영향은 미미하지만 일본과 밀접한 산업관계를 맺는 대만은 디스플레이, 태양에너지, 첨단기술 생산설비기계 및 부품 등 산업에서 큰 영향을 받음.

  - 일본 정부는 일본 내 생산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 다른 국가와의 합작 필요성을 인식하고 일본과 상호보완성이 비교적 높은 대만을 합작파트너로 고려함.

  -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은 대만에 화력발전, 석유화학 등 화석연료 에너지자원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옴.

 

 ○ 일본에 대만은 중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

  - 2010년 6월, 중국과 대만이 ‘양안간 경제협력기본협정(이하 ECFA)’을 체결함으로써 양안 간 상업 기회가 무역, 서비스, 금융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증가 중임.

  - 특히 일본의 중국 내 진출 실패의 장애요인인 중국의 반일감정을 해결하기 위해 대만을 중국 진출 전략의 새로운 기회로 삼음.

  - 일본은 대만에서 1차적인 투자 혹은 합병으로 대만의 중화적 요소를 흡수하고 탈일본화를 거친 후 중국으로 진출

  - 또한 대만을 통한 일본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은 독자적인 중국 진출에 따른 리스크 부담은 줄이고, 언어장벽을 낮추는 장점이 있음.

  - 게다가 중국 유통망을 보유한 대만 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더수월하고 안전한 중국 시장 진출이 가능

 

 대만 내 진출한 일본 기업 상위 10개(2014년 매출액 기준)

(단위: 백만 신타이완달러)

순위

기업명

진출 분야

설립연도

매출액

1

대만 도시바 국제 구매법인

서비스업

2001

348,052

2

쿠오즈이 모터스

제조업

1984

110,343

3

도시바 디지털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업

2001

63,010

4

파나소닉 산업 장치 판매법인

서비스업

1976

43,739

5

도시바 전자부품 법인

서비스업

1979

34,766

6

수미카 기술

제조업

2001

28,255

7

대만 캐논

제조업

1970

27,601

8

도요타 통상

서비스업

1967

24,339

9

대만 니치야 화학

제조업

1983

23,249

10

야마하 모터스

서비스업

2002

22,485

자료원: 중화쩡신소(中華徵信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 일본·대만 합작기업의 중국 진출 사례

 

 ○ (성공 사례) 중국 외식프랜차이즈 시장에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모스버거(摩斯漢堡)

  - 1990년, 일본 모스버거는 대만 TECO 산하의 안심식품서비스 업체와 합작, 대만에 진출

  - 2007년 11월 기준 총 127개 점포 수로 대만 3대 외식프랜차이즈 식당으로 자리잡음.

  - 2008년 대만 모스버거는 일본 모스버거와 합작, 중국 외식시장을 개척하기 시작함.

  - 2010년 2월 푸젠성(福建省)의 샤먼시(厦門市)에서 중국 모스버거 1호점을 오픈. 이어서 상하이, 광저우, 광둥 등 전역으로 빠르게 점포를 확장함.

  - 중국 모스버거는 5년 만에 총 460개 점포를 중국 내 오픈했으며, 2022년까지 5억 위안의 투자금액과 400억 위안의 총 영업액 달성을 목표로 할 만큼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

 

중국 내 모스버거 전경

자료원: 중국모스버거 홈페이지

 

 ○ (실패 사례) 정치적 반일감정에 무너진 일본 가전업체 샤프(Sharp, 夏普)

  - 2011년 일본 가전업체 샤프사는 대만 폭스콘(Foxconn, 鴻海)과 합작사 설립계약에 최종 합의

  - 두 업체는 합작을 기반으로 부품 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여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 업체에 대항하겠다고 발표

  - 특히 2013년 대만 폭스콘 궈타이밍(郭台銘) 회장은 ‘연일항한(聯日抗韓)’, 즉 "일본과 손을 잡고 한국에 대항하자"라고 외치며 한국 기업을 강하게 견제함.

  - 이어서 두 업체는 중국에서 휴대폰 기기 합작사업을 진행하나, 중국과 일본의 정치관계와 반일감정으로 인해 일본 샤프사의 스마트폰 기기 중국진출은 결국 실패로 돌아감.

  - 지디넷코리아(ZDNet)의 보도에 따르면 두 업체의 합작은 2012년 샤프의 주가 폭락을 이유로 점차 무산됐으며, 샤프사는 주거래 은행의 구제금융 및 퀄컴과 삼성전자의 지원 등을 거치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음.

 

자료원: taihainet

 

□ 시사점

 

 ○ 일본의 대만 해외투자는 향후 꾸준히 유지될 전망

  - 일본 내 노동인구 감소와 내수시장 축소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일본은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라도 중국시장 진출을 필수적으로 밀어붙일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작은 내수시장과 비싼 노동력 및 토지 비용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대만에 꾸준히 투자를 증가하는 이유는 대만 투자가 중국 진출의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임.

 

 ○ 우리 기업, 대만-일본업체 합작 사례에 주시할 필요

  - 수출주도형 경제구조,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 높은 대외 의존도 등 한국과 유사한 부분이 많은 대만의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 주요 수출품목의 중복성도 높음.

  - 결국 대-일 양국의 합작은 중국 시장에서 우리업체의 입지를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

 

자료원: CTimes

 

  - 콘텐츠, 서비스 및 운영 부분에서 높은 기술력과 풍부함 경험을 갖춘 우리 기업이 필요한 것은 중화권 시장 내 언어·문화적 우수성 갖춘 대만 기업임.

  - ECFA 이후 중국은 전자상거래, 문화 콘텐츠, 여행, 금융, 보험, 의료, 통신, 도소매, 운수, 전시회 업무 등 분야를 대만에 개방함.

  - 우리도 대만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중국 시장을 우회 진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자료원: 대일산업합작추진사무소(台日産業合作推動辦公室, TJPO), 경제부 투자업무처(經濟部投資業務處, MOEA), 중화경제연구원(中華經濟硏究院, CIER), 지디넷코리아(ZDNet), 전자산업신문(電子産業社群平台, CTimes), 중국모스버거(中國摩斯漢堡), KOTRA 글로벌시장 보고서 및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꾸준히 늘고 있는 일본의 대만 투자, 우리 기업에 빨간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