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UAE 상반기 수출 동향 및 전망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15-07-15
  • 출처 : KOTRA

 

대UAE 상반기 수출 동향 및 전망

- 2015년 1~5월 대UAE 수출 전년동기 10.24% 감소 –

- 대내외 경기변동에 민감한 UAE 수출 활성화 위한 제품 개발 필요 -

 

 

 

□ 2015년 1~5월 대UAE 수출 현황

 

 ○ 2015년 상반기 우리나라의 대UAE 수출액은 27억2107만 달러로 전년 동기 30억3151만 달러에 비해10.24% 감소했음.

 

대UAE 수출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년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중량

금액

중량

2015년

2,721,071

708,475,555

3,656,608

7,514,854,444

-935,537

2014년

3,031,515

727,444,532

6,509,492

7,360,809,838

-3,477,978

           주: 2014년, 2015년 1월~5월 기준(입수가능 최신자료)

           자료원: KITA

 

 ○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이 가장 부진한 품목으로는 석유화학합성원료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석유화학제품(MTI 21)이 있음. 저유가로 석유화학제품의 원재료 가격 하락과 경쟁국의 저가 공급이 늘어나면서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된 것이 원인으로 꼽히며 40.69% 감소함.

  - 아울러 계측기, 자동제어기, 의료용전자기기, 전산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산업용전자제품(MTI 81) 또한 38.19% 하락하는 등 뚜렷한 감소세를 보임.

 

 ○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인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하는 수송기계(MTI 74) 및 가정용전자제품(MTI 82) 또한 각각 12.76%, 15% 감소하는 등 기초산업기계, 철강제품, 농산물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목이 약세를 보임.

 

대UAE 수출 상위 20대 품목(MTI 2단위 기준)

            (단위: 천 달러, ㎏, %)

순번

MTI

품목명

2014 수출

2015 수출

증감률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총계

3,031,515

727,444,533

2,721,071

708,475,555

-10.24

1

74

수송기계

528,207

55,792,550

460,817

52,323,544

-12.76

2

71

기초산업기계

368,305

24,427,351

373,546

19,947,524

1.42

3

61

철강제품

296,649

210,583,484

319,396

235,448,118

7.67

4

81

산업용전자제품

352,163

3,033,417

217,659

2,156,856

-38.19

5

82

가정용전자제품

230,747

13,409,085

196,308

10,485,260

-14.93

6

43

직물

162,520

19,460,274

160,726

18,740,253

-1.10

7

01

농산물

118,550

13,282,565

128,473

14,976,047

8.37

8

83

전자부품

123,190

47,832,204

123,303

52,178,656

0.09

9

21

석유화학제품

190,108

173,233,143

112,745

135,684,272

-40.69

10

84

중전기기

94,436

3,926,650

97,691

3,140,565

3.45

11

75

기계요소공구 및 금형

42,708

3,196,890

95,500

5,904,274

123.61

12

72

산업기계

114,415

17,584,398

94,927

11,232,326

-17.03

13

32

고무제품

91,454

20,630,827

66,756

16,508,807

-27.01

14

62

비철금속제품

34,728

8,102,414

51,345

13,260,081

47.85

15

13

광물성연료

41,612

41,102,762

37,364

55,125,025

-10.21

16

31

플라스틱제품

28,567

8,189,242

28,780

7,870,535

0.75

17

22

정밀화학제품

25,079

6,853,894

25,859

7,151,502

3.11

18

25

제지원료 및 종이제품

19,299

18,966,595

23,761

19,078,654

23.12

19

44

섬유제품

28,431

9,370,577

23,067

6,539,913

-18.87

20

85

전선

63,052

12,264,257

14,909

2,244,744

-76.35

주: 2014년, 2015년 1~5월 기준(입수 가능 최신자료)

자료원: KITA

 

□ 대UAE 수출부진 요인

 

 ○ 유가하락으로 인한 UAE 경기 위축

  - IMF는 지난 1월, UAE의 2015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전년 대비 1.3% 낮은 3.5%로 하향 발표. 유가하락으로 인한 석유 관련 산업부문의 GDP 기여도 감소를 그 원인으로 지목함.

  - 지난해부터 계속되는 저유가세는 민간투자나 민간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인근 국가로의 재수출 감소

  - UAE는 MENA지역 물류 중심지로 각광받으며 총 수입의 30% 이상을 인근국가로 재수출하면서 성장해왔으나, 저유가로 GCC 및 인근 중동국가의 재정수입 감소하고 있음.

  - 아울러 시리아와 이라크의 IS세력 확대 및 리비아, 튀니지의 정치적 불안과 같은 인근 지역의 긴장이 장기화되면서 경기 위축으로 이어져 재수출 시장도 타격이 불가피해짐.

 

 ○ 일본, 유로존 기업의 가격경쟁력 개선 및 중국기업들의 품질 향상

  - 엔저에 힘입어 일본산 승용차, 전자제품, 철강제품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최근 유로화 약세로 인해 유럽산 승용차, 기계류, 플랜트 기자재 수입도 증가추세임. 아울러 중국 기업들도 가격경쟁력과 더불어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통해 UAE 시장 진출을 가속화

  - 주요 수출품목인 승용차, 전자제품, 기계 및 건설 기자재 등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2015년 대UAE 수출 전망

 

 ○ (정책 요인) UAE의 경제다각화 정책으로 현지 제조업 육성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섬에 따라 철강, 화학 등 현지 생산이 가능한 품목의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반면 EXPO2020 개최 준비로 도로, 메트로, 항만, 공항 및 호텔과 각종 상업시설 신축이 예상되면서 호재로 작용할 전망임.

 

 ○ (이란 핵 협상) 지난 4월 핵협상 잠정 타결 이후 7월 현재 최종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회복을 노리는 이란 정부와 중동지역 분쟁에 대한 이란의 역할을 기대하는 미국의 의지가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바, 어느 때보다 타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UAE 전체 재수출의 16%가량이 이란으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따라서 이란으로의 직접 수출 증가 여부에 따라 대UAE 수출규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해제되고 나면 양국 간의 교역량은 증가, 타결 시 UAE-이란 간의 교역은 최대 1000억 디르함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신흥국과의 경쟁) 중국기업의 적극적인 공세로 우리 기업의 긴 운송기간으로 긴급물량의 해소문제, 결제대금 지불기간의 조건 등이 상대적으로 불리해지고 있음.

  - 아울러 인도는 가격과 지리적 인접성을 무기로 적극적 공세를 이어나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술발달로 인해 품질경쟁력에 있어서도 경쟁국 대비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임.

 

□ 시사점

 

 ○ 2분기 메르스에 대한 우려로 대중동 마케팅 활동이 주춤했던 상황이 점차 호전되면서 수출 호조로 연결될 전망

  - 아울러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동순방에 따른 후속조치 사업수행으로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및 보건의료, 신재생, IT, 식품 분야의 수출 증진도 기대해볼 만함.

  - 대외적 측면에서는 이란 핵 협상이 타결 이후 인근 중동지역국가의 정세 또한 차차 안정되면서 UAE를 통한 인근 지역 재수출이 상당 부분 증가할 전망임.

 

 ○ UAE의 경제는 천연자원에 의존하고 내수시장의 규모가 작아 외부의 요인에 민감한 약점을 가지고 있음.

  - 수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 경쟁력 제고를 통해 외부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자료원: KITA, 걸프뉴스, IMF,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UAE 상반기 수출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