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홍콩의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승부수 던져 볼 만 (1편, 시장개황)
  • 투자진출
  • 홍콩
  • 홍콩무역관 장원영
  • 2015-05-08
  • 출처 : KOTRA

 

홍콩의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승부수 던져 볼 만 (1편, 시장개황)

-  1970년대 맥도날드에서 현재까지, 아시아 프랜차이즈 산업의 허브 홍콩 -

- 중국 진출 리스크, 홍콩에서 가능성 타진 -

 

 

 

□ 시장 현황

 

 ○ 세계시장

  - Actrium Solutions에 따르면 전 세계 프랜차이즈 산업 규모는 2014년 기준 약 38억 달러였음.

  - 현재 프랜차이즈 시장점유율은 미국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6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글로벌 TOP 10 중 9개가 미국 기반 기업이어서) 아시아가 16%를 차지하고 있음.

  - HKTDC는 5년 내 아시아 지역 프랜차이즈 산업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함.

 

출신 지역 기업별 프랜차이즈 시장 점유율

자료원: HKTDC

 

 ○ 아시아 시장

  - HKTDC가 50개의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80개의 홍콩 및 중국 기반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중 87%가 중국 및 ASEAN 시장 진출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ASEAN 시장의 많은 인구, 가처분 소득의 증가, 급속한 도시화 및 프랜차이즈 브랜드 인지도 상승 등에 기인함.

  - 아시아 지역에서 최근 중산층의 성장으로 소비자 구매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바쁜 도시형 라이프스타일 확산으로 일반 가정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 사용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임.(예: 청소, 요리, 교육 등)

 

 ○ 중국

  - 한때 중국은 잦은 사기와 지식재산권에 대한 법적 보호 부재, 프랜차이지(franchisee)를 방치하는 무책임한 프랜차이저(franchisor) 등의 문제로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진출하기 꺼려하는 영역이기도 했음.

  - 여전히 중국은 프랜차이즈 진출에 있어 미숙한 시장이지만 현재 중국에서 4000여 개의 국내 기반 브랜드가 태동하고 있으며 그 성장 가능성은 점점 표면 위로 드러나고 있음.

  - HKTDC에 따르면 영업이익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20%로 이는 미국이 3%인 것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장률임.

  - 이러한 성장세에 따라 중국은 주하이 시에 국제 프랜차이즈 아카데미를 설립해 2~4년 과정으로 프랜차이즈를 집중적으로 전공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 현재 중국의 전체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85%가 국내 기반 브랜드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해외 브랜드는 15%로 중국 내 입지가 약한 편임.

  - 따라서 종합적으로 현재까지 해외 브랜드에게 있어 중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진입장벽은 높을 것으로 예상

 

 ○ 홍콩

  - 홍콩은 아시아 진출의 거점지역으로 1970년대 맥도날드 및 KFC가 최초로 진출했던 곳 중 하나임.

  - 현재 홍콩은 전 세계 기업들의 테스트 마켓으로 간주되면서 다양한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진출해있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HKTDC에 따르면 홍콩 내 전체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국내 기반 브랜드는 54%로 해외 브랜드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데, 이는 외국인 투자가 자유로운 홍콩의 이점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음.

  - 홍콩 프랜차이즈 연합에 따르면, 홍콩에 있는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약 43%가 음식 공급업이며 20%가 유통, 37%가 세탁 등의 서비스인 것으로 밝혀짐.

  -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 같은 경우에는 홍콩 진출 시 재정적으로 견고하고 유통 및 경영에 경험이 풍부한 현지 기업과 우선적으로 계약하고, 그 계약업체가 프랜차이지(franchisee)와 하청계약을 하는 형태를 많이 취하고 있음. (예: Dairy Farm Group, Li & Fung Group 등)

  - 혹은, 해당 지역의 디벨로퍼(Developer)와 계약을 맺어 디벨로퍼가 해당 지역에 스토어를 낼 프랜차이지(franchisee)를 리쿠르팅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함.

  - HKTDC가 전 세계 150개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향후 3년 동안 유망한 프랜차이즈 시장으로 중국이 87%로 1위, 홍콩이 46%로 2위를 차지함.

  - 홍콩은 지리적, 문화적, 제도적으로 프랜차이즈 기업이 진출하기 좋은 이점을 갖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앞으로의 성장이 유망한 시장으로서 많은 글로벌 기업이 눈여겨보는 곳임

 

향후 3년 유망 프랜차이즈 시장

자료원: HKTDC

 

□ 홍콩 진출 이점

 

 ○ 프랜차이즈 허브로서의 홍콩

  - 홍콩은 지리적, 문화적으로 서양과 동양을 잇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서양 브랜드는 동양으로, 동양 브랜드는 서양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고 있음.

  - 세계적인 수준의 물류·무역 산업을 기반으로 대만, 북미, 유럽, 아세안 등에 진출하기 유리하며 특히 세계 최대 시장 중국으로 가는 관문으로서 크게 주목 받고 있음.

  - 홍콩은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자 특성뿐 아니라 국제 전시 및 엑스포 등을 통한 정보 교류의 장으로서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 신제품 및 신규 서비스를 시험해볼 수 있는 쇼케이스 역할을 하고 있음.

  - 특히 프랜차이즈 같은 경우 인지도를 높이고 고객 친숙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신생기업 및 기존기업의 신제품 마케팅으로 홍콩은 최적의 장소라고 볼 수 있음.

  - 아시아 시장의 중심으로서 홍콩은 프랜차이즈 본사 입지에 적합하며, 실제로 2014년 기준 1389개의 다국적 기업이 아시아 시장을 담당하는 본사 사무실를 홍콩에 두고 있음.

 

홍콩 내 다국적 기업의 헤드쿼터 오피스 현황

연도

홍콩 내 본사

 오피스 수

다국적 기업의 기반 국가

미국

일본

영국

중국

독일

프랑스

기타

2012

1,367

333

219

122

106

86

62

439

2013

1,379

316

245

126

114

81

66

431

2014

1,389

310

240

120

119

91

68

441

자료원: 홍콩통계청

 

 ○ 중국으로의 교두보

  - HKTDC가 전 세계 150개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향후 3년 동안 유망한 프랜차이즈 시장으로서 중국이 87%로 1위를 차지함. (홍콩이 46%로 2위)

  - 현재 프랜차이즈 시장점유율은 미국 기업이 전체 시장의 6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이어서 아시아가 16%를 차지하고 있음. 그중 중국이 차지하는 부분이 8%로 아시아 프랜차이즈 시장의 반이 중국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음.

  - 해외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중국 본토로 바로 진출하기에는 사기, 지식재산권 보호 부재, 무책임한 프랜차이저 등의 문제로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할 수 있음. 홍콩은 중국 시장의 이러한 리스크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 홍콩에는 수십 년간 중국과 비즈니스 관계를 해온 업체들이 있음. 이런 업체들을 Master Franchisee로 활용한다면 중국 진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음.

   * Master Franchisee: 가맹지역본부라고도 불리움. 프랜차이저(Franchisor)가 일정액의 로열티를 받고 해당 지역 내 독점사업권을 주는 계약. Master Franchisee는 개별적인 Sub-franchisee를 아래에 둠으로써 이들을 통해 로열티를 받음. 대형 글로벌 프랜차이즈의 경우 견고하고 경험이 풍부한 현지 기업을 택하여 Master Franchisee 계약을 하는 형태를 많이 취함. 홍콩에는 예로써, Dairy Farm Group, Li & Fung Group 등이 있음.

  - HKTB(Hong Kong Tourism Board)에 따르면 2013년 홍콩으로 들어온 중국인 관광객은 1700만 명 이상이며 이는 홍콩으로 오는 여행객 전체의 약 67%를 차지하는 수임.

  - 홍콩으로 오는 중국인 관광객은 중국에 아직 들어오지 않은 브랜드를 홍콩에서 접할 뿐 아니라 직접 구매하고 체험함. 이들의 피드백을 잘 활용한다면 프랜차이즈 기업이 중국 진출 시 성공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음.

 

 ○ 통합적 서비스 제공

  - 홍콩에는 1000여 개의 다국적 기업 헤드쿼터 오피스를 서포트할 수 있는 회계·세금, 법률 자문, 자금 조달, 제품 디자인에서 자산 상담까지 양질의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는 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음.

  - 홍콩은 무관세이자 수입·수출이 자유로운 국가로 해외에서 물품조달 시 비용효율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음.

  - 중국과는 달리 지식재산권의 보호가 법으로 정해져있으며, 정부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음.

  - 이외에도 인터넷, 물류, 컨벤션센터 등 모두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스트럭쳐를 보유하고 있음.

 

 ○ 최소한의 법적 규제

  - 홍콩에서는 프랜차이즈 운영에 기준이 되는 법률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프랜차이즈 협약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는 사업자 등록, 라이선싱, 지식재산권 보호법 등 일반적인 법률에 의거해 처리됨.

  - 외환 거래 규제, 독점금지법, 외국인 자본 참여 혹은 내국인 경영 참여 등의 규제가 없음.

 

 

자료원: KOTRA 홍콩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홍콩의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승부수 던져 볼 만 (1편, 시장개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