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5년 UAE 시장, 무엇이 바뀌나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하얀
  • 2014-12-30
  • 출처 : KOTRA

 

2015년 UAE 시장, 무엇이 바뀌나

- 관광, 무역 인프라 건설 등 비석유부문 중심으로 성장 지속전망 -

- 2015년 정부예산, 교육, 의료, 인프라, 정부서비스 개선에 집중 -

 

 

 

□ 2015년 UAE 경제전망

 

 ○ UAE의 2015년 경제성장률은 건설, 부동산, 제조업, 금융 &보험 등 비석유부문의 성장으로 4%대 상승이 전망됨.

  - 시리아 내전, 이집트·리비아·튀지니 등의 정치적 불안 등 인근 지역의 긴장이 장기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UAE로의 진출 기업, 외국자본 유입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

  - 비석유 부문의 성장, 석유 생산량 소폭 증가, 투자 확대 등과 함께 실질 GDP 성장률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까지 평균 4%대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소비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유가하락이 예상되면서 재정 흑자는 줄어들 것으로 전망

  - 물가상승률은 치솟는 주택비용, 내수시장 수요 증가, 기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2019년까지 평균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14년 초 유가 전망치는 배럴 당 100달러 선이었으나 85달러까지 떨어지면서 중동 주요 석유생산 국가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됨.

 

주요 조사기관에서 바라보는 UAE 경제 통계

기관

구분

단위

2012

2013

2014*

2015**

EIU

GDP(실질) 성장률

%

4.7

5.2

4.5

4.3

GDP(명목)

US$ 십억

372.3

402.2

423.3

450.5

1인당 GDP

US$

69,267*

69,769*

69,756

70,073

소비자 물가

%

0.7

1.1

2.4

2.9

인구

백만 명

7.5*

7.9*

8.4

8.9

IMF

GDP(실질) 성장률

%

4.7

5.2

4.7

4.5

GDP(명목)

US$ 십억

372

402

422

462

1인당 GDP

US$

43,774

43,876

44,330

44,885

소비자 물가

%

0.7

1.1

2.5

2.8

인구

백만 명

8.8

9.0

9.3

9.6

Emirates

NBD

GDP(실질) 성장률

%

4.7

5.2

5.0**

4.8

GDP(명목)

US$ 십억

372.6

402.6

424.6**

452.8

1인당 GDP

US$

N/A

N/A

N/A

N/A

소비자 물가

%

0.7

1.1

3.0**

3.5

인구

백만 명

N/A

N/A

N/A

N/A

주: * 추정치, ** 전망치

자료원: EIU, IMF, Emirates NBD

 

□ 주요 비즈니스 환경 변화

 

 ○ 기업 친화적인 비즈니스 환경 및 법률 제도 유지 전망

  - World Bank가 189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비즈니스 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UAE는 2015년 비즈니스 환경이 용이한 국가 22위(2014년 23위 기록)를 차지했으며, Paying Taxes 분야에서는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음.

  - UAE는 세금 지불 관련 행정절차 및 소요시간이 타 국가대비 현저히 낮으며(UAE 12시간, MENA 평균 200시간), 연간 세금 지불 횟수가 2011년 14회에서 2012년 4회로 줄어들면서 1위에 올랐으며, 이후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GCC 국가 부가가치세(VAT) 도입 잠정 연기

  - UAE를 포함한 GCC 국가는 이익증대와 공공서비스 투자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부가가치세(VAT)를 도입할 예정이라는 발표가 있었으나, 아랍의 봄 및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잠정 연기됐음.

  - UAE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관계자는 2015년 내에 부가가치세 도입 일자를 논의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나, 부가가치세의 도입은 UAE뿐 아니라 GCC 차원에서 시행할 예정으로 정확한 도입시기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임.

  - 한편, 아부다비 은행(National Bank of Abu Dhabi)은 부가가치세가 도입되더라도 식품이나 의약품 등 주요 생필품은 제외될 것이라고 전망했음.

 

 ○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신규 파산법, 초안 검토단계 돌입

  - 2008년 두바이 경제위기 이후 2009년부터 신규 파산법 개정작업이 시작됐으나, 모델 선정에 난항을 겪으면서 개정이 계속 연기됐음.

  - 현재 UAE 법무부(Ministry of Justice)는 UAE 연방 평의회(Federal National Council)와 대통령 승인을 위한 신규 파산법 초안을 검토 중으로 알려짐.

  - 기존 기업파산법은 구조조정을 통해 기업 회생의 기회를 주기보다는 형사처벌에 집중돼 이러한 조치가 기업활동과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파산법 재정이 추진됐음. 향후 법 개정 시 제도 개선의 파급효과로 투자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 신규 중소기업법 제정

  - 2014년 4월 UAE 정부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법을 마련했음.

  - 중소기업법에 의하면 SME 프로그램에 등록돼있고, UAE 국적자가 100% 소유한 기업만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이미 주요 금융권에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상품을 개발, 지원을 시작했음.

  - 신규 중소기업법은 UAE 중소기업에만 해당하는 사항이긴 하나, 현지인이 기업 설립 및 운영확장 고려 시 여러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한국 기업에도 기회로 작용할 것임.

 

 ○ 2015년은 'UAE 혁신(Innovation)의 해'

  - UAE 내각은 2015년을 '혁신의 해'로 선언했음. 이는 2014년 10월 론칭한 ‘국가혁신전략(National Innovation Strategy)’, UAE를 2021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UAE의 전략에 의거함.

  - 국가혁신전략은 재생에너지, 운송, 교육, 의료, 테크놀러지, 물, 우주 등 7가지 분야에 집중돼 있으며, 이 전략 실행의 첫 단계로 30개의 이니셔티브가 3년간 실행될 예정임.(2014년 12월 기준, 세부사항은 발표되지 않았음.)

  - 현재 UAE 정부에서 ‘혁신’ 분야에 지출하는 금액은 연간 140억 디르함(이 중 70억 디르함이 연구와 개발분야에 사용됨)이며, 2021년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투자가 계속 증가할 전망임.(주: USD1=AED3.67)

 

□ 유망산업분야

 

 ○ UAE 정부는 2015년 정부 예산을 2014년보다 6.3% 증가한 491억 디르함(134억 달러)을 책정하는 예산집행 초안을 발표했으며, 예산의 49%는 서비스 프로젝트, 사회발전 및 이익창출 부분, 41%는 정부 부처에 투입될 전망임.

  - 서비스 프로젝트, 사회발전 및 이익창출 부분은 교육, 의료, 인프라 구축, 정부서비스 개선 등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정부의 예산편성은 UAE 비전 2021을 달성하기 위한 조치임.

  - UAE는 정부 예산을 중심으로 산업의 동향이 결정되는 만큼, 정부 예산이 대거 투입되는 의료산업, 인프라 구축 및 건설산업의 전망이 밝음.

 

 ○ 의료

  - UAE는 의료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정책 및 비용 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어 의료기관 및 의료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 연방 보건부의 2014년 예산은 37억 디르함 이며, 이 중 18억 디르함은 11개의 병원프로젝트(병원, 클리닉, 진단센터)에 배정됐음.

  - 신규 의료기관의 증대 및 높은 인구유입과 함께 의료기기 시장 또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아직까지 한국산 의료기기의 인지도는 미약하나, 앞서 진출한 우리들병원, 그리고 서울대병원의 아부다비 왕립병원 위탁운영 등으로 한국 의료기술의 인지도 향상이 기대됨.

 

 ○ 인프라 및 건설

  - 2013년부터 이어진 두바이의 건설경기 회복 및 2020년 두바이 엑스포 유치로 부동산개발 및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이 활발함.

  -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중심으로 주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관광산업 성장에 따른 상업지구의 수요도 증가하면서 건설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음. 건설시장은 UAE 전체 GDP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프로젝트 전문조사기관 MEED에 따르면, UAE 프로젝트 시장은 2012년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음. 2014년 11월 기준, 진행 중이거나 계획중인 프로젝트는 8036억6800만 달러 규모로 전년대비 13.5% 증가함.

 

GCC 국가의 프로젝트 규모

(단위: US$ 십억)

주: 상기 프로젝트 규모는 이미 진행 중이거나 계획중인 프로젝트의 내역임.

자료원: MEED

 

□ 시사점

 

 ○ UAE는 민간부문 및 비석유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고부가가치산업 육성정책을 가속화할 전망

  - 2015년에는 국가혁신전략에 따라 재생에너지, 운송, 교육, 의료, 테크놀러지, 물, 우주 등 7가지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예산이 투입되는 바, 상기 산업분야에 대한 한국 기업의 관심이 요구됨.

  - 또한 2020년 엑스포 준비로 각종 프로젝트가 계획 또는 진행 중이므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기자재 납품 등 프로젝트 참여기회를 모색해야 함.

 

 ○ UAE는 기업 친화적인 비즈니스 환경 및 법률 제도를 구축했으며, 인근국가 대비 안정적인 정치와 경제사회가 부각되면서 지역 내 허브로 자리매김했음.

  - UAE는 투자진출의 최적지로 손꼽히며,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중동지역본부로 선택, 진출했음.

  - 더군다나 주요 프로젝트 수행, 정부사업 참여 시에는 UAE의 트레이드 라이선스 보유 여부, 프로젝트 참여 경력 등 현지에서 얼마나 경력을 쌓았는지가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UAE 진출을 결심하는 업체는 물론 투자진출 문의가 증가했음.

  - UAE 및 GCC 등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 기업은, UAE를 중동 본부로 삼아 진출을 시도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함.

 

 

자료원: UAE Interact, World Bank, Gulf News, BMI, EIU, IMF, Emirates NBD, Arabian Business, MEED,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5년 UAE 시장, 무엇이 바뀌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