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 한국제품 인지도 상승 중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14-11-13
  • 출처 : KOTRA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 한국제품 인지도 상승 중

- 수출은 미미, 값싼 중국제품 수입량 1위 -

- 틈새시장 노려 성장하는 한국 및 일본제품 -

 

 

 

□ 시장 현황 및 추세

 

 ○ 경제위기 이후 시장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은 2008년 크레인트럭 시장규모의 80% 수준에 머물러 있음. 2013년 크레인트럭 시장규모는 양적으로 2012년에 비해 1.7% 증가했으나, 금전적으로는 4% 감소함.

 

2011~2013년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의 금전적 및 양적 시장규모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에는 SKD방식(반조립 생산방식)으로 생산하는 업체를 포함, 현지 생산업체가 주도권을 쥐고 있음.

 

 러시아 크레인시장에서는 유압식 크레인트럭이 전체 크레인시장(고정식 타워크레인 포함)의 80%를 차지하고 있음.

 

 2013년 크레인트럭의 생산규모는 2012년에 비해 양적으로 3% 증가함.

 

2011~2013년 러시아에서 생산된 크레인트럭의 총대수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추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2014년 상반기에는 2013년 상반기보다 모든 종류의 크레인트럭 생산량이 27% 감소했음.

 

 또한 경기침체와 어려운 대외 정치적 상황(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러시아 기업이 2013년만큼의 생산량에 도달할 수 있을지 염려되는 상황임.

 

 러시아 크레인트럭 업체 중에는 Ivanovskaya marka사와 Kudesnik사가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 두 기업의 점유율은 러시아 전체 크레인시장의 90%임.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많으며 인기있는 크레인트럭은 하역능력 25톤의 트럭으로, 현지 업체의 생산량 중 75%를 차지하며 하역능력 16톤급의 크레인트럭이 차지하는 비중은 12%임.

 

 대부분의 업체는 하역능력 25톤의 크레인트럭을 자사의 생산품목 중 하나로 가지고 있어 해당제품에 대한 판매경쟁이 치열함.

 

2013 러시아 크레인트럭 업체의 하역능력에 따른 제품 생산구조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 현재 러시아 크레인트럭 생산업체에 가장 중요한 화두는 러시아 법규에 맞는 사이즈와 무게, 적정 적재능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하는 것임. 이는 2014년 1월 9일 개정된 도로화물운송법 때문임.(이 법규는 과적으로 인한 도로파손을 막기 위해 2015년 1월 1일부로 시행될 예정임.)

 

 현재 크레인의 무게, 축 방향 하중 및 치수의 과부하로 인해 오직 15%의 크레인만이 화물 운송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업체는 크레인트럭 구매뿐만 아니라 과부하에 대한 벌금도 지불하고 있음.

 

교통수단별 적재량

            (단위: 톤)

운송수단 종류

허용 적재량

Single cars

two-axle vehicle

18

three-axle vehicle

25

four-axle vehicle

32

five-axle vehicle

35

Road-trains

three-axle

28

four-axle

36

five-axle

40

six- axle and more

44

자료원: Consultant Plus

 

□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 수입현황

 

 모든 크레인트럭을 표준 섀시에 기초해 생산하는 내수 업체와 달리, 수입산 크레인트럭은 특별 섀시, 짧은 베이스라인 섀시에 의해 생산됨.

 

 2013년 수입 규모는 2012년에 비해 양적으로 6%, 금전적으로 10% 감소했음.

 

 2014년 1~4월에는 2013년 총수입된 크레인트럭의 3분의 1이 수입돼 2014년 총수입량도 2013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됨.

 

 2011~2014년 중국 및 독일산 크레인트럭의 점유율은 80% 이상이며 중국, 독일 다음으로 러시아 내 수입량이 많은 나라는 일본으로, 일본의 점유율은 양적으로 2010~2013년 6~13% 정도임.

 

 중국산 크레인트럭이 독일산 수입에 영향을 미쳐 독일의 수입점유율은 2010년 50%에서 2013년 20%가 된 반면 중국은 20%에서 60~70%가 됨.

 

 금전적인 규모에서는 독일이 2010~2011년 약 80%, 2012~2013년 약 65%로 1위를 차지함. 반면 중국은 각각 3~5%, 13~17%로 금전적인 면에서는 점유율이 낮음.

 

2011~2013년 수입산 크레인트럭의 양적 및 금전적 규모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각국에 대한 러시아의 크레인트럭 양적 수입량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각국에 대한 러시아의 크레인트럭 금전적 수입량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2013년 중국 XCMG사의 총수입규모는 2012년 44%에서 28%로 줄었음. 이 외의 중국업체 ZOOMLION사의 입지는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SANY사는 2012년 1%의 미미한 점유율에서 2013년 11%로 놀라운 성장을 함. 독일 LEBHERR사는 2011년 40%에서 2013년 12%의 점유율을 보이며 러시아 수입시장에서의 입지가 내려갔지만 여전히 금전적인 규모로는 1위를 차지함.

 

 수입산 크레인트럭 중에서는 25~50톤 하역능력의 트럭이 가장 수요가 많으며 전체 수입산 크레인트럭 수의 70%를 차지함. 90톤 이상의 하역능력을 가진 수입산 크레인트럭의 점유율은 12%이며, 이 분야에서는 해외업체와 경쟁할만한 러시아 업체가 없는 상태임.

 

2013년 러시아 내 수입산 크레인트럭 업체별 수입량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2013년 러시아 내 수입산 크레인트럭 업체별 금전적 수입규모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 수출현황

 

 러시아 크레인트럭의 수출량은 극미함. 2013년 수출량은 2012년과 같았으며 카자흐스탄에 비교적 많은 양을 수출하고 있다고 해도 2012~2013년 수출량은 연간 전체 생산량의 3%밖에 못 미침.

 

 수출 크레인트럭의 57%는 25톤의 하역능력이 있으며 하역능력 16톤, 32톤의 트럭이 각각 수출량의 15%씩을 차지함.

 

 ○ 주요 수출국은 CIS지역으로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그리고 투르크메니스탄임.

 

□ 떠오르는 한국 및 일본 제품

 

 

 ○ 중소형 물품 운반 및 하역에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중소형 물품에 알맞은 유압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가 유망품목으로 떠오름.

 

 ○ 2013년부터 러시아 내 한국 및 일본의 유압 매니퓰레이터 판매시장은 유럽국가에 비해 빠르게 성장함.

 

 ○ 하역능력은 낮으나(3.5~12톤) 내구성이 좋고 간편한 일본의 유압 매니퓰레이터와 하역능력 12톤 이상급의 강력한 한국산 제품이 러시아 섀시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임.

 

 한국산 매니퓰레이터 중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차체규모에 비해 높은 하역능력을 가진 현대, 대우, 기아, 수산 그리고 광림 기업의 제품임.

 

 

자료원: Stroydormash magazine № 18, 2014, Printed edition, consultant+(http://www.consultant.ru)News concerning Russian roads and cars on it (http://steer.ru/archives/),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크레인트럭시장, 한국제품 인지도 상승 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