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신도시화 프로젝트 포럼(Session 1)
  • 현장·인터뷰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4-10-08
  • 출처 : KOTRA

 

중국 신도시화 프로젝트 포럼(Session 1)

 

 

 

□ 개최 개요

 

 ○ 일시 및 지역: 2014년 9월 19일, 16:00~18:00 중국 다롄

 

 ○ 주최: KOTRA 다롄무역관

 

 ○ 주제: 중국 신도시화정책과 협력 기회

 

 ○ 연사: 베이징건축대학 환경공학과 임상호 교수, 다롄금발해안경제구 관리위원회 공영택 부주임, 삼성SDS 중국법인 류짠짜오() 총감

 

 ○ Session별 주제

  - Session 1: 중국 신도시화 정책과 협력기회(임상호 교수)

  - Session 2: 다롄금발해안 경제구 소개(공영택 부주임)

  - Session 3: Samsung SDS Smart Answer for 2020 Smart City

 

□ Session 1 중국 신도시화정책과 협력기회 상세 내용(임상호 교수)

 

 ○ 중국은 2013년말 기준, GDP 8조9300억 달러로 경제규모 세계 2위를 차지함. 무역은 3조8700억 달러로 교역 규모 면에서 역시 세계 2위를 차지함. 외국인투자유치(FDI) 1117억 달러로 세계 2위이며 외환보유고 3조3100억 달러로 세계 1위를 차지함.

 

 ○ 한국 기업 투자현황: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2002년부터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제1 투자국가로 부상함. 현재 한국의 중국 내 제1위 투자국가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음.

 

 ○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동향: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단일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규모가 작음. 중소 기업위주의 투자로 광범위한 산업에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집중 투자 분야로는 전자와 통신설비, 제조업이 가장 많은 투자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한국 투자기업의 특징으로 또한 상품의 핵심기술 및 주요 부품의 공급처, 상품의 판로가 모두 모회사에 의해 장악되고 있음.

 

 ○ 중국의 관련 정책 변화: 끊임없이 변화하는 국가 및 지방의 다양한 정책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함. 현재 중국에는 5대 경제정책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① 양적 위주의 성장→질적 균형 발전

    ② 수출촉진 및 투자유치→내수활성화 및 소비 촉진

    ③ 전통산업 발전 한계 직면→산업 구조조정 및 업그레이드

    ④ 연안도시 집중 발전→내륙 발전 촉진 및 농촌의 도시화

    ⑤ 국유기업 중심의 발전→민간경제 촉진

 

 ○ 예상되는 주요 정책 및 경제 변화

    ① 안정적 통화 정책기조에서 더 나아가 금리가 자유화되고 세제가 개혁될 것으로 예측

    ② 적극적 재정정책은 민생을 개선하고 사회 복지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전환 예정

    ③ 국유기업 개혁에서 더 나아가 중앙정부 국영 기업의 독점 구조 완화 정책 예상

    ④ 정부 기관 개편에서 더 나아가 정부 기관 구조조정 및 합병 등의 조치를 통해 기관 간 기능이 중복되고 처리 절차가 중복되거나 관리자가 중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됨.

    ⑤ 위안화 환율제도 개혁을 통해 국제화를 가속화 하고 경제성장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

    ⑥ 선부국론은 사실상 폐기됐으며 기러기 편대형 도시화 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

    ⑦ 산업정책 강화 및 정비에서 더 나아가 산업 업그레이드 정책이 추진될 예정

 

신도시화 프로젝트 예상혜택 지역도

자료원: 베이징건축대학

 

정책 방향과 예상 핵심과제

자료원: 베이징건축대학

 

 ○ 산업 분야별 성장 잠재력

  - 보안 산업은 연간 20% 성장률이 예상되며 2015년에 5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스마트시티 분야 관련, IDC(Internet Data Center) 건설이 촉진되고 전자정부 및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등이 확충될 것으로 전망됨.

  - 의료 산업 관련 성인병 등 도시질환 급증에 따라 발전 잠재력이 크며 대외 의료 서비스 개방 정도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교통인프라 관련 이미 중국은 고속철도 확충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향후 10년 동안 발전에 있어서 황금시기가 지속될 전망

  - 문화미디어 산업 관련, 교육의 균등화 및 다양한 교육콘텐츠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프랜차이즈 등 외식산업 발전 잠재력도 큼. 한국의 외식, 프랜차이즈 성공사례로는 파리바게트, 뚜레주르 등이 있음. 환경에너지 산업 분야 관련, 특화된 분야의 성장 잠재력이 큼. 즉, 기존의 환경기업 중 1/3은 소멸되고 정책변화와 빠른 변화에 적응하고 특화된 분야의 기업이 생존하거나 새로 생길 것으로 예상됨. 또한 중국 국내 소비시장 활성화로 쇼핑몰(인터넷 쇼핑 포함)이 활성화 되고 소비재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전문인력 확보: 중국 신도시화 관련 한중 협력을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전략이 필요함.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의 인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중국의 70년대 출생 세대는 조직을 위한 희생을 아끼지 않았으며 야근이 필요한 경우 마다하지 않았음. 80년대 생은 근무시간 준수가 철저해 가급적 야근하지 않으며 정시퇴근이 일반화 돼 있음. 대부분 각 가정의 독자로 조직을 위한 희생 정신이 전 세대 보다 약함. 90년대 생은 급여의 많고 적음보다 미래 발전 잠재력과 성장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함. 때문에 이전의 저임금 시대는 지나갔으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업의 투자가 필요하며 최고의 기술, 최고의 능력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확보해야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 기업 성공 사례

  1) 베이징에 진출한 한국의 자동차 부품 업체인 A사는 베이징 현대자동차 설립에 따라 동반진출 및 성장한 한국 중견기업임. A사는 한중 양측의 입장에서 볼 때 모두 성공한 사례임. 그러나 최근 베이징의 에너지 사용 관련 법규가 엄격해 짐에 따라 에너지 소모가 큰 기업은 정부 제재를 받기 시작함. 엄격한 법 적용으로 기업의 문제 발생 시 중국 정부는 법규대로 처리하고 있음. A사는 베이징의 엄격한 에너지 정책에 따라 부지를 이전해 산둥지역으로 이동을 고려했으며 산둥에 투자를 진행함. 기존의 베이징 부지는 더 이상 확충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함. 현지의 직원 채용 구도도 변함. 기존에 현지 관리자는 대부분 한국인이었지만 최근 관리자가 중국인으로 바뀌고 있음. 또한 현대, 기아자동차 납품 이외에도 판로개척을 하고 있음. 이는 향후에도 현지투자진출 한국기업이 반드시 한국업체 부품을 구매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현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판로를 개척하는 것으로 현지 정책 변화 및 경영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으로 평가됨.

 

 2) 중국에 진출한 환경기업 B사는 중국에 거는 기대가 큼. 중국은 농촌 발전 정책을 곧 발표할 예정이며 관련 정부 투자 예산은 2천억 위안 가량으로 예측되고 있음. 현재까지 중국의 농촌지역은 하수처리 시설이 없지만 현재 정부는 농촌하수처리 정책을 검토하고 있음. 중국 정부의 정책 발표 전에 대처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또한 현지 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뛰어난 기술만 보유해서는 안되며 능력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 선정이 중요함. 외자기업의 현지 진출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의 신뢰이며 사업 진척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는 가장 주된 이유는 신뢰에 있음. 일부 외자 기업은 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로 중국 진출을 망설이고 있으나 기술은 정체돼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시간에 따라 흘러가는 것이며 중국의 거대 시장을 고려할 때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 낫다는 의견임. 기업의 정체성을 가지고 현지 업체와 협력해서 10년만 이익을 내도 성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연사 맺음말

  - 중국은 폐기물 관련 베이징 신도시, 시 중심 지역을 중심으로 폐기물 분리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한국과 같은 쓰레기 분리수거 정책을 검토하고 있음. 베이징은 쓰레기 매립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4년 후 매립장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다만 관련 시장의 성장 속도는 향후 정책 방향 및 시행 정도에 따라 상황 파악이 필요함.

 

 

자료원: 2014 중국 다롄 신도시화 포럼, 베이징건축대학, KOTRA 다롄무역관

 

※ 해당 정보는 2014년 중국 신도시화 포럼의 내용으로 KOTRA의 공식의견이 아님을 안내합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신도시화 프로젝트 포럼(Session 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