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토양정화시장, 13조 원 규모의 블루오션으로 급부상!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14-08-29
  • 출처 : KOTRA
Keyword #토양정화

 

중국 토양정화시장, 13조 원 규모의 블루오션으로 급부상!

- 중국 정부, 2015년까지 13조 원 투자해 토양복원 프로젝트 실시 -

- 협소한 내수시장에 해외로 눈 돌리던 한국 업체, 잇따라 중국시장으로 진출 -

 

 

 

 

 

□ 시장 성장배경 및 현황

 

 ○ 심각한 중국 토양오염문제

  - 중국은 희토류, 석탄 등의 광산개발, 산업폐기물과 중금속 폐수 무단 투기 등으로 토양의 상당 부분이 오염돼 있어 집단 납중독, 집단 피부병 발병 등의 환경사고가 자주 일어남.

  - 중국은 40여 년 전부터 대기오염과 수질오염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정화사업을 펼쳐왔지만 토양오염문제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함.

  - 중국의 토양오염으로 인해 매년 1200만 톤의 곡식이 오염되며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200억 위안(약 3조2536억 원)에 달함.

 

 ○ 중국 정부의 관리 및 규제심화

  - 최근 중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실시해 토양 정화산업을 육성함. 국무원 판공청이 발표한 ‘토양환경보호와 종합관리 공작계획’에 따르면 중국 중앙정부는 2015년까지 중국 전역의 토지 환경상황을 파악해 오염 확산을 방지하고, 2020년까지 국가토양환경보호시스템을 구축해 전반적으로 토양 환경을 개선할 방침임.

  - 중국 환경보호부와 국토자원부는 토양오염문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 2005~2013년까지 10억 위안을 들여 경작지, 산림, 초지, 건설부지 등 630만m²의 토지를 조사함.

  - 2011년 3월 발표된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발전 제12차 5개년 계획 개요’에 따라 2013년부터 토지오염 기업에 대한 환경세를 대폭 인상했으며, 2011년 5월부터는 환경오염 가해자에게 형법을 적용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토지오염을 규제함.

  - 2005년부터는 베이징(北京), 충칭(重慶), 광저우(广州), 상하이(上海) 등의 대도시에 위치한 오염물질 배출시설을 타 지역으로 이전시킴.

 

지역별 오염물질 배출시설 이전계획

 

 ○ 중국 토지오염 현황

  - 도시화와 공업화가 단기간 내에 이뤄지면서 토양오염이 심화돼 현재 중국은 세계에서 토양오염이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힘.

  - 토양오염이 특히 심각한 주강 삼각주 지역에서 재배된 쌀의 경우 44.44%가 기준치 이상의 카드뮴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남.

  - 중국 제4차 환경보호산업 조사(中國第四次保産業調査)에 따르면 중국의 환경정화사업 중 토양정화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지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선진국(30%)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남.

  - 2014년 중국 정부에서 발표한 '전국토양오염상황 조사공보'에 따르면 중국 토양오염 비율은 총 16.1%로 집계됨. '전국토양오염상황 조사공보'는 오염단계에 따라 경미(輕微), 경도(輕度), 중도(中度), 중도(重度)로 구분했는데, 그 비율은 각각 11.2%, 2.3%, 1.5%, 1.1%였음.

 

중국 토양오염단계 및 비율

자료원: 중국 환경보호부(中國保部)

 

 - 오염 유형별로는 무기형 오염이 82.8%로 가장 많았고, 유기형 오염과 복합형 오염 순임. 무기형 오염물은 카드뮴(7%), 니켈(4.8%), 비소(2.7%), 구리(2.1%), 수은(1.6%), 납(1.5%) , 크롬(1.1%), 아연(0.9%) 등 8가지 물질 순으로 많았으며 육염화벤젠(BHC), DDT,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유기 오염물의 비율은 각각 0.5%, 1.9%, 1.4%를 차지했음.

 - 토지 용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경작지의 오염비율이 19.4%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지와 산림의 오염비율이 각각 10.4%와 10%로 뒤를 이음.

 - 오염 토양의 유형으로는 기업 부지가 26%로 가장 많았고 석유 채굴지(23%), 공업단지(23%), 채광지(11%), 오수 관개지(7%), 도로 주변(7%), 기타(3%) 순이었음.

 

중국 오염토양 유형 및 비율

 

자료원: KOTRA 우한 무역관 자체조사

 

 ○ 시장 전망

  - 중국 산업정보망(中國産業信息)의 예측에 따르면, 2020년에는 중국 토양정화시장 규모가 2199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2014~2020년 중국 토양정화시장 예상 규모

자료원: 중국통계국(中國統計局), 중국산업정보망(中國産業信息)

 

  - 북경(北京), 상해(上海), 충칭(重慶), 광저우(广州) 등의 경우 오염물질 배출시설을 타 지역으로 이전시키고 있음. 오염물질 배출시설 이전이 완료되면 숨겨져 있던 오염토양이 추가로 드러날 것으로 보임.

  - 특히 오염물질 배출시설 이전이 가속화되는 상해(上海), 장쑤(江蘇) 성, 저장(浙江) 성 등 장강 삼각지구와 대도시 지역의 토양정화 수요가 증가함.

  - 북경(北京)의 경우 오염물질 배출시설 이전 이후 발견되는 오염토양으로 인해 앞으로 300억 위안 규모의 토양정화시장이 생성될 것으로 예측됨.

 

□ 중국 토양정화시장 경쟁동향 및 외국 기업 진출 프로세스

 

 ○ 중국 기업 경쟁동향

  - 2012년 한 해 동안 50여 개의 현지 토양정화업체가 설립됐으며 청화대 등 중국 유명 대학도 잇따라 관련 분야 연구에 나섬.

  - 2013년~2014년 4월까지 15개월 동안 1000여 개에 달하는 정화업체가 중국토양정화시장에 출범함.

  - 중국 현지 토양정화업체의 경우 그 수가 많기는 하지만 정화기술이 비교적 낮은 편임.

  -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BCEER(北京建工境修有限公司), Bio-Form(北京瑞美德境修工程有限公司) 등이 있음.

 

 ○ 외자 기업 경쟁동향

  - ERM(영국), DHV(네덜란드) 등의 외자 기업도 중국 토양시장에 진출해 있음.

  - 외자 기업의 경우 기술력이 비교적 높고 실전 경험 또한 풍부함.

 

 ○ 한국 기업 경쟁동향

  - 현재 SK, 코엔 바이오 등의 한국 토양정화업체도 중국 토양정화시장에 진출해 있음.

  - 국내 업체인 ‘코엔 바이오’는 2011년 중국 헤이룽장(黑龍江) 성 환경보호고신기술보급센터와 75억 원 규모의 환경정화 미생물제품’ 판매계약을 체결해 중국에 환경정화미생물을 수출함.

  - 2012년 5월 개최된 ‘한·중 기술이전대회’에 참가한 어스그린 코리아는 6개 중국 기업으로부터 사업제안을 받았으며 그중 중국 지린금성녹화시설유한책임공사(吉林綠化有限責任公司)와 진출 계약을 맺음.

  - 2012년 SK는 수처리, 폐기물, 토양정화, 대기 등 환경산업에서 우수 기술을 보유한 21개 업체에 사업역량 및 해외시장 노하우, 중소기업의 기술,서비스 외에도 정부의 해외현지 파트너 발굴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토양정화시장 진출을 도움.

 

중국 토양정화시장 주요 기업 및 특징

 

 ○ 진출 프로세스

  - 토양정화시장의 경우 주로 프로젝트 형태로 발주가 이뤄지며, 입찰 참가자격 사전심사에 통과하면 수주경쟁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식임.

  - 한국 기업이 중국 토양정화시장에 진입하는 경우, 주로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기술 제공이나 기자재 등을 납품하는 형태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음.

 

□ 진출 참고사항 및 시사점

 

 ○ 주요 진출 애로사항

  - 중국 내 토양정화 관련 법규 및 정화표준이 현재까지는 미비한 상황이므로 한국 기업 진출 시 기술 적용과 가격책정에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음.

  - 중국 현지 업체와의 가격경쟁과 외자 기업과의 기술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토양정화업체의 경우 73%가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중국 환경시장 정보 및 발주처 발굴 등의 어려움이 있음.

 

 ○ 진출 참고사항

  - 중국 현지 토양산업의 특성과 중국 정부가 추구하는 정책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

  - KOTRA,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제공하는 시장조사 및 프로젝트 발굴, 주요 발주처와의 네트워크 구축, 기술 사업화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함.

 

 

자료원: 중국 환경보호부(中國保部), 중국통계국(中國統計局), 중국산업정보망(中國産業信息) , KOTRA 우한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토양정화시장, 13조 원 규모의 블루오션으로 급부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