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로코, 더디지만 착실한 성장세 기록
  • 경제·무역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김선기
  • 2014-03-13
  • 출처 : KOTRA

 

모로코, 더디지만 착실한 성장세 기록

- 인근국 대비 정치 안정 속 착실한 성장을 이룰 듯 -

 

 

 

  모로코는 2013년 3월부터 EU와 자유무역지대 창설 토론을 시작한 이래 2014년에는 새로운 경제협정 체결에 이르기를 기대하고 있음. 2011년부터 준회원국에 버금가는 혜택을 보는 모로코는 이번 협정을 통해 EU의 준 멤버로 발돋움하기를 강하게 소망하고 있음.

 

  사하라 분쟁으로 인해 1994년부터 지속적으로 긴장을 유발하고 있는 모로코-알제리 간의 국경 단절 문제는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계속해서 신경전을 벌일 전망

 

  유럽금융 위기와 가뭄으로 인해 2012년 경제성장률이 2.7%로 둔감된 것에 비해 농업분야의 좋은 성과와 5%대의 내수시장 성장 덕분에 2013년에는 5.1%로 다시 회복함. 국제 시세에 몇몇 유류제품의 가격을 연동시킨 정부 결정과 이에 따른 파급효과로 인플레이션은 2.3%로 상승

 

 

  아직까지는 파급효과가 크지 않지만 기 가결된 사회보장제도의 개혁조치에 따라 고급휘발유, 경유, 밀가루, 설탕과 같은 일반소비재에 보조금이 계속 지급되고, 이는 국가재정에 더욱 과중한 부담을 지울 것으로 관측

 

  2012년, 보조금은 50억 유로에 육박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며 이 지출이 없었다면, 2012년 재정적자는 국내총생산의 1% 미만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함. 모로코 중앙은행에 의하면 2013년 재정적자는 5.5%로 공식 발표되고 있음.

 

  2013년 48억 달러가 유류값에 대한 보상금으로 지급됨. 유일한 방안으로 제시된 가격 인상정책을 정부가 고려해야 할 시점에 도달함. 모로코 통계청에 따르면 석유가격 보조금 축소로 정부재정을 개선할 수 있지만, 국내 물가상승과 내수감소에 따라 결국 국내총생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

 

  보조금 딜레마는 계속해서 모로코 정부를 압박할 것으로 보이며, 62억 달러의 자금지원을 발표한 IMF가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이 지원금은 IMF 가이드라인에 의해 가장 적합한 사회지출 분야와 투자가 필요한 지역에 우선 투입될 예정임.

 

  한편, 모로코는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의 42%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재생가능에너지 자발적 투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음.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현재 에너지소비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수입 석유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는 데 있음.

 

  2002~2012년까지 약 10년 동안 6번의 시추가 있었으나, 2014~2015년에는 12번에 달하는 계획이 예정되어 있어 석유 및 가스탐사를 위한 노력이 다시 활력을 찾을 것으로 보임. 과거에는 실망스러웠던 모로코 석유·가스분야에 BP, Chevron와 주니어급의 여러 회사가 이번 투자에 가담함으로써 희망의 불씨를 살릴 것으로 보임.

 

 

  2014년 예산안은 4.2%의 예상성장률과 4.9%의 예상적자와 더불어 대외계정과 예산적자 관리를 목적으로 상정됨. 다행히 모로코의 국가 신인도는 저하되지 않고 있으나 수출은 여전히 수입의 50%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의 수출전략산업 육성이 시급한 상태

 

  현재 Standard &Poor’s는 신용등급을 BBB-로 평가하는데, 이는 모로코가 유망 신흥국의 지위를 보유하지만, 채권시장에 들어가기 위해선 꽤 많은 비용을 치러야 함을 나타내는 것임.

 

  수출에서는 항공분야와 자동차분야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룸. 모로코 외환청에 따르면, 차량 수출은 총 7억1000만 유로를 기록함. 이는 2012년 2월에 착공식을 갖고, 2013년 9월에 탕헤르 Melloussa의 자동차공장에서 10만 번째 자동차를 생산해 낸 르노와 같은 세계적인 대기업의 모로코 진출과 관련 있음. 그러나 전체 무역적자는 국내총생산 20%에 가까운 130억 유로에 달하는 실정

 

  현재 모로코 정부는 재정 강화를 위해 부가가치세 개혁과 대규모 농산물수출을 위한 세금면제를 계획하고 있으며 은퇴시스템 개혁 또한 도마위에 올라있음.

 

□ 시사점

 

  '아랍의 봄' 사태와 리비아 공관 미 대사관 폭탄테러, 알라신 모독 영화 등으로 중동 전역에 반미, 반서방 정서가 고조된 바 있으나 모로코는 2012년 개각 이후 정치적 안정을 빠르게 찾아감.

 

  국왕인 모하메드 VI세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미국(2013년 11월), 아부다비 방문(2013년 10월), 아프리카 3개국 순방(세네갈, 코트디부아르, 가봉 2013년 3월) 등을 통해 투자유치와 경제협력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음.

 

  2012년 8월 IMF는 유로존 위기 등 외부충격으로부터 모로코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62억 달러(약 7조 원)의 예방적 유동성 자금(PLL)을 지원한 바 있으며 2013년 8월 3일 IMF 이사회는 동 조치를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

 

  모로코 정부는 IMF의 예방적 유동성 자금 지원으로 외부충격에 대비한 보호장치를 갖게 됐으며, 신속하고 폭넓은 경제성장을 위한 내부개혁을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됨.

 

  IMF와 World Bank 등 국제경제기구는 모로코 경제성장률을 4%대로 예상. 모로코 주요 수출품인 인광석 수출, 항공산업 및 자동차산업의 성장, 외국인투자 급증, 관광산업의 부활이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됨.

 

 ○ 모로코는 농수산·광물(인광석)자원의 수출 비중이 높고 외화수입원으로 관광과 교포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정부가 제조업 육성, 금융개혁, 유통현대화 등 경제 개선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

 

  모로코에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한국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높으며, 최근 더욱 향상되고 있음.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산 자동차, 가전, 정보통신 등 소비재의 시장점유율과 소비자만족도가 매우 높으며, 한국 대기업 계열 건설 및 엔지니어링사에 대한 현지 정부 등 발주기관의 신뢰도 역시 매우 높아 진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자료원: 모로코 외환청, 대외무역부, IMF, 월드뱅크, S&P, 무역관자료 종합,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로코, 더디지만 착실한 성장세 기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