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6대 고마진 산업에서 시장 기회를 찾다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13-12-12
  • 출처 : KOTRA
Keyword #고마진

 

중국 6대 고마진 산업에서 시장 기회를 찾다

- 6대 고마진 산업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 높아 –

 

 

 

□ 안경시장

 

 ○ 시장 현황

  -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근시 인구는 약 4억 명으로 근시 인구가 세계 1위이며 2012년 중국 안경시장 규모는 230억 위안(31억6400만 달러)에 달함.

  - 중국 소비자들이 안경을 단순히 시력 교정을 위한 제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면서 안경 디자인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교체 주기가 짧아져 매년 약 8000만 개의 안경테가 판매되고 있음.

  - 안경알 수요도 높아 매년 2억 개의 안경알이 생산되며 콘택트렌즈는 써클렌즈와 같은 미용렌즈가 인기를 끌고 있음.

 

 ○ 시장 판매 특징

  - 외국 브랜드 제품의 경우 중국 시장에서 유통 단계별로 마진을 붙여 가격을 책정하며 가격을 임의로 인하해서 판매하는 업체는 제품을 납품하지 않는 식으로 가격을 통제함.

  - 중국 최대의 안경 렌즈 생산가지인 장수성(江省) 단양시(丹市)의 안경테 도매가는 일반적으로 15~60위안(2.45~9.82달러)인 반면, 소매가는 적게는 세 배에서 많게 수십 배 이상으로 가격이 뛰고 있음.

  - 이 밖에도 안경점 운영비,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인한 안경 가격 거품이 발생하고 있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최근 중국 안경시장에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울템과 TR90 등 신소재로 만든 가볍고 신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안경의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안경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으면서 계절별로 안경을 바꾸거나 연예인이 착용했던 안경 등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 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 설계 및 판매 전략이 필요함.

 

□ 건강식품시장

 

 

 ○ 시장 현황

  - 중국에서도 웰빙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건강 관리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 중국인이 많아짐. 이와 더불어 건강식품 수요도 크게 증가함.

  - 중국 정보망(中)에 따르면 2012년 중국 건강식품시장 규모는 1546억 위안(253억 달러)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22.7%의 속도로 급성장함. 2016년에는 3323억 위안(543억86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시장 판매 특징

  - 중국노령사업발전보고(中业发告)에 따르면 2012년 60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2013년에는 2억 명을 돌파해 고령화 인구가 중국 전체 인구의 14.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건강을 중시하는 고령 소비자들의 경우 고가의 건강식품을 구매하거나 선물받는 경우가 많음. 고가 건강식품의 마진율은 보통 100~200%에 달한다고 조사됨.

  -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효능을 파악하기 어려워 제품을 선택할 때 브랜드와 가격 등을 참고하여 구매하는데 실제로 제품 원가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경우가 많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중국 내 한국 건강식품의 인지도는 아직 높지 않고 초기 발전단계에 속함. 중국의 건강건강식품 수입 심사과정은 매우 엄격함. 신청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사전 철저한 시장 조사가 요구됨.

  - 중국 구정(춘절)기간에는 건강식품에 대한 구매 경고가 나올 정도로 판매량이 큼. 이러한 특수 시기에 적극적으로 제품 기능을 홍보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중국 여성의 경우 미용 다이어트 등의 제품을 선호하며 40·50대 소비자의 경우 항노화, 항피로 등의 제품을 선호함. 연령대와 구매 고객층을 분석해 시장 세분화를 통한 타깃 선정이 필요함.

 

□ 성인용품시장

 

 

 ○ 시장 현황

  - 2003년 중국식품약품감독국(中食品督局)에서 ‘성인용보조기구 의료기구관리 불포함 통지(于仿式性助器具不作器械管理的通知)’를 발표하면서 성인용품은 더 이상 특수상품으로 분류되지 않아 심사 비준을 받을 필요가 없게 됨.

  - 이러한 정책이 발표되면서 2012년 현재 중국에는 500여 개 성인용품 제조 공장이 설립됐고, 약 20만 개의 성인용품점이 개점함. 2013년 중국의 성인용품시장 규모는 1000억 위안(163억6600만 달러)에 달함.

 

 ○ 시장 판매 특징

  - 중국 성인용품에 대한 구매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국 소비자들간의 제품 구매가에 대한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아직 명확한 시장 가격 기준이 확립되지 않음.

  - 성인용품점을 통한 오프라인 구매보다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고객이 많아 무점포 형식의 온라인 판매가 높은 마진을 남기고 있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최근 중국 성인용품시장에서 실리카겔로 만들어진 인형 제품의 판매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해당 산업 관련 박람회에서 신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음. 한 온라인 성인용품점에서 300위안(49.1달러)의 제품이 11월 한 달 동안 53개가 팔렸으며 1만2000위안(1964달러)의 고가 제품도 8개가 판매되는 등 인기 제품으로 떠오르고 있음.

 

□ 미용관리시장

 

 

 ○ 시장 현황

  - 현재 중국의 미용관리시장 규모는 3000억 위안(491억 달러)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5% 이상의 성장 속도를 보임. 높은 마진과 방대한 시장으로 수많은 미용제품과 관리 시술 등이 출시되고 있음.

  - 중국 미용 업계 종사자는 약 1120만 명이며, 중국의 미용 관리센터는 154만 개에 달하여 매년 1680억 위안(274억9600만 달러)의 생산액이 발생함.

 

 ○ 시장 판매 특징

  - 가격 경쟁이 치열했던 시장 분위기에서 최근에는 서비스 만족에 무게가 실리면서 중고가형의 다양한 관리 코스 서비스를 받는 고객들이 늘어남. 화장품 및 기타 소비품 등의 주 재료비의 원가가 낮아 마진율이 기타 산업보다 높음.

  - 이와 더불어 인건비와 운영비 등 고정비 편차가 적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대한민국 스킨케어 프랜차이즈 브랜드 ㈜뷰티플얼짱몸짱은 2012년 2월 칭다오()에 피부관리숍 1호점을 오픈한 뒤 1년도 채 지나지않아 7개의 피부 관리실과 1개의 나레스트 미용학원을 설립함.

  - 이미 중국 내 많은 미용 관리숍에서 쓰는 제품으로는 한국산이 많으며 숍 이름에도 ‘한국’ 등을 이용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음. 한국의 차별화된 서비스, 고객 관리를 통한 중국 미용관리시장 진출이 유망함.

 

□ 유아용품시장

 

 

 ○ 시장 현황

  - 중국 부모들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자녀에 대한 소비 수준 역시 크게 상승함. 외국계 전문 리서치 전문업체 Frost &Sullivan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인의 유아용품 평균 지출이 2008년 4712위안(770달러)에서 2012년 9049위안(1480달러)로 5년간 2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임.

  - 2012년 기준, 중국 영유아용품 관련 기업은 약 6만 개로 대부분이 아동복과 장난감 제조업체이며 최근에는 유아용가구·교육용품 기업도 증가하고 있음.

  - 중국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究院)은 2013년 중국 0~6세의 영유아 인구는 1억 명이며 유아용품 시장의 잠재 규모는 약 5000억 위안(818억33300만 달러)으로 추정함.

 

 ○ 시장 판매 특징

  - 아이를 한 명밖에 낳지 못해 자녀에게 최고의 것만 주겠다는 부모들의 심리로 가격보다 브랜드 혹은 기능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 가격 상승을 부추김.

  - 프리미엄 시장의 경우 독점 브랜드가 많아 가격 경쟁이 적어 높은 마진율을 남기고 있으며 분유 업체의 경우 40% 이상의 수익률을 보이는 기업이 많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유아용품은 아이의 건강과 직결된 제품이 많아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시하기 때문에 국산 제품보다는 수입산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음.

  - 중국 유아용품은 대형마트보다는 백화점, 전문숍 등을 통한 매출이 크기 때문에 프리미엄 브랜드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추천함.

 

□ 웨딩 화보시장

 

 

 ○ 시장 현황

  - 중국민정부(中民政部)가 매년 발표하는 민정사업발전통계보고서(民政事业发统计报告)에 따르면, 2012년 중국에 1300만 쌍의 커플이 결혼함.

  - 최근 결혼하는 커플들은 결혼을 하나의 관습이라 생각지 않고 일생의 한 번뿐인 소중한 의식으로 생각함. 중국 웨딩드레스넷(中)이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결혼식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88.4%(복수 응답)의 응답자가 웨딩 화보 촬영을 꼽음.

  - 웨딩 화보 촬영을 가장 중시하는 만큼 이에 지출되는 비용 또한 많아 결혼 비용의 약 15%를 차지함.

 

 ○ 시장 판매 특징

  - 중국일보망(中)현재 중국에서 1만 위안의 웨딩 촬영의 실제 원가 구성은 다음과 같음.

   * 인건비: 567위안(92.8달러), 드레스 비용 200위안, 촬영지 비용 750위안(122.7달러), 제작비 331위안(54.2달러)으로 총 합계 1848위안임(269.7달러).

  - 웨딩 화보 촬영 업체는 드레스 대여비, 메이크업 비용, 촬영 비용, 화보 수정 비용 등 다양한 명목으로 단가를 올려 원가보다 7~8배 가까이 비싸게 판매하고 있음.

 

 ○ 한국 기업 참고 사항

  - 웨딩 화보 촬영의 주요 소비자는 80·90허우(后)세대들로 좀더 창의적인 웨딩 화보를 원하지만 현재 중국 서비스 수준이 한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임. 이에 따라 한국 관광을 하는 동시에 한국에서 웨딩 화보를 촬영하는 중국인이 늘어나고 있음.

  - 상하이의 경우 한국의 사업자 등록증을 웹사이트에 게시해 한국에서 온 웨딩 화보 스튜디오로 홍보를 하는 중국 업체가 늘어나고 있음. 이처럼 한국의 웨딩 촬영 기법 혹은 서비스의 경쟁력이 매우 높음.

 

□ 시사점

 

 ○ 고마진 산업은 시장 기회 중 하나

  - 고마진 산업이란 높은 이윤으로 지나치게 많은 이익을 남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지만,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출한다면 크게 성장할 수 있는 소위 ‘대박 산업’으로 해석될 수 있는 기회의 분야이기도 함.

  - 최근 10년의 고마진산업 변화 추이를 분석하면 담배, 술 등 기호 식품 등의 산업에서 웰빙과 관련된 제품 혹은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

  - 중국 소비 시장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향후 유망 업종에 대한 변화를 포착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허쉰망(和), 아리바바(阿里巴巴), 왕이신문(易新), 소후(搜狐) 등 KOTRA 우한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6대 고마진 산업에서 시장 기회를 찾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