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의 핵심, 온라인 플랫폼!
  • 트렌드
  • 홍콩
  • 홍콩무역관 이요셉
  • 2013-11-22
  • 출처 : KOTRA

 

중국 화장품시장 진출의 핵심, 온라인 플랫폼!

- International Cosmetic Conference 2013 -

- 온라인마켓을 활용한 거래량, 시장 규모 상승추세 -

- 신규 진입 시에도 비교적 낮은 장벽 -

 

 

 

□ 성장곡선 그리는 중국의 화장품시장

 

 ○ 증가하는 중국의 구매력

  - 중국의 소비를 이끌어가는 중산층이 중국의 고성장과 함께 점차 늘어나 2025년에는 4억 명이 넘는 인구가 중산층이 될 것으로 보임.

  - 이들의 소득 또한 증가 추세로 2020년까지 중산층 75%가 연간 6만~22만9000위안까지 소득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또, 도시화 프로젝트로 향후 10년간 2억6000여 명이 추가로 도시로 이주할 것이며,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도시로 이주한 주민의 소비력 또한 3배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구매력 상승으로 성장세의 화장품시장

  - 소득 증가와 함께 미용의 관심이 많아지고,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미용제품 수요가 증가하며 구매가 늘어나는 추세

  - 이에 힘입어 중국 화장품시장은 최근 5년간 12%의 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2년 기준으로 254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

  - 중국의 진출한 글로벌 코스매틱 기업의 매출은 2012년 기준으로 유니레버 33억 달러, 로레알 20억 달러,  P &G 60억 달러를 각각 기록했음.

  - 주요 제품군으로는 스킨케어, 헤어케어, 메이크업, 향수, 마스크팩 등이 있음.

 

중국 화장품시장 매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시장 매출액

15,917

17,651

19,743

22,530

25,414

업계 성장률

10.67%

10.89%

11.85%

14.12%

12.8%

자료원: Deng Min, Managing Editor & Founder of Cosmetic Observer Magazine (China)

 

중국 미용시장 제품별 점유율

                         (단위: %)

제품군

스킨케어

헤어케어

메이크업

향수

마스크팩

기타

비율

35.88

21.64

19.73

8.56

5.18

9.01

자료원: Deng Min, Managing Editor & Founder of Cosmetic Observer Magazine(China)

 

□ E-commerce 활용이 핵심

 

 ○ E-commerce를 통한 유통비율 증가

  - 지난 11일, 알리바바 산하의 C2C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의 매출액이 약 57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중국에서 E-commerce의 영향력이 눈에 띄게 커지고 있음.

  - 이는 화장품도 예외가 아니며, 점차 E-commerce 유통채널을 통한 거래량과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

  - 거래량은 2008년 6000개에서 2015년까지는 12만3720개로의 증가가 예상되며, 점유율은 2013년의 경우 2008년의 4.6%에 비해 20%가량 상승한 25.46%의 비율을 보임.

  - 주요 E-commerce 채널로는 쥐메이요핀(聚美優品), 라파소(樂峰罔), Hitao 등이 있음.

 

            

자료원: Feng Guoqiang, Vice-President of Dong Fang Feng xing Group (China)

 

 ○ E-commerce의 주 연령층과 도시별 이용현황

  - E-commerce를 활용하는 화장품을 구매하는 주요 연령층은 18~24세(36.52%)와 25~30세(26.23%)가 절반 이상을 차지함.

  - 또, E-commerce를 활용하는 주 고객층으로는 2선 도시(38.66%)와 3선 도시(26.23%)가 주류

  - 이를 종합해보면 2, 3선 도시에 살고 있는 20~30대 연령의 소비자들이 주 고객층

 

        

자료원: Feng Guoqiang, Vice-President of Dong Fang Feng xing Group (China)

 

 ○ 대표 온라인 플랫폼 라파소(lefeng, 樂峰罔)

  - 라파소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으로 'lefeng'은 2008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미용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기로 함.

  - 자체미용 전문 채널을 보유하고 해당 TV 프로그램에서 의상코디와 화장법, 스타 인터뷰나 전문가 추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음.

  - 매출 규모도 2011년의 1억300만 달러, 2012년 2억46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함.

  - 입점 조건이 엄격해 가짜제품 유통 적발 시 입점이 불가하며 이로 인해 정품 비율이 높음. 또 환불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함.

  - 지난 해에는 라파소의 신이화 부총재가 한국 브랜드 제품 취급을 확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며, 서울 에이전시를 오픈하는 등 한국 제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라파소(lefeng, 樂峰罔) 메인 화면

    

자료원: 라파소(lefeng, 樂峰罔) 웹사이트

 

□ 시사점

 

 ○ 중국시장 유망제품

 

제 품

전 망

메이크업 제품

- 20, 30대가 주요 소비층이 됨에 따라 메이크업 제품 수요가 급격히 커짐. 2012년 메이크업 제품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51억 달러

남성용

스킨케어

- 남성의 외모가 사회적, 직업적 성공과 직결된다는 인식이 커져감에 따라 남성용 화장품 수요가 점점 커지고 2011년 시장 규모는 6억5000만 달러에 달했음.

안티에이징

- 2025년 60세 이상 노인 인구 1780만 명, 65세 이상 노인 인구 1190만 명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안티에이징 제품 수요 또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천연원료 제품

-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유기농, 식물성, 천연제품 수요도 커짐.

자료원: Deng Min, Managing Editor & Founder of Cosmetic Observer Magazine (China)

 

 ○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이 중국 진출의 지름길

  - 중국의 경우 직거래 방식을 위해 필요한 위생허가증 취득의 절차가 상당히 까다롭고, 기간도 길게 소요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장애물들이 존재함.

  - 때문에 중국 화장품시장에 진출하는 방법으로는 온라인 마켓과 연결된 중국 에이전시를 통하는 방식이 가장 용이할 것으로 보임.

  - 또,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모든 제품을 취급할 수 있고 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진입장벽이 그리 높지 않음. 라파소는 신규 제품이 입점하면 TV프로그램에서 이를 직접 소개하기도 하는 등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기가 수월함.

 

 

자료원: International Cosmetic Confernce 2013 각색, 라파소(lefeng, 樂峰罔) 웹사이트,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의 핵심,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