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1)- 정부 대 정부 간 프로젝트
  • 경제·무역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윤구
  • 2013-02-01
  • 출처 : KOTRA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1)- 정부 대 정부 간 프로젝트

- 3013년 동아프리카 철도, 항만, 신도시, 도로, 통신 등 프로젝트 전성기 -

 

 

 

2013년 케냐를 중심으로 한 동아프리카 지역에 신도시, 철도, 항만, 도로, 통신 등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가 전성기를 보임. 이에 따라 우리 관심기업들의 2013년 동아프리카 진출 프로젝트 종합 분석 차원에서 아래와 같이 3차에 걸쳐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정보를 연재함.

 ①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1)- 정부 대 정부 간 프로젝트

 ②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2)- 동아프리카공동체(EAC) 종합철도개발

 ③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3)- 케냐 프로젝트(진출방안 및 유의점 포함)

 

□ 동아프리카 내륙국들, “물류유통망을 뚫어야 산다”

 

 ○ 케냐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프로젝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핵심 포인트는 케냐와 탄자니아를 제외한 신흥 내륙국의 상생을 위한 노력에서 해답을 찾을 필요가 있음. 남수단, 에티오피아, 소말리아는 대외 물류유통 및 경제활동을 케냐의 몸바사항 또는 라무항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함. 이를 위해 장기적인 유통망 개선 차원에서 라무항-수단-에티오피아 교통망(Lamu Port South Sudan Ethiopia Transportation, LAPSSET)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 항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우간다(현재까지는 케냐 몸바사항에 80% 이상 의존), 르완다, 부룬디 등은 탄자니아 다레살렘항(현재는 몸바사항을 주로 의존)을 통한 석유, 가스, 물류이동 등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 철도, 도로, 송유관 등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를 서두르는 상황임.

 

동아프리카 핵심 프로젝트 요약

물류항

핵심 내륙국

핵심프로젝트

세부 프로젝트

몸바사항

(케냐)

남수단,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북부유통망

(Northern Corridor)

LAPSSET프로젝트

(철도, 도로, 항만 등 7개 핵심

개발 프로젝트)

다르에스살람항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중부유통망

(Central Corridor)

철도, 도로, 송유관 등

 

□ 동아프리카 정부-정부 간 프로젝트 케냐가 주도

 

 ○ 케냐가 주도하는 동아프리카 국가 간 프로젝트는 LAPSSET으로 명명된 프로젝트로, 그 중 2013년에 타당성 조사 내지는 사업진행을 위한 해외 공여기관의 승인이 이뤄진 사업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음.

 

LAPSSET 프로젝트

자료원: 케냐 교통부

 

 ○ 라무항 종합개발사업 인프라 구축 개시: 동아프리카 최대 인프라 개발사업으로는 라무항 종합개발사업 (LAPSSET)을 들 수 있음. 20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해 항만·공항·도로·철도·파이프라인·리조트·정유설비를 구비하는 7대 프로젝트로, 케냐 정부도 이 사업에 2018년까지 GDP의 6% 또는 정부 예산의 16%를 투자할 계획임.

  - 라무항 3선석 공사: 그 첫 프로젝트인 라무항 3선석 공사를 우리 기업이 수주해 설계 감리를, 중국 업체가 시공을 수행할 예정이며, 오는 2월 키바키 대통령이 주재하는 그 첫 착공식을 거행할 계획임.

  - 고압송전선 공사: 약 1억 달러 규모의 고압 송전선공사(라바이-말린디-가르센-라무항 구간)가 시작될 예정임. 이 사업은 중국의 수출입은행이 출자하고 케냐 송전공사가 수행하는데, 현존 33㎸ 단선 전기공급을 대체해 본격적인 라무항 공사 전력 인프라를 제공하게 될 예정임.

  - 라무 신공항 공사: 라무항 내 총 1억2000만 달러 규모의 신공항 건설공사가 2013년 초부터 개시돼 2013년 5월에 완공 예정임. 이 공사 완공 시 매일 종전 300명에서 600명 이상 수용 가능하며, 국제항공기들도 나이로비 또는 몸바사를 경우하지 않고 직접 이착륙이 가능하게 됨.

 

 ○ 남수단-라무 간 송유관 설치공사 급물살: 남수단-수단 간의 원유 수출협상이 사실상 결렬됨에 따라 남수단 정부는 남수단-라무 간 송유관 설치공사를 2013년 2월부터 서둘러 시행할 것을 촉구. 2013년 1월 초에 양국 간 양해각서가 체결됐음. 이 공사는 총 2000㎞ 구간 70만~100만 배럴 원유 수송하는 50억~60억 달러 투자규모, 총 공사기간은 1년 6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발표됐음. 이 프로젝트는 원래 2013년 6월부터 개시 예정이었으나 남수단이 자국의 다급한 사정으로 5개월 앞당길 수 있도록 케냐를 압박하는 중임. 투자조건은 투자가가 투자비용을 회수하기까지 원유를 수출하는 조건이며, 양국은 해외 개발투자가를 긴급 유치하는 노력을 기울임.

 

 ○ 세계은행 엘도렛(케냐)-주바(남수단) 간 고속도로 공사 승인: 주바(남수단수도)-나다팔(케냐국경 도시)  간 340㎞ 구간 4억 달러 소요, 나다팔-엘도렛(케냐) 590㎞ 구간 약 6억 달러 등 총 930㎞ 구간 13억 달러 투자가 예상되는 고속도로 공사임. 양국 정부는 이미 1차 왕복선 도로 디자인 컨설팅을 진행, 남수단 해당 구간은 타당성 조사를 기완성하고 케냐 쪽은 2013년 9월 중에 완성 예정임. 세계은행은 2013년 1월 말에 이 사업에 대한 후원을 확정했음. 이에 따라 기타 국제공여기관 및 투자가유치가 본격화될 것이며, 2014년부터 본격 시공에 들어갈 계획임. 이 도로사업은 동아프리카 북부교통망 프로젝트의 최우선 순위로 지목돼 왔으며, 이 도로 완공 시 북부 유통로의 90% 화물을 커버하게 될 전망임.

 

 ○ 케냐-우간다 송유관 공사: 케냐, 우간다 각국의 송유관공사 프로젝트는 총 3억 달러 규모로 예상되는 나이로비-엘도렛 기존 송유관 시설(14인치 송유관)을 연장, 엘도렛-캄팔라(우간다 수도) 간 352㎞ 확장공사를 시행할 예정. 이 공사는 원래 2007년에 리비아계 Tamoil에 수주한 바 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지연되면서 2012년 9월에 최종적으로 사업추진 불가 처리하고 이번에 새로 입찰을 진행하는 것이며, 20년 BOT 조건으로 투자가를 유치할 예정임. 내륙국인 우간다는 그동안 몸바사를 통해서 수입된 원유를 도로교통을 의존해 수송해 왔음. 2007년에는 케냐의 총선으로 인한 폭력사태로 도로가 막혀 거의 1달간 원유공급 위기를 겪은 바 있으며, 물류비용 등이 높아 이 사업을 적극 추진 중임.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이 후원하는 우간다-탄자니아 가스관 공사: 아프리카개발은행은 르완다의 키갈리와 부룬디의 부줌부라를 연결하는 송유관공사 타당성 조사를 위해 동아프리카공동체에 총 5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음. 또한, 탄자니아의 천연가스를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등으로 연결하기 위한 선 조건으로 다르에스살람-몸바사 간 가스관 공사(총 554㎞ 구간)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진행됨. 이와 아울러, 동아프리카공동체 담당 실무자들은 우간다의 캄팔라에서 르완다의 키갈리와 부룬디의 부줌부라를 연결하는 송유관공사도 타당성 조사를 위해 약 100만 달러를 아프리카개발은행에 지원 요청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됨.

 

□ 시사점

 

 ○ 유럽과 미국은 고임금 구조로 인한 제조업의 한계와 저성장, 고실업, 높은 복지비용으로 새로운 성장의 모멘텀을 만들지 못하고 있음. 반면, 제조업의 기반이 강한 한국은 주력시장의 침체로 인해 시장 다변화와 신시장 개척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이제까지 우리 기업들은 규모가 크고 투자 위험성이 작은 선진국 시장에 관심을 더 두어왔지만, 이제부터 신흥시장이자 프로젝트 신개척지로 진출 가능성이 커지는 동아프리카 프로젝트 시장에 적극 관심을 기울일 필요 있음.

 

 

자료원: 세계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 등 내부입수자료, 현지 관련기관 내부 입수자료 및 관련인사 인터뷰, 현지 일간지 관련기사 종합,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체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3년 동아프리카 인프라개발 종합분석 (1)- 정부 대 정부 간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