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페인, 사면초가 경제난에도 수출 유망상품은 존재한다
  • 트렌드
  • 스페인
  • 마드리드무역관 이성학
  • 2013-01-25
  • 출처 : KOTRA

 

스페인, 사면초가 경제난에도 수출 유망상품은 존재한다

-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2013년 대스페인 수출환경 여전히 열악 -

- 일부 중저가 산업용품, 화학제품, 광통신 기자재 등 수출 확대 기대 -

 

 

 

□ 불황으로 2012년 대스페인 수출 “먹구름“

 

 ○ 금융 재정위기 장기화, 고실업률 등에 따른 내수시장 침체 현상으로 대스페인 한국 수출 순위 하락세

  - 스페인 경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2007년 당시 한국의 대스페인 수출 순위가 22위를 기록한 바 있으나, 이후 매년 하락세를 거듭해 2012년에는 41위에 머묾.

  - 반면, 대스페인 수입 순위는 2007년과 2012년 모두 41위를 유지

 

 ○ 대스페인 한국 수출 규모는 2012년 기준 16억68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1% 감소

  - 이는 자동차, 타이어, 가전제품 등과 같은 기존 수출 효자품목이 불황으로 판매가 감소하였고, 또한 이들의 생산기지 대부분이 한국에서 동유럽권으로 이전했기 때문으로 해석됨.

  - 더군다나 품목의 특성상 수출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선박을 제외했을 시 2012년 수출액 감소 폭은 -17%에 달함.

   * 2011년 대스페인 선박 수출 전무

  - 반면, 대스페인 수입은 2012년 중 전년 대비 11.3%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13억 달러 기록

 

 ○ 2012년 최대 수출품목은 자동차(2억 8천만 달러), 무선전화기(2억 1천만 달러), 선박(1억 3천만 달러), 합성수지(1억 달러), 자동차부품(6천 6백만 달러) 순으로 대기업형 제품이 주를 이룸.

  - 그러나 경제위기 전에 비해 중저가 산업재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형 제품의 수출이 날로 늘어나는 추세임. 이에 힘입어 합성수지나 축전지, 프레스금형, 펌프 등과 같은 품목이 대스페인 10대 주요 수출 품목에 포함됨.

 

대스페인 한국 주요 10대 수출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2010

2011

2012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승용차

439

70.3

478

8.9

282

-41.0

2

무선전화기

267

-46.0

169

-36.8

213

26.5

3

선박

37

51.3

0

-99.9

129

622,462.2

4

합성수지

73

-8.0

86

18.4

100

15.2

5

자동차부품

33

137.6

52

57.0

66

26.7

6

타이어

72

-2.4

69

-4.5

49

-29.3

7

축전지

2

-54.2

9

266.8

73

317.7

8

프레스금형

10

-38.7

27

169.8

34

28.6

9

펌프

16

218.2

23

49.7

31

34.4

10

기타 플라스틱제품

23

15.1

25

10.6

30

20.8

 

총수출

1,858

7.0

1,857

-0.1

1,669

-10.1

자료원: KITA

 

□ 2013년 대스페인 수출 환경, 여전히 열악

 

 ○ 경기침체 현상이 2013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대스페인 수출이 더욱 위축될 것으로 우려

  - 대부분의 경제관측기관에서는 2013년 스페인 경제성장률이 -1~-2% 후퇴할 것으로 예상

  - 2012년 중 스페인 소매판매지수는 8월을 제외하고 매월 하락세를 거듭

   * 2012년 1~11월 소매판매지수 증감률: -3.6%(전년 동기 대비)

 

스페인 소매판매지수 증감률

(단위: %)

자료원: 스페인 통계청(INE)

 

 ○ 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은 각종 소비재 판매 하락으로 이어져 자동차나 휴대전화기 등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의 판매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

  - 스페인 소비심리지수는 2012년 하반기 들어 30~40점을 맴도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어 얼어붙은 현지시장 상황을 반영

 

스페인 소비심리지수 월별 추이

(단위: 점)

자료원: 스페인 사회학연구원(CIS)

 

□ 불황 속 수출 유망상품 BEST 4

 

 ○ [산업용 기계 및 부품] 보수적 소비패턴 탈피, 아시아산 중저가 제품 관심 확대

  - 장기적 불황에 따른 구매력 하락으로 현지 바이어들은 고품질 고단가 유럽산 제품 구매보다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하며,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제품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신규 아시아 공급선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음.

  - 그중에서도 한국산 제품은 유럽산 제품과 비교해 품질은 유사하나,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점진적인 대스페인 수출 확대가 기대됨.

  - 스페인 바이어들이 선호하는 한국산 기계·부품은 전기회로 개폐 보호 접속용 기기, 전동기 및 발전기, 수공구 기계용 공구, 전기기기용 절연용 물품 등으로 2012년 전반적인 산업용품 수입 하락에도 상기 품목들의 대한 수입은 큰 신장세를 보임.

   * 전기회로 개폐 보호 접속용 기기(HS Code 8536): 460만 달러(2012), 전년 대비 32.2% 증가

   * 전동기 및 발전기(HS Code 8501): 452만 달러(2012), 전년 대비 108.3 % 증가

   * 수공구 기계용 공구(HS Code 8207): 3676만 달러(2012), 전년 대비 17.7% 증가

   * 전기기기용 절연용 물품(HS Code 8547): 39만 달러(2012), 전년 대비 184.8% 증가

 

 ○ [화학원료] 고관세 철폐, 우수한 품질력으로 현지 바이어에게 각광

  - 한-EU FTA 체결로 6.5%에 달하는 각종 화학원료에 대한 관세가 즉시 철폐되며, 한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 크게 제고

  - 한국산 화학원료 제품들은 이미 품질 면에서 현지 바이어들에게 인정을 받고 있어, 단가 절하가 수출 확대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이에 따라 2012년 중 스페인의 각종 화학용품 수입이 줄어든 가운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일부 품목에 한해 오히려 크게 늘어남.

   *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폴리우레탄(HS Code 3909): 1324만 달러(2012), 전년대비 3231.1% 증가

   * 폴리에틸렌(HS Code 3901): 2378만 달러(2012)), 전년 대비 180.8% 증가

   * 폴리프로필렌(HS Code 3902): 572만 달러(2012), 전년 대비 28.9% 증가

   * 아크릴폴리머(HS Code 3906): 741만 달러(2012), 전년 대비 22.9% 증가

 

○ [광통신용 기자재]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시장 빠르게 성장 중

  - 스페인 내 광대역 통신 서비스 가입자 수 2010년 5만6000명에서 2012년 상반기 24만 명으로 급상승

  - 현지 대형 통신사들은 앞으로 광대역 인터넷 인프라 확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 개시 예정

   * 텔레포니카, 2013~2015년 중 총 9억 유로 상당의 광대역 인터넷 인프라 투자 발표

   * 오렌지, 같은 기간 중 3억 유로 규모의 광대역 인터넷 인프라 투자 발표

  - 이에 힘입어 광커넥터 등과 같은 광대역 인터넷 인프라 관련 각종 기자재에 대한 수요 확대 기대

   * 스페인 광커넥터 총수입: 517만 유로(2012년 1~11월),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

   * 한국 대스페인 광커넥터 수출: 8만 달러(2012), 전년 대비 430% 증가

 

 ○ [실버용 상품] 세계 최대 고령국 중 하나로 실버시장 확대

  - 전체 국민 중 65세 이상 인구가 17.4%에 달하는 세계 4위 고령국가로 부상. 향후 2050년에는 고령인구가 현재의 두 배에 달하는 약 163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스페인 연간 공공연금 지급 수준은 2013년 기준 최저 8486유로, 최고 4만58유로로 2010년 평균 연봉(2만2790유로)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 이에 따라 스페인 노년층은 타 소비층에 비해 막강하고 안정적인 구매력 유지

  - 이를 감안할 시 실버소비층을 겨낭한 각종 기능성 미용제품, 건강관리 관련 상품, 전자기기 등 판매 유망

 

□ 전망 및 시사점

 

 ○ 극심한 소비위축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스페인으로의 수출환경이 열악함. 그러나 이는 유럽산 제품 구매를 선호하던 현지 바이어들이 중저가 공급선 발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보는 시각에 따라 우리 기업에게는 신규 수출을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임.

 

 ○ 특히, 현지 소비자들의 어려운 주머니 사정으로 인해 가격경쟁력 여부가 중요한 시기이므로, FTA 관세절감 효과 등을 통한 강력한 저가 마케팅 전략을 수반한 적극적인 바이어 공략 필요

 

 

자료원 : KITA(한국수출입협회), INE(스페인통계청), CSI(스페인 사회학 연구소), DATACOMEX(스페인 수출입 통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페인, 사면초가 경제난에도 수출 유망상품은 존재한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