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6년 이집트 수출 유망품목은?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노정민
  • 2016-05-24
  • 출처 : KOTRA

 

2016년 이집트 수출 유망품목은?

- 프로젝트 관련 기자재, 건설중장비, 자동차 및 전력기자재 분야 수출 유망 -

     

     

     

□ 수출유망 품목군 및 선정사유 요약

 

품목군

선정사유

프로젝트 기자재

및 건설중장비

 - 한국 기업의 이집트 내 각종 프로젝트 추진(석유화확, 담수, 소각로, 수처리 등)
예상에 따라 관련 설비 및 기자재 수출 증가 기대

 - 이집트 내 각종 건설 프로젝트 추진으로 건설중장비 수요 꾸준히 증가 추세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자동차 수요 지속 상승, 단 유류보조금 축소에 따라 소형차 선호

 - A/S용 자동차부품 수요도 지속 증가 추세

전력기자재

 -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중

 - 고압변압기, 전선 등 각종 전력 기자재 수요 증가 예상

 - 이집트 정부의 스마트미터 4000만 대 도입계획 발표(2015년)

보안/안전장비

 - 관공서, 공항, 관광지 등의 치안 확보용 각종 보안검색장비 수요 증가

 - CCTV를 포함한 각종 무인감시장비 역시 진출 유망분야 중 하나

가정용 소비재

 - 젊은 세대를 겨냥한 우수 디자인 및 기능성 제품 소비 증가 추세

 - 가정용 인테리어 용품, 주방용품, 생활가전 등

     

 

□ 프로젝트 기자재 및 건설중장비

     

 ○ 한국 기업의 이집트 내 각종 프로젝트 추진(석유화학, 담수, 소각로, 수처리 등) 예상에 따라 관련 설비 및 기자재 수출도 동반 증가할 것으로 기대

 

 ○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이집트 정부가 각종 사회 인프라 건설사업을 다수 추진함에 따라 건설중장비 수요 역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품인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요 역시 지속 증가할 전망이며, 특히 한국산 신차의 현지 점유율이 높게 유지됨에 따라 향후 이들 신차 노후화에 따른 A/S 부품 수요도 증가 기대

  - 2015년 이집트 내 승용차 판매현황(총 19만5500대): 한국 5만8000대(30%), 일본 5만4100대(28%), 유럽 4만2600대(22%), 미국 2만7600대(14%), 중국 1만2400대(6%), 말레이시아 766대 등

 

□ 전력 기자재

 

 ○ 이집트 내 전력 인프라 확충에 따라 각종 발전, 변전 기자재 수요 증가 예상

  - 우리 기업들도 석탄화력 발전소, 태양광 발전소, 변전소 등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 모색 중

 

 ○ 이집트가 도입 예정인 전력 스마트 미터(4000만 대) 사업도 우리 기업이 참여 검토 중으로, 향후 본격적인 사업 추진 시 관련 기자재 수입 급증 예상

 

□ 보안 및 안전장비

 

 ○ 이 분야는 우리 기업의 시장 개척이 유망한 분야이나 아직까지 진출 성공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됨. 일부 보안 관련 제품의 경우 현지 통관이 까다롭거나 현지화(아랍어 사용 등) 전략 부재로 수출에 애로를 겪기도 함.

 

 ○ 단순 CCTV와 같은 제품들은 중국산 저가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IT 기술 등을 적용한 원격 제어 기능이나 실시간 인식 기능 등 첨단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 개척 노력 필요

 

 ○ 교통신호체계, 주차 통제시스템 등도 진출 전망이 밝은 분야 중 하나

 

□ 가정용 소비재

 

 ○ 이집트는 소비에 있어 품질보다 가격을 우선시 하는 극단적인 가격시장의 특성을 보이나, 중산층 이상 혹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특화된 디자인이나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는 기능성이나 디자인으로 특화된 주방용품, 소형 가전제품, 벽지, 패션 의류, 기능성 화장품 등 가정용 소비재의 경우 이집트 현지 시장 진출 전망이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예상

     

□ 대이집트 수출 유망 세부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1

HS Code

8421, 8419, 9027

수입관세율

0~40

화학기계 부품

수입액

36.92

대한 수입액

2.77(7.5%)

선정사유

이집트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석유화학산업 육성 중이며,

한국 기업들이 현지 프로젝트 참여 중

진출방안

관련 경험과 기술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동반한 진출 전략 마련 필요

품목 2

HS Code

8429, 8431

수입관세율

2~5

건설중장비

수입액

 26.17

대한 수입액

0.96(3.67%)

선정사유

이집트 내 각종 건설 프로젝트 추진으로 건설중장비 시장 진출 유망

진출방안

대형 프로젝트 관련 사업기회 발굴(군부, 현지 주요 건설사 등)

품목 3

HS Code

8703

수입관세율

40~135

자동차

수입액

281.66

대한 수입액

50.15(17.81%)

선정사유

 한국산 승용 자동차 이집트 시장 점유율 1위

 유류 보조금 축소에 따른 유가 상승으로 소형차 선호

진출방안

자동차 수요 역시 지속 상승 중으로 시장 수성 및 확대 전략 필요

품목 4

HS Code

8708, 4011, 9031

수입관세율

0~20

자동차부품

수입액

152.40

대한 수입액

22.50(14.76%)

선정사유

한국산 자동차의 시장점유 확대로 A/S용 부품 수요도 지속 증가

진출방안

일본, 유럽, 중국산 부품과 경쟁 중,

한국산 자동차 수출 확대에 따른 관련 부품시장 등 추가 개척 노력 필요

품목 5

HS Code

8544, 8504, 8507, 8538, 9028

수입관세율

0~30

발전설비

및 전력기자재

수입액

 71.39

대한 수입액

8.93(12.51%)

선정사유

고압 변압기, 전선 등 각종 전력 기자재 수요 증가 예상,

스마트미터 4000만 대 도입 예정

진출방안

전력 기자재 입찰 참여 등 공공조달 시장 개척 노력 필요

품목 6

HS Code

8531, 8525, 8517

수입관세율

0~20

보안 장비

수입액

162.31

대한 수입액

0.57(0.35%)

선정사유

치안 확보를 위해 관공서, 공항, 관광지 등의 각종 보안검색장비

수요 증가 기대. 각종 무인 감시 장비도 진출 유망 분야 중 하나

진출방안

보안 프로젝트, 공공 조달 시장 참여 및

현지 관련 에이전트를 활용한 시장 진출 노력 필요

품목명 7

HS Code

8418(냉장고), 8456(세탁기),

8415(에어컨)

수입관세율

2~40

가정용 가전

수입액

42.22

대한 수입액

2.77(6.56%)

선정사유

우수한 디자인이나 기능성을 앞세운 가정용 소비재 수요 증가 예상,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젊은 세대가 주 소비층으로 부상 중

진출방안

특화된 디자인이나 기능을 강조해 젊은 세대에 어필하는 상품 개발 필요

품목명 8

HS Code

4814

수입관세율

10~20

벽지

수입액

0.65

대한 수입액

0.10(15.38%)

선정사유

주택이나 사무실의 고급 인테리어 자재로 벽지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음

진출방안

현재 벽지 소비가 높은 수준은 아니나, 향후 성장 잠재력 막대

품목명 9

HS Code

8603, 8607

수입관세율

5

철도차량

및 부분품

수입액

23.63

대한 수입액

15.08(63.82%)

선정사유

이집트는 노후 전동차 교체 및 신규 전동차 도입 지속 추진

진출방안

이집트 메트로 전동차 납품 사업 추가 수주 기대

품목명 10

HS Code

4011

수입관세율

5~20%

타이어

수입액

45.44

대한 수입액

2.33(5.13%)

선정사유

이집트 내 신차와 중고차 지속 증가해 타이어 수요 역시 동반 증가 기대

진출방안

대표적인 한국 타이어 업체가 이미 현지에 진출해 있으며 사업을 확대 중

품목명 11

HS Code

6005, 5408, 5512, 5407, 5907

수입관세율

5~10

직물,

편직물류

수입액

38.34

대한 수입액

3.25(8.48%)

선정사유

한국산 직물, 편직물류에 대한 수요가 꾸준함.

진출방안

소비자 기호의 변화를 반영해 기능성이나 품질이 개선된

신규 제품 출시 등 시장 확대 노력 지속 필요

주: 수입액은 2015년 기준

 

□ 시사점

     

 ○ KOTRA 카이로 무역관 선정 수출 유망품목은 현지 상황 등을 참고해 무역관에서 주관적으로 선정한 것임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또한 소비재의 경우 2016년 들어 공장 등록제 실시 등 수입규제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함.

 

 

자료원: GTA, 이집트 통계청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6년 이집트 수출 유망품목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