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직결정보] 美, 차량용 시트부품 수출 기회
- 트렌드
-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김태균
- 2012-11-11
- 출처 : KOTRA
-
- 시트부품의 전장화와 다양한 기능 확대 추세 -
- 미국 주요 수요처의 해외 아웃소싱 증가 -
□ 시장 동향
○ 미국의 자동차 시트산업의 전체 시장규모는 약 176억 달러로 2008년부터 시작된 금융 위기 및 자동차산업의 해체 위기로 자동차 시트산업도 불황을 겪다 2010년 이후 자동차산업이 회복세에 들어서면서 신차 구매 증가와 함께 수요가 증가함.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BIS World에 따르면, 2015년까지 연평균 2.9%씩 성장해 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부품별 비중은 세부시장으로는 승용차, 트력, 버스 시트가 50.8%를 차지하고 있고 카펫, 전면 패널, 헤드라이너 등의 인테리어 부품, 시트 프레임, 항공기 시트, 안전 벨트, 시트 커버 등의 순임.
자동차 시트 및 인테리어 부품별 비중
○ 편안함과 안전, 다기능을 갖춘 각종 전장 부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시트를 조절하고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전자장비 등은 이미 몇 년 전부터 기본 사양이 됐으며 열선이 깔린 좌석의 옵션 사양도 인기가 높아졌음.
○ 유가 상승 때문에 연비가 높은 차량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SUV와 픽업트럭 소비자들이 연비가 좋은 소형 승용차로 이동하고 경기 불황의 여파로 대중교통 이용 인구가 늘어나면서 버스의 수요가 높아져, 이에 다른 시트 부품의 수요도 영향을 받으며 안전 벨트와 같은 부품은 법규 제정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음.
□ 주요 수요처
○ 자동차 시트 및 인테리어 부품의 가장 큰 수요처는 완성차 조립 및 제조업체로 주로 빅3와 도요타, 혼다 등의 OEM들이 수요의 66%를 차지하며 소형 트럭용 특수 장비, 주문식 시트 커버, 소형 AS 부품 등의 애프터마켓시장은 34%를 차지하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임.
○ 북미지역의 주요 OEM들은 품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대응 가능 여부가 공급업체선정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자동차 시트의 전장화 경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OEM들이 Visteon과 Johnson Control Inc. 등과 같은 Tier-1 업체에 제품 개발 기술 수준, 기업 관리 능력, 재정 상태에 대해 매우 높은 기준에 부합하기를 요구하고 서플라이어들의 디자인, 전문적인 기술 개발, 신제품 아이디어에 더욱 의존도가 높아짐. 이로 인해 납품 업체의 제품 개발주기가 짧아지고 있으며 불량품에 대한 책임과 워런티 클레임에 대한 위험이 높아짐.
□ 경쟁 동향
○ 미국 내 자동차 시트 관련 제조업체는 약 400개 회사로 조사됐고, 주요 제조업체들은 미시건, 오하이오, 인디애나 주 등이 포함된 Great Lake 지역에 가장 많이 밀집돼 있음.
○ 미시건주는 미국 자동차산업의 메카로 완성차 제조업체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가 집중적으로 위치해 있음.
○ 켄터키, 테네시, 앨라배마 주 등이 포함돼 있는 남동부 지역은 미국 자동차 노동조합(UAW)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도요타와 혼다, 현대, 기아 등 외국 완성차 업체들이 있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부품업체들이 집중돼 있음.
○ 그 외 자동차 사용 인구수가 많아 애프터마켓이 발달한 캘리포니아 주와 남서부 지역의 텍사스 주도 많은 기업이 있음.
미국 내 자동차 시트 관련 제조업체 위치 현황
○ 미국의 자동차 시트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자본집약적인 산업으로 품질과 가격이 매우 중요하며 주요 제조업체 대부분이 글로벌기업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편임.
○ 미국은 주요 4개 업체가 전체 산업 수익의 53.9%를 차지하고 있고 2000년대 후반에 기업 간 활발한 인수합병이 이뤄졌음.
북미지역 주요 시트 제조업체 시장점유율
□ 전망
○ 미국 자동차 시트 부품은 수출보다 수입이 매우 활발한 편으로 미국 빅3 해체 위기를 겪으며 외국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져 아시아 국가와 동유럽 국가로부터의 수입량이 증가했으며 미국 소재 OEM들도 해외 아웃소싱 비중을 더욱 높여갈 것으로 예상됨.
○ HS Code 분류 시 자동차 시트 부품 관세는 품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나 한국은 현재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수출 증가가 예상됨.
자동차 시트 부품 미국 관세 현황
자료원: IBIS World, IHS SupplierBusiness, 미상무부,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수출직결정보] 美, 차량용 시트부품 수출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자동차시트 시장 주목할만
중국 2011-11-30
-
2
미 글로벌 Tier-1업체, 자동차 시트 및 방음재 수요물량 증가
미국 2014-07-31
-
3
美, 안전 강화 및 환경 중시로 시트 제조기술 다양화
미국 2013-04-02
-
4
미국 농기계 시장동향
미국 2015-01-15
-
5
호주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호주 2023-06-22
-
6
ChatGPT와 함께 알아본 미국 수출 유망 자동차 부품
미국 2023-12-19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