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진출 경쟁국(중국,일본,EU) 동향 및 시사점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2-08-07
  • 출처 : KOTRA

러시아 진출 경쟁국(중국,일본,EU) 동향  시사점

 

 

2012-08-07

모스크바무역관

Sergey Bannykh( 708170@kotra.or.kr )

 

 

 러시아 진출 경쟁국의 대러시아 투자동향

 

 

 ㅇ 중국의 대러 투자는 최근 3년간 약193억달러 규모로서 한국의 대러투자 누계액 19억4천만달러(‘12.3월 준)보다 약 10배의 투자액을 기록하고 있음. 러시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09년 98억달러, ’10년 76억달러, ’11년 19억달러의 대러 투자를 기록하였으며, 러시아 5대 투자국중 하나임. 실제로는 조세피난처인 사이프러스 등을 제외하면 독일과 함께 최대 투자국이라 할 수 있음.

 

 ㅇ 중국의 대러 투자 진출방식은 주로 자원 외교, 차관제공 및 투자, M&A(자원, 인프라건설) 이며, 주요 진출분야는 에너지원 확보, 통신, 인프라 건설임. 자원부국인 CIS 의 러시아, 카자흐, 우즈베키스탄 중심의 에너지 분야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최근 부동산 투자도 증가 추세임.

 

 ㅇ 진출전략은 러시아와 및 여타 CIS국가와 정치, 경제, 국사적 동맹관계를 활용하여 현지 진출하고 있음. 주로 국빈 방문을 통해 에너지 협력을 논의. 중국+CIS 5개국이 ‘상하이 협력 기구’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정치 및 군사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며 미국을 견제하는 효과도 거두고 있음.

 

 

< 주요 투자현황 (’10〜’12.6) >

 

회사명

국가

분야

투자대상

투자규모

중국투자공사(CIC)

러시아

펀드

러시아직접투자펀드

10억 달러

Huadian Corporation

러시아

발전

화력발전소(가스연소)

3억2천만 달러

Dalian Wanda Group

러시아

부동산

북카프카즈 리조트개발

30억 달러

China Electronics

러시아

전자

TV생산공장 설립

3천만 달러

Sinopec Eximbank of China

카자흐스탄

석유화학

폴리프로필렌 생산설비 건설 

17억 달러

Xinjiang Guanghi

우즈베

키스탄

천연가스

우즈벡국영가스공사와 합작투자, 연간 6백만s/m 의 액화천연가스 생산

 2.5억 달러

CNPC

우즈베

키스탄

석유

우즈벡국영가스공사와 부하라지역 석유 탐사  개발 (초기 3개년)

1.5억 달러

China National Machin-

ery Industry Complete Engineering Corp.   

우크

라이나

철도 건설

키예프 시내-보리스필 공항  도시철도 건설

3억8천만 달러

* 자료원 : TheMoscowTimes, Vedomosti 등  무역관 자료 종합     

 

 

 ㅇ 일본의 대러시아 투자규모는 최근 3년간 약 55억달러를 기록. 연도별로는 ’09년 30억달러,  ’10년 11억달러, ’11년 12억달러를 기록하여 러시아의 9대 투자국이 되었음. 구소련시절부터 대규모 진출을 했으나 ’98년 러시아의 모라토리엄 선언(1차 금융위기)시 주요 기업들이 철수하였음. 2000년대 이후 재진출하고 있으며, 최근 일본 대지진 및 원전사고 이후 러시아의 자원개발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ㅇ 진출방식은 자원 외교, 차관제공, 지분투자등임. 주요 진출분야는 석유.가스 등 천연자원 개발 분야와 관련된 PF에 약 80%이상이 투자되며, 제조업 투자의 대부분은 자동차 산업 분야에 투자되고 있음.

 

 ㅇ 진출전략은 러시아 및 인근 CIS국가들과의 경제협력관계를 통해 진출하고 있으며 에너지 부분의 비중이 가장 큼. 투자위험 분산을 위해 직접투자보다는 지분투자 및 기술/장비투자를 주로 하고 있음.

 

       < 주요 투자현황 (’10〜’12.6) >

회사명

국가

분야

투자대상

투자규모

Itochu Corp., Japan Far East Gas Co.

러시아

에너지

블라디보스톡에 LNG 공장 건설

70억 달러

Mazda

러시아

자동차

자동차 조립생산 공장

8천만 달러

Toyota, Honda

러시아

자동차

자동차 조립생산 공장

N/A

Yokohama Tire

러시아

타이어

타이어 생산 공장

4억 달러

Sumitomo

우즈베키스탄

통신

유무선 통신기업인 Super I Max에 지분 40% 투자

 6.5백만달러

Itochu

우즈베키스탄

상용차

우즈벡 국영자동차공사  계열사 Samauto사에  8% 지분 투자

5백만 달러

JAC(Japan Airport

Consultants Inco.)   

우크라이나

인프라

공항터미널 설계

1억8천만 달러

*  자료원 : TheMoscowTimes, Vedomosti 등 무역관 자료 종합    

 

 

 ㅇ EU는 지리적 인접성과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온 교역관계를 바탕으로 러시아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이며 투자액면에서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EU국중 러시아 주요 투자국은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이며, 미국은 10위~15위권의 투자국임. EU 3국의 대러시아 총투자금액은 ’09년 238억달러, ’10년 248억달러, ’11년 314억달러를 기록하였음.

 

 ㅇ EU는 러시아와 정치, 경제, 문화,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다른 경쟁국보다 진출기반이 확고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에너지, 고급브랜드 상품, 기계, 식품 등 진출이 활발하며 유통, 금융(은행,보험) 등 서비스 분야도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 주요투자현황 (’10〜’12.6) >

회사명

국가

분야

투자지역

투자대상

투자규모

Siemens

 

전력

러시아

가스터빈 생산공장 

14억 달러

Continental

 

타이어

러시아

타이어 생산공장

3억 달러

Fiat

이탈리아

자동차

러시아

 Sberbank와 자동차 공장 합작투자

11억 달러

Renault Credit

프랑스

자동차금융

러시아

자동차 융자은행 설립

4억 달러

Marriott hotel

 

호텔

러시아

‘12˜’15년 러시아내 20개 호텔 오픈 예정

7억 달러

Unilever

영국,

네덜란드

제조

러시아

소스제조공장 설립,

 화장품 업체 지분 인수

7천만 달러,

6억 달러

Royal Dutch

Shell

영국,

네덜란드

석유

가스

러시아

사할린 유전개발 참여

N/A

GM

 

자동차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생산라인 확대(23만대-35만대)

2011년말-2013년 단계적 추진

N/A

Rakhamo Jur

 

시멘트

우즈베키스탄

시멘트 공장 건설 2012년 12백만톤 생산 예정

1억 달러

Todini

Construzioni

이탈리아

도로

우크라이나

키예프 자동차

전용 도로 건설

1억6천만 달러

*  자료원 : TheMoscowTimes, Vedomosti 등 무역관 자료 종합  

 

 경쟁국 대비 우리기업의 경쟁우위 요인

 

1) 위험감수형(Risk Taking) : 과감한 시장진출 노력

  : 우리기업은 1998년(러 모라토리움), 2008년(금융위기) 러시아 시장혼란기에 대부분 외국기업이 철수 또는 투자비중을 축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잔류 및 투자확대를 통해 위험감수형 시장진출 노력을 지속하였음. 시장혼란기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내 잔류하여 현지 바이어들과의 관계를 지속함으로써 장기적 신뢰구축을 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공격적 시장진출과 함께 위기이후 시장지배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참고로, '10. 9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있었던 현대자동차 조립공장 준공식에서 푸틴 총리가 참석하여 “전세계적인 금융위기에도 불구, 투자약속을 성실히 이행한 현대차에 대하여 심심한 감사의 뜻을 표명하고, 향후 한국기업의 대러 진출시 특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약속한 바 있음.

  

 2) 대일본 경쟁우위 요인

  : 우리기업은 1998년 모라토리움시 일본기업이 철수 또는 투자를 축소하는 상황에서도 위험 감수형 과감한 시장진출 노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장기적 신뢰관계를 구축하였음. 또한 일본에 앞선 대규모 제조업 현지투자로 경쟁력을 확보 참고로 일본은 통계상 한국에 비해 금액측면에서 대러 수출우위에 있으나 금액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제3국산 제품반입 및 현지 제조업 투자 등을 고려시 한국의 경쟁우위 조기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3) 대중국 경쟁우위 요인

  : 최근 중국기업 및 상품의 대러시아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한국기업의 브랜드 인지도 및 제품 품질이 중국산 대비 평가 우위에 있음. 또한 현지 소비수준에 적합한 상품개발 및 현지 생산 등을 통한 적기 공급이 경쟁 우위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음.

 

    중국의 경우 통계상 대러 제1위 수출국이나 주요 수출품목이 의류, 생활용품 등 저가품에 한정되어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및 평가측면에서도 매우 낮은 수준에 있음. 다만, 중국산 품질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향후 한국산을 위협할 전망임

 

□ 시사점

 

     한국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중국, 일본, EU 등 국가의 기업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2011년 12월 러시아의 WTO 가입과 국제무역질서로의 편입으로 향후 러 시장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국기업은 1998년 모라토리움, 2008년 금융위기 때 외국기업이 철수 또는 투자를 축소하였던 반면 과감한 시장공략으로 어려움을 극복한 바 있음. 향후에도 우리기업이 대러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현지투자기업이 소비자의 구매성향 수시 모니터링 및 조기 파악, 신제품개발 투자, 현지 딜러 및 바이어와의 장기적 신뢰구축 등에 힘을 쏟는 것이 중요한 관건으로 평가됨.

 

 * 정보원 : 모스크바 한국기업 투자지원센터 보유정보 종합

 * 작성일 : 2012. 7월31일

 * 작성자 : 김 희중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진출 경쟁국(중국,일본,EU) 동향 및 시사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