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16년까지의 미국 조선업 전망
  • 경제·무역
  • 미국
  • 마이애미무역관 연승환
  • 2012-02-17
  • 출처 : KOTRA

 

2016년까지의 미국 조선업 전망

- 2011~2016년 연 평규 성장률 1.9%로 전망 -

- 상업용보다는 방위산업용 조선업이 성장 견인 -

 

 

 

□ 미국 조선업 개요

 

 ○ 미국 조선업 현황

  - 조선업은 매출액 기준 2011년 191억 달러 규모의 산업이며, 약 572개의 보트 제조업체가 연 8억 달러 이상의 이익을 내는 것으로 추정

  - 산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군사용 조선업으로 전체 시장의 60.3%를 구성하고 있고 상업용은 21.7%, 수리업은 18%를 차지

 

미국 조선업 구성도

자료원: IBISWORLD

 

 ○ 성숙기에 접어든 조선업

  - 미국은 오래 전부터 태평양과 대서양을 통한 무역과 운송사업이 발달

  - 막대한 경제력과 선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선산업이 일찌감치 발달했으나 Jones Act 등의 보호주의적 정책은 국제적인 경쟁력 저하요인으로 작용

  - 미국의 조선업은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들었으나 정부조달이 수요 성장세를 견인

      

□ 미국 조선업 동향 및 전망

     

 ○ 건화물선의 세계가격의 변동, 소비의 변화 추이, 해양과 해안의 운송업에 따른 수요의 변동, 총 무역 가치의 증가, 방어시설을 위한 연방 자금망 변동 추이, 철강업의 가격변동 등의 외부요소들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경제불황으로 작년까지 연 평균 성장률 감소 추이

  - 2006년을 기준으로 2011년까지의 연 성장률은 3.2%

  - 수주잔량 감축으로 인한 수요감소로 2011년에는 전년 대비 연 성장률이 0.5% 불과

     

 ○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경기 불황으로 인한 신주 발주량 감소로 성장세 둔화

  - 5년간 연 평균 1.9%의(216억 달러) 낮은 증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IBIS의 통계에 따르면 조선업은 2011년 플로리다 주(14.2%)에 가장 높게 분포됐고 마이애미지역의 크루즈 산업 호황과 더불어 오는 16~20일 개최될 국제마이애미보트 쇼*등으로 인해 잠재적 수익 증가 예상  

  - Industry value-added(IVA)에 따르면 2016년까지 경제성장률은 1.6% 증가, GDP는 1.8% 증가세를 보일 전망임. 이는 2008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상업용 조선업의 감소세에도 아직 미국 조선업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 고용률의 꾸준한 증가 전망

  - 고용시장이 최대의 위기를 맞은 지난 2010년 2월 이후 미진하나 꾸준한 회복세를 보임. 이는 미국 경제 회복의 긍정적 지표로 평가됨

 

조선업 고용률과 수익 변화 추이

 

자료원: IBISWORLD

 

 ○ 2016년까지 수입은 미진하나 꾸준히 증가, 수출은 크게 변동 없을 전망

  -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와의 가격경쟁에서 밀려 수출은 2006년부터 2011년까지 4.4% 감소

  - 주 수출 품목인 군함도 일회용 계약식의 수출 방식으로 의존하는 상황

  - IBIS 통계자료에 따르면 무역 규정에 제약을 받게 될 2016년까지 수입은 미진하나 꾸준한 증가 예상

 

□ 상업용 조선업의 감소에도 군사용 조선업 번창

  

 ○ 지난 5년간 경제불황으로 인한 소비 감소로 상업용 보트 수요는 줄고 생산과잉의 문제가 발생하고 경쟁이 심화됨.

     

 ○ 해군 예산이 2016년까지 139억 달러에서 151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며, 55대의 해군함정 수요도 예상됨.

 

□ 시사점

     

 ○ 조선업 경기는 2012년을 기점으로 미진하나 회복세를 보일 것이며 조선업은 수입, 수출, 정비, 교육훈련, 서비스업, 마리나 개발 및 운영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부가산업이므로 직접적으로 고용증가를 의미하고 간접적으로 경제 회복세의 원동력이 될 것임.

 

 ○ 미국 내 수입증가가 예상되는 조선업의 변화추이에 한국 기업의 꾸준한 관심 필요

 

 

자료원: ISIBWORLD, 마이애미 해럴드, KOTRA 마이애미 무역관 자체 자료 통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6년까지의 미국 조선업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