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롬비아, 성장하는 의류시장
- 경제·무역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황현정
- 2011-02-20
- 출처 : KOTRA
-
콜롬비아, 성장하는 의류시장
- 콜롬비아 남성, 여성보다 의류 소비 더 커 -
○ 콜롬비아의 한 패션 조사원(Observatorio de la Moda Inexmoda Raddar)은 작년 한 해 콜롬비아 내 의류기업이 약 52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음을 발표. 이는 ‘09년 대비 4% 증가한 수치이며, 주된 의복 소비가 이뤄진 도시로는 보고타, 메데인, 칼리, 바랑키야, 그리고 부카라망가임을 밝힘.
○ 또한, 현재 콜롬비아가 남아메리카 중 의류와 섬유산업 측면에서 선봉을 차지함을 피력하고, 올해 콜롬비아 섬유산업이 3.9% 성장할 것과 그러한 성장이 약 54억 달러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하리라 예상함.
콜롬비아 주요 의복소비 도시
□ ‘10년 남성 청년층 소비 횟수는 少, 소비액 巨
○ 패션 조사원 Raddar의 대표 Juan Diego Becerra는 콜롬비아 의복시장 중, 남성의류 소비가 약 2억4000만 달러로 전체 의류시장의 45%를 차지했으며, 콜롬비아의 모든 도시에서 전반적으로 소비가 상승했음을 밝힘.
○ 또한, '10년 총 의류 소비 중 남성 소비자가 45%를 기록한 데 대해, 콜롬비아 남성은 여성보다는 의류 구매 횟수는 적으나, 1회 소비 금액이 여성보다 크기 때문임을 발표. 이는 곧, 여성은 잦은 구매횟수를 보이지만 남성보다 저렴한 의류를 구매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조사 결과를 나타냄.
□ 콜롬비아 작년 의류 소비시장 여성 소비율 30%
○ ‘10년 작년 한 해 여성의 의복 소비액은 총 1574억 달러로 의류 소비시장의 30%, 부모들이 4살 이하의 자녀에게 학업관련 등의 이유로 의류를 소비한 금액이 총 786억 달러로 15%, 그 외 기타 소비가 5억2480만 달러로 10% 차지함.( *아래 도표 참조 )
○ 또한, ‘10년 콜롬비아 내 도시별 의복 소비율이 ‘09년 대비 3.9% 성장을 보임. 또한, 의복 가격은 전반적으로 ‘09년 0.18% 하락에 이어 ‘10년에는 1.33% 하락했음을 발표
□ 작년 12월 한 달에만 총 4.55%의 의류 소비 성장.
○ 콜롬비아 내 의복 소비가 ‘10년 12월 한 달에만 4.55% 성장한 가운데, 도시 중에는 마니살레스(Manizales)가 가장 큰 소비를 기록했음. 콜롬비아 평균 한 달, 1인당 의복 평균 소비 금액 약 11달러에 반해 마니살레스는 12월 한 달, 1인당 약 38달러 소비를 기록했으며 파스토(Pasto)는 약 35달러, 메데인은 약 30달러로 그 뒤를 이음.
□ 콜롬비아 국민, ‘10년 청바지 소비에만 6573만 달러 지출
○ 의복 소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청바지로, Raddar는 ‘10년 청바지 소비액이 7억6573만 달러 증가했음을 밝힘. 이 금액은 ‘09년 대비 4.08% 증가를 뜻함.
○ 이 역시, 남성이 구매율 67.76%로 여성 27.53%, 아동 및 기타 4.72%보다 확연히 높은 비율을 차지함.( *아래 도표 참조 )
□ 청바지 유행 지속될 것
○ 청바지의 편안한 착용과 실용성, 적은 구김 등이 선호 이유로 꼽힘. 이에 의복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청바지 선호도는 지속될 것이며, 재질 향상을 위한 신기술 역시 지속적으로 등장하리라 예측함. 청바지 업체, American Growers의 대표, Carlos Maqueda 역시 앞으로는 모직산업이 더 나은 재질과 더 나은 기술을 찾아 움직일 것이라 덧붙임.
□ ‘10년 구두 소비 역시 상승
○ Raddar의 조사에 따르면 콜롬비아 구두 시장 역시 총 판매액 약 12억 달러로 ‘09년 대비 증가했음을 발표. 조사에 따르면, 1월부터 10월까지 콜롬비아 국민 1인당 구두 구매에 약 27달러를, 콜롬비아 한 가족당 약 107달러를 소비한 것으로 나타남.
○ 콜롬비아 국민은 1년에 평균 구두 3켤레를 구매하며, 한 켤레당 일반적으로 약 43달러를 소비함. 지역별로 한 달 1인당 구두 소비 금액은 쿠쿠타 약 12달러, 마니살레스 약 10달러, 메데인 약 7달러, 보고타 약 4달러 순임.
□ 영향 및 시사점
○ 지난 2월 11일, 한국-콜롬비아 간의 FTA 농업, 산업 분야 관련 미니협상이 미국 LA에서 마무리됐음. 이번 협상을 통해 양국이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던 농수산품을 중심으로 한 공방이 그 타협점에 근접했으며, 돌아오는 4월, 서울에서 회담을 갖기로 함.
○ 양국 FTA 협상이 지속적으로 긍정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양국의 협상 타결이 이뤄진다면 수입 관세가 감소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이에, 국내 섬유·의류 관련 기업들의 콜롬비아 의류시장에 대한 진출 역시 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특히, 급격히 성장하는 콜롬비아 남성 의류 시장의 성장에 대한 주목과 그에 따른 전략이 요구됨.
○ 콜롬비아 정부는 지난 ‘10년 주요 통상 및 무역협정 정책 가운데 하나로 중국 및 일본과의 FTA 추진을 세부항목으로 지정한 바 있어 향후 한국의 콜롬비아 시장 주력 상품들이 이들 국가와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한-콜 FTA 협상 타결이 이뤄질 시 해당 시장으로의 빠른 진출을 통한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 선점이 중요함.
자료원 : 콜롬비아 경제 전문 일간지 2월 2일 자 기사, 콜롬비아 패션 조사원 Raddar 조사 (http://www.raddar.net ), 콜롬비아 일간지 1월 26일 자 기사, Radio Nacional de Colombia 1월 24일자 방송(http://www.radionacionaldecolombia.gov.co) , 콜롬비아 일간지 1월 21일 자 기사 (http://economia.terra.com.co/noticias)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성장하는 의류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콜롬비아의 패션 의류에 대한 관심
콜롬비아 2011-07-30
-
2
[신성장경영마케팅] 세계은행, 요르단 의료관광 세계 5위로 선정
요르단 2011-02-20
-
3
콜롬비아 의류 및 액세서리 인터넷 판매 성장 본격화
콜롬비아 2013-08-02
-
4
알제리, 신재생에너지 진출 방안
알제리 2010-12-31
-
5
2021년 덴마크 산업 개관
덴마크 2021-07-05
-
6
중국 미용비누 시장동향
중국 2018-09-12
-
1
2024년 콜롬비아 화훼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8-30
-
2
2024년 콜롬비아 커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6-07
-
3
2021년 콜롬비아 제약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4
2021년 콜롬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5
2021년 콜롬비아 인프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6
2021년 콜롬비아 석유&천연가스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