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폴 테마섹이 본 인도 투자 유망산업
- 투자진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최동석
- 2010-10-08
- 출처 : KOTRA
-
싱가폴 테마섹이 본 인도 투자 유망산업
- 도로, 항만, 제약,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호성장, 통신, 에너지, 금융서비스 레드오션화-
- 인도성장잠재력, 중국다음 고평가, 인도투자비중 확대중-
□ 정보요약
ㅇ 싱가폴 국영투자회사인 테마섹(Temasek:www.temasekholding.com.sg)은 인도경제의 고성장과 높은 성장잠재력에 주목해 인도기업 지분 및 경영권인수에 적극적임
- 테마섹의 인도투자는 2004년부터 시작됐는데 현재 투자수익률은 20%에서 35%사이인 것으로 알려짐
ㅇ 테마섹은 인도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짜고 있음
- 인프라(도로, 항만등), 헬스케어,리테일, 자동차부품, 미소금융, 오랜 역사의 민간은행등을 장기
투자대상으로 새롭게 편입하고 있음ㅇ 테마섹은 중국다음으로 인도를 주요 투자대상지로 평가하고 있으며, 테마섹의 남아시아투자의 약 90%가 인도에 집중
- 대인도 투자규모는 싱가폴 달러 100억-110억(미화 77억-84억 달러)대
- 이중 몇 개 기업 투자사례를 제외하고는 투자수익율이 다른 나라보다 상당히 양호
ㅇ 일반적인 기관투자가들과 달리, 테마섹은 보다 장기투자를 하고 있는데, 투자마진율이 양호하고
성장 잠재력이 아주 높은 기업들을 선택했기 때문임- 투자금액은 기업당 작게는 미화 800만 달러에서 1,000만 달러 사이, 많게는 미화 4,000만 달러에서 5,000만달러 사이를 적정수준으로 생각
ㅇ 테마섹이 보는 인도산업별 투자수익율 전망
- 통신, 금융서비스, 에너지분야는 올라갈 만큼 올라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사업성이 이제는 떨어지고 있음
- 새로 자산 포트폴리오로 편입을 고려하는 분야는 소비가 뒷받침해주는 크레디트 분야, 도로, 항만, 자동차 부품, 헬스케어, 제약등으로 이들 산업에 속한 기업들이 향후 수년 동안 수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은행분야의 익스포져(위험자산에 대한 비중)를 5%상한선으로 제한하는 인도국내규정이 완화되기를 희망
ㅇ 한편, 인도 도로 및 고속도로부에 따르면, 캐나다 연기금, 사모펀드등은 인도 고속도로 사업에 인프라펀드형식으로 30억 달러 투자를 고려중임
- 인도정부는 2014년까지 35,000km의 고속도로 건설 계획인데 4년간 미화 7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
※ 400억 달러는 민간부문에서 조달하며, 이중 100억 달러는 외국기관투자가등으로부터
조달할 계획
ㅇ 인도제약시장 성장율은 세계시장평균의 무려 5배에 달하고 있음(IMS헬스 인디아)
- 지난 1년(2009년 8월-2010년 7월)동안 인도제약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상위 10대 제약사 매출도 16%에서 37% 신장을 기록
□ 시사점
ㅇ 싱가폴 국영 테마섹은 운용자산이 싱가폴달러 1860억(미화 1,420억불 상당)이며,주로 아시아
싱가폴에 투자를 하고 있는 전문기관인 바, 테마섹이 보는 인도산업전망은 시사하는 바가 큼
ㅇ 인도산업중에 통신분야는 이미 과당경쟁, 그리고 정부의 높은 주파수사용료징수, 분당 낮은 통신요금등으로 수익성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으며, 발전등 에너지 분야, 금융서비스분야도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음
ㅇ 반면, 테마섹이 지목하고 있는 분야는 아직도 시장 성장률이 높고 기업간 경쟁이 덜하며, 수요기반이 계속 확대되기 때문에 이들 분야에서 인도기업과 비즈니스를 개발해 나가는데 노력을 기울여나가야 할 것임
ㅇ 인도는 고도성장 지속여파와 내수 호조로 원자재 및 부품공급난을 겪고 있고, 식료품비,인건비가
급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쓸 만한 인재를 구하기가 어려워 코스트푸쉬 인플레가 유발되고 있음- 또한, 시장개방과 투자자유화 진행으로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마진율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임
- 레드오션화되고 있는 분야는 소형 자동차, 오토바이, 핸드폰, 가전, 건설, 제과, 발전, 금융분야,
대도시 고급아파트, 오피스 및 상가부동산 등이 대표적임- 반면, 항공부품,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럭셔리, 제약, 식품가공분야는 높은 성장이 지속될 전망
자료원: 테마섹, 인도고속도로부, IMS헬스 인디아 등 인도산업계, 뭄바이KBC자체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폴 테마섹이 본 인도 투자 유망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싱가포르, 13대 국회 출범 및 주요 정부기관 운영안 발표
싱가포르 2016-02-22
-
2
독일 기업의 인도시장 진출전략
인도 2016-11-15
-
3
2016년 싱가포르 경제 1.0~3.0% 성장 예상
싱가포르 2016-03-23
-
4
난 인도 뭄바이로 출근한다! 두 번째 이야기
인도 2019-06-04
-
5
카자흐스탄 원유, 가스 개발 산업과 장비시장
카자흐스탄 2010-09-23
-
6
2010.3분기까지 대 필리핀 외국/한국기업 투자 2.3배 증가 - 한국 1위
필리핀 2010-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