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 원유, 가스 개발 산업과 장비시장
- 투자진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10-09-23
- 출처 : KOTRA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개발 산업과 장비시장 Review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채굴량이 증가하면서 장비시장 클 듯 -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산업동향
○ 카자흐스탄은 원유 및 가스 채굴량을 기준하여 세계 5위이며 CIS 국가에서는 러시아 다음으로 채굴량이 큰 국가임.
- 2009년 기준 카자흐스탄 원유 1일 채굴량은 162만배럴로 2008년 대비 8.3%가 증가하였으며 2015년까지 원유 1일 채굴량은 350만배럴에 이를 것으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예상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자흐스탄 원유 확인 매장량은 325억배럴(약 41억톤)로 밝히고 있는데 카스피해 Offshore(해상유전)까지 포함해서 600억배럴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음.
- 카자흐스탄 정부가 예상하고 있는 육상유전 및 해상유전 보유량은 세계 원유의 2~3%에 해당되는 규모임.
○ 카자흐스탄 가스 매장량은 약 3조CBM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나 예상 보유량은 5조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원유 1톤당 1000CBM 가스가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한 금액은 2015년까지 51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2005년까지는 110억달러가 이미 투자되었고 2010년까지 200억달러가 더 투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카자흐스탄 원유 생산량 변동추이
자료원 : 카자흐스탄 자원에너지부
○ 당초(2003년) 발표한 카자흐스탄 정부의 원유 개발 프로그램에 따르면, 1단계 기간이었던 2003년~2005년간 유전개발 및 환경 관련 법 구축과 육상 광구 개발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며 2단계(2006년~2010년) 동안 카스피해 해상(Offshore) 유전 개발 사업 입찰 공고 및 투자 확정과 3단계(2011년~2015년)는 모든 유전의 양상체계에 돌입하겠다는 것이었음. 그러나, 대형 유전지인 카샤간의 원유 생산 지연과 글로벌 경제위기 영향으로 동 개발 프로그램은 다소 차질을 빚은 것으로 파악됨.
- 카자흐스탄 정부의 카스피해 해상 유전개발 투자 계획으로는 국제적인 입찰을 통해 100여개 이상의 유전(Offshore Block) 개발 민자 유치였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프로젝트는 극소수였던 것으로 파악됨.
○ 주요 육상광구 프로젝트 Review
- 텡기즈 프로젝트 :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텡기즈 유전은 약 90억배럴의 원유매장량이 확인된 곳임. 동 유전은 TengizChevrOil(TCO 컨소시엄) 사가 개발 및 생산중이며 2009년 원유 생산량은 16억5500억배럴이었음. 1일 생산능력은 원유가 약 60만배럴이며 가스는 220만CBM임. 현재 TCO 컨소시엄의 지분참여 구조로는, Chevron(미국)이 50%, ExxonMobil(미국)이 25%, KazMunaiGas(카자흐스탄)이 20%, LukArco(러시아)가 5%이며 동 프로젝트 개발 투자는 1993년에 결정되었음.
- 카라차가낙 프로젝트 : 카라차가낙 컨소시엄(KPO)은 BG Group(32.5%), Eni(32.5%), Chevron(20%), Lukoil(15%)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발 영토가 280sqkm에 이르는 세계적으로도 대형 유전지역임. 원유 확인 보유량은 90억배럴이며 가스는 48조cf(Cubic Feet)에 이르며 2009년 원유 생산량은 1억3920만 배럴이었음.
- 북 부자치 프로젝트 : 동 프로젝트에는 Lukoil(러시아) 사가 50% 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CNPC(중국 석유공사)가 50% 지분을 참여하고 있음. 2009년 기준해 1일 원유 생산량은 3만3000배럴이며 가스는 450만cf로, 2012년까지 연간 생산량이 2133만배럴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임.
- 악토베 프로젝트 : 동 지역의 원유 확인 매장량은 11억7000만배럴로 개발 기업인 AktobeMunaiGas에는 중국의 CNPC가 88% 지분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지분은 KazMunaiGas가 참여하고 있음. 특이점으로는 동 프로젝트 지역의 ADA 광구가 한국석유공사와 LG상사가 개발하여 소량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며 전체 악토베 원유 생산량은 1일 11만6660배럴임.
- 망기스타우 프로젝트 : 동 프로젝트 지역의 원유 확인 매장량은 5억배럴로 KazMunaiGas의 자회사인 MangiztauMunaiGaz사가 개발 생산 중임. 2008년 기준한 1일 원유 생산량은 11만2000배럴이며 가스는 333만cf임.
- 기타 프로젝트로는 우젠(원유 확인 매장량 : 1억4700만배럴), 쿰콜 남북부(남부 원유 확인 매장량 : 1억1600만배럴, 북부 원유 확인 매장량 : 3억배럴), 엠바(원유 확인 매장량 : 5억배럴), Kazgermunai(원유 확인 매장량 : 1억배럴) 등이며 현재 소량의 원유 및 가스가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주요 해상광구 프로젝트 Review
- NCP(North Caspian Project) : 동 프로젝트는 1997년 11월18일에 PSA 조건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Eni, Shell, Total, ExxonMobil, KMG가 각각 16.81%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고 ConocoPhillips가 8.40%, Inpex가 7.56% 지분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 광구로는 카샤간 서남부, Aktoty, Kairan, Kalamkas 등이며 카샤간만해도 130억배럴 원유가 확인되는 대형 유전지임. 카사갼은 당초 AGIP KCO 컨소시엄이 개발을 추진하였는데 개발 및 생산 일정이 지연되면서 카자흐스탄 정부와의 논쟁점이 되었던 곳이며 2009년1월22일자로 지분 구조조정과 함께 North Caspian Operating Co.(NCOC)가 AGIP KCO 컨소시엄을 대체하게 됨. 현재 상황으로는 원유 생산일정이 2013년까지 미뤄진 상황으로 양산시 1일 원유 생산량은 130만배럴일 것으로 예상되는 대형 프로젝트임.
- Tyub-Karagan 프로젝트 : 동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 KazMunaiTengiz(KMG 자회사)와 Lukoil이 합작투자하고 있는 사업으로 현재까지 2500m 깊이 광구 드릴과 2D 진도측정이 완료된 상황임.
- Atash 프로젝트 : 동 프로젝트 또한 카자흐스탄 KazMunaiTengiz와 Lukoil 합작 개발투자 사업으로 Tyub-Karagan 프로젝트 추진단계와 유사한 상황임.
- 기타 프로젝트로는 KazMuaniTengiz와 RN-Kazakhstan LLC가 추진중인 쿠르만가즈 프로젝트와, Shell(40% 지분참여)과 Oman Pearl Co.(20% 지분참여), KazMunaiTengiz(20% 지분참여)가 개발중인 Pearl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이며 Aral 프로젝트와 N Block-nursultan 프로젝트도 추진 중임.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장비 및 기기시장 진출 전략
○ 카자흐스탄은 90년대부터 대형 유전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향후 원유 및 가스 개발 산업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나 동 산업에 투입될 장비는 국내 생산 장비로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조사에 따르면, 원유 및 가스 개발 관련 장비의 90%이상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 알마티KBC가 파악한 원유 및 가스 개발 관련 주요 장비 및 기기는 아래와 같음.
- 육상 굴착 장비 및 기기 : 시추장비, 비트, 전기모터, 윈치 롤러, 회전 테이블, 작업장, 블록 승강, monkey boards, 크라운 블록, gin holes, shackles, 커팅 비트, 롤러 비트, 다이아몬드 비트 그리고 케이싱 슬리브, 수평 굴착 장비, 암석 발파 도구 및 장비, 수평 굴착 기술/ 공정, 사면 및 직접 굴착, 수평 광구 축 및 기술, 굴착 유체, 유전 화학, 배수 펌프, 유전관 및 파이프, 광구 안전 보호 장비, 펌프 생산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면 통제시스템, 광구 접합 기구 및 장비, 가스 유전 기계 및 장비, 암석 드릴 비트 등
- 해상 굴착 장비 및 기기 : 근해 오일 및 가스 탐사/ 개발 장비, Floating rig 장비, 근해 반잠수형 굴착선 장비와 플랫폼, 기둥으로 지지하고 있는 수상 플랫폼, 유정탑 반잠수형 굴착선, 기중기, 중력계 및 실시간 지진 모니터, 해상 유전 착암기 등
- 기타 장비 : 고성능 폴리에틸렌 파이프, 철재 구조물, 아연도금 강철제품, 원심펌프/ 왕복펌프/ 도정펌프, 공기냉각기, 열 교환기, 저온 탄소강 파이프, 유량 조절 밸브, 고압 전기장치, 변압기, 고압용 개폐기, 케이블 및 모니터 등
○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장비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으로는, ① 장비 수입 및 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현지사와의 합작, ② 가격 유연성과 파이낸싱 방법까지 고려한 공급, ③ 현지 경험이 있는 외국계 기업과의 합작, ④ 현지 및 외국계 엔지니어링 사와의 정보 교류 등임.
- 현지 경험이 있는 현지 회사와 외국계 회사와의 합작을 강조하는 이유는 카자흐스탄 법률상 Local Contents(현지 원부자재 조달 우선법) 때문이며, 엔지니어링사와 운송사들과의 인맥 구축은 카자흐스탄 지리적 한계와 정보 한계를 고려해야하기 때문임.
- 카자흐스탄 기 진출한 원유 및 가스 개발 관련 외국계 엔지니어링 사는 Halliburton, Kellog Brown & Root (KBR), WorleyParsons, Bechtel, Baker Hughes, Schlumberger, Parker Drilling, CCC, Saipem, Enka, McDermott and Pride International 등임.
○ 알마티KBC가 조사한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개발 장비 구입 가능성 기업과 안내 사이트는 아래와 같음.
- Agip Kazakhstan North Caspian Operating Company: www.agipkco.com
- North Caspian Operating Company: http://www.ncoc.kz
- TengizChevrOil JV: http://tengizchevroil.com
- Caspian Pipeline Consortium: www.cpc.ru
- Kazakhstan Petroleum Association: www.kpa.kz
- KazEnergy Association: http://www.kazenergy.com
- Agip ENI: www.eni.it/en_IT/home.html
- ExxonMobil: www.exxonmobil.com/corporate
- Shell: www.shell.com
- Total: www.total.com/en/home_page
- ConocoPhillips: www.conocophillips.com/index.htm
- Inpex: www.inpex.co.jp/english/index.html
- KMG: www.kmg.kz
- KMG Exploration Production: www.kmgep.kz
- KazMunaiTeniz: www.kazmunayteniz.kz
- KazStroyService: www.kazstroyservice.kz
- KazTransGas: www.kaztransgas.kz
- KazTransOil: www.kaztransoil.kz
- Kazakh Institute of Oil and Gas (KING): http://www.king.kz
- AktobeMunaigas: http://www.cnpc-amg.kz
정보원: 카자흐스탄 자원에너지부 보고서, 카자흐스탄 진출 국제메이저 자원개발 기업 싸이트(상기 ‘카자흐스탄 원유 및 가스 개발 장비시장 진출 전략’ 참조바람). 알마티KBC 시장조사 및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원유, 가스 개발 산업과 장비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카자흐스탄 송유관 및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투자환경
카자흐스탄 2011-06-07
-
2
카자흐스탄 원유수출세 부과
카자흐스탄 2010-10-01
-
3
美, 모바일 앱 시장 진출을 위한 5가지 필수 고려사항
미국 2011-01-12
-
4
케냐, 신헌법 채택으로 정치안정과 경제발전 추진
케냐 2010-08-31
-
5
파나마 의약법 개정, 태풍의 눈 되는가
파나마 2010-12-27
-
6
[녹색산업기술] 프랑스, 혁신적인 친환경 표면금속코팅기술 개발
프랑스 201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