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산업기술] 중국 그린 자동차시장 청신호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9-09
  • 출처 : KOTRA

 

중국 그린 자동차시장 청신호

- 향후 중국 자동차 시장의 키워드는 ‘그린’ -

- 전기자동차 상용화 더뎌, 일단은 하이브리드가 대세 -

     

     

     

□ 그린 자동차 전망 밝아

     

 ○ 그린 자동차의 성장 확신

  - 바이엘 (Bayer) 중국지사 최고 경영자(Michael Koeing)에 의하면 중국은 점차 친환경적이고 유지비가 저렴한 대체에너지 자동차에 주목함.

  - 대체연료 자동차 발전에 대한 중국 정부의 관심으로 2015년에는 상당수의 자동차가 비화석연료 엔진을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신에너지 자동차 투자

  - 중국정부는 최근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과 생산의 위험을 줄이고 이익을 공유하기 위해 자동차, 철도차량, 석유화학, 전력, 정보기술(IT) 분야의 16개 국유기업이 참여한 ‘그린 자동차 연합’을 결성함.

  - 베이징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판매와 발전을 위해 향후 수년간 200억 위앤의 투자를 약속

  - 이에 따라 3년 후 연간 그린 자동차 판매량은 50만 대에 달해 중국 내 그린 자동차의 비중이 5%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

  - 또한 베이징은 전기자동차와 차세대(Petrol-Electric) 하이브리드 엔진 자동차의 구매자에게 각각 최고 6만 위앤과 5만 위앤의 보조금을 제공

  - 상하이는 연료 소비를 20% 감소시키는 자동차의 구매자와 100% 전기자동차의 구매자에게 각각 3000위앤과 최고 6만 위앤의 보조금을 제공

  

□ 전기자동차는 상용화 더뎌(예: BYD의 E6세단)

     

 ○ 미숙한 기술과 인프라 부족

  -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 특징으로 주목을 받음에도 미숙한 기술과 시설로 연구와 개발단계를 넘어 상용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많음.

  - 예를 들어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의 선두주자 BYD(비야디)의 경우 100% 전기자동차 E6세단은 배터리 생산문제로 대량 출시가 당분간 어려운 상황임.(주: 100% 전기자동차(All-Electric Vehicles)는 내연자동차를 대체하는 완전한 전기자동차를 의미함.)

  - 또한 관련 인프라 역시 열악한 상태. 공동주택의 가정용 충전시설은 아직 설치되지 않았고, 전기플러그나 케이블 등의 기준도 존재하지 않음.

  -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공중충전소가 설치될 예정이나 이 역시 주요 도시들에만 설치될 것으로 보여 전기자동차 보편화에 장벽으로 작용할 전망임.(전기자동차의 활성화를 위해 중국 13개 도시에 전기자동차기관을 설치하고 베이징과 상하이, 톈진 등 대도시에 충전시설 건설 계획)

     

BYD의 100% 전기자동차 ‘E6세단’

 

 ○ 전기자동차 시장 발달 더뎌

  - IEA의 수석 수송전문가 Lew Fulton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세계적인 판매추이가 2020년엔 연간 500만 대까지 이를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전체 차량에서는 오직 2%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함.

  - 전 세계적으로 100% 전기자동차는 걸음마 단계로 현재 중국의 전기 자동차는 5000여 대에 불과함.

  - 중국의 전기자동차 시장은 장기적으로는 발달 가능성이 있으나 중국의 낮은 기술수준과 인프라 부족으로 현재로서는 더딘 상황

     

□ 하이브리드 시장 전망 밝아

     

 ○ 하이브리드의 빠른 성장

  - 중국의 공무원들과 업계 간부들은 그린 자동차가 주류가 되면서 100% 전기자동차보다 하이브리드 기술이 다음 5~10년 동안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함.   

  - 주 :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차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동력

석유 연료와 엔진 대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

장점

주행 중 탄소배출 無

주행 중 소음이 적음.

저렴한 연료비

주유소 등 기존 인프라 사용 가능

지속적 가격 인하

1회 급유로 장거리 주행

단점

고가의 가격대

배터리 문제

(충전지속시간 짧고 경량화/소형화 필요)

인프라 미흡

배기가스 배출

전기자동차에 비해 비싼 연료비

  

 ○ 업체 간 경쟁으로 인한 세계적인 가격 인하세

  - 일본의 혼다를 시작으로 세계적인 하이브리드 가격인하 경쟁이 본격화됨. 예를 들어 혼다는 일본시장에서 인사이트를 기존가보다 14% 내린 189만 엔(2009년), 2010년 신형 하이브리드 ‘피트’는 150만 엔대로 책정하며 가격 인하를 주도. 도요타도 3세대 프리우스를 출시하면서 10년 넘게 유지해 온 최저가격 215만 엔을 205만 엔으로 인하

  - 2010년 하반기 미국에서 출시할 현대의 쏘나타 하이브리드도 경쟁자인 캠리 하이브리드 가격을 감안, 5%가량 싼 2만4900달러로 책정될 것이 예상

  - 중국의 BYD는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저렴한 가격의 하이브리드를 선뵈며 이러한 저렴한 가격대는 BYD의 경쟁력으로 작용함. 그리고 세계적인 가격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2009년 BYD의 2008년 14만9800위앤(2만1900달러)에 판매했던 F3DM을 약 10만9800위앤(1만6062달러)에 판매 결정한 바 있음.

 

 ○ 중국 내 자동차업계의 하이브리드화

 

상품사진

브랜드 및

제품명

출시상황

특징

    

Toyota  Camry Hybrid (2010)

2010년 초

- Guangzhou Toyota가 올해 초부터 생산 시작

- Prius, Lexus LS600, RX450, GS450에 이은 Toyota의 중국 내 다섯 번째 하이브리드 자동차

     

Honda Accord Hybrid (2007)

출시 예정

- Guangqi Honda

- 새로운 Honda Accord 하이브리드 버전으로 재생산 계획

GM Chevrolet Volt

(2010)

2011년 출시 예정

- General Motors는 내년에 전기자동차인 시보레 볼트를 중국에 수출 계획

- 2010년 말 쯤 시보레 볼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선보일 예정

                  자료원 : South China Morning Post

     

□ 참고사항 및 시사점

     

 ○ 중국정부의 그린 자동차 활성화 노력 계속돼

  - 중국정부는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주도, 일자리 창출, 수출 향상 및 교외 오염 감소를 목적으로 2012년까지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사용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임.

     

 ○ 그린자동차 시장 형성을 위한 키워드는 ‘정부의 지원‘

  - 관련 인프라의 부족과 낮은 기술 수준, 비싼 가격으로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더뎌 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원과 충전장치 인프라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임.

  - 그러나 중국인들의 통근거리가 짧고 인구의 집중으로 자동차의 속도를 내는 것이 힘든 중국의 특성을 감안하면 전기자동차의 단점으로 꼽히는 느린 속도와 충전소 문제가 절충 가능한 것으로 보임.

  - 미국의 전략컨설팅 업체인 맥킨지(McKinsey) 보고서 ‘중국의 자동차산업 돌아보기(A look at China's auto industry)’에 의하면 경기 부양 차원에서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인 중국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전용 도로, 전용 주차장 등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나설 경우 그 파급효과는 막대할 것으로 전망됨.

     

 ○ 5~10년간 하이브리드 우세 예상

  - 전문가들은 가장 친환경적인 100% 전기자동차의 경우 관련 인프라와 기술문제 등으로 상용화가 더디다고 판단함.

  - 따라서 내연엔진 자동차보다 친환경적이면서도 가격이 인하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향후 5~10년간 그린 자동차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함.

 

 

자료원 : 홍콩언론종합, KOTRA 홍콩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산업기술] 중국 그린 자동차시장 청신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